디지털 인문학 교실 매뉴얼

$49.68
SKU
9788946075542
+ Wish
[Free shipping over $100]

Standard Shipping estimated by Fri 03/7 - Thu 03/13 (주문일로부 10-14 영업일)

Express Shipping estimated by Tue 03/4 - Thu 03/6 (주문일로부 7-9 영업일)

* 안내되는 배송 완료 예상일은 유통사/배송사의 상황에 따라 예고 없이 변동될 수 있습니다.
Publication Date 2025/01/14
Pages/Weight/Size 153*224*17mm
ISBN 9788946075542
Categories 사회 정치 > 교육
Description
교실에 기술을 적용하기 위한
교사 주도의 디지털 인문학 입문서

디지털 시대에 필요한 핵심 역량을 갖추고교실에서의 다양한 접근 방식과 목적을 지지하는,디지털 인문학을 시작하는 모든 이를 위한 매뉴얼

매일 학생을 가르치지만 기술에 대한 전문 지식이 없는 사람을 위해 쓰인 이 책은, 교실에서 특히 인문학을 가르칠 때 디지털 도구와 자료를 사용하는 방법을 제시하고 있다. 교실에서 기술을 활용하는 것은 소프트웨어를 포함한 기술에 대한 지식, 뛰어난 디지털 기획, 저작권이나 개인 정보 같은 디지털 맥락에서 발생할 수 있는 문제 들을 두루 인지하는 것을 의미하기도 한다. 이러한 배경 지식을 모두 갖추지 않아도 이 책을 읽을 수 있도록 특정 디지털 도구를 사용하는 방법 등을 간략하고 실용적으로 제시했다. 그보다는 교사가 주도하는 교실에서의 기술 활용에 관심을 갖고 이를 위한 수업안과 도구, 문제 해결을 통해 활기 찬 교실을 만들고자 하는 열망, 이 두 가지만 있으면 된다고 저자는 강조한다.
Contents
감사의 말
제2판 서문

도입
이 책의 독자는 누구일까? | 디지털 인문학이란 무엇인가? | 주요 개념 | 이 책의 활용 방식에 대해 | 웹 컴패니언에 관해서 | 결론

제1장 디지털 자원 발굴하기, 생성하기, 활용하기

디지털 텍스트(와 기타 자산들)의 활용 근거에 대해 | 디지털 원천 자료 발굴하기 그리고 평가하기 | 학생을 위한 디지털 원천 자료 생성하기 | 학생과 함께 디지털 원천 자료 생성하기 | 인용 및 저작권을 위한 요건 안내 | 결론

제2장 접근성 확보하기

유니버설 디자인 | 강의 운영하기 | 전반적 상호 작용의 증진 | 유니버설 디자인의 세 가지 원칙 구현 | 접근 가능한 자원 제공 | 다중 지능에 대한 관심 갖기 | 개별 사례에 대한 정책 조정 | 개인 정보 보호, 안전성 및 계정 관리 | 결론

제3장 교과 과정 설계하기

교과 웹사이트 | 도메인 및 웹 호스팅 | 온라인 수업 계획 | 디지털 인문학 교과 입문 교육 | 대안적 접근: 디지털 인문학 활용 정도 선택하기 | 수업 계획서 분석 I: 수업 정보와 학습 목표 | 수업 계획서 분석 II: 교과 과정 정책 | 교과 설계 전후 관계 설정 | 결론

제4장 교실 활동 설계하기

실험적 교실 활동 | 교실 활동 설계: 통합과 융통성 균형 잡기 | 10분 소요 활동 | 30분 소요 활동 | 전체 수업 시간 소요 활동 | 일주일 이상 소요 활동 | 심화 활동 | 효율적 프롬프트 작성 | 결론

제5장 교실 활동 운영하기

기존의 무료 원천 자료로 작업하기 | 장비를 보증하는 여러 가지 방법 | 문제 해결하기 | 완전 실패의 경우 | 결론

제6장 디지털 과제 생성하기

디지털 과제 생성하기의 일반 원칙 | 디지털 과제의 공통 유형 | 심화 과제 | 효과적인 교과 과제 안내서 작성하기 | 결론

제7장 학생 과제 평가하기

선명한 평가 기준의 중요성 | 루브릭 분석 | 역량성: 성공을 지칭하는 언어 | 평가 과정에의 학생 참여 | 루브릭 너머의 사고 | 평가 기간 중 실패에 대처하기 | 결론

제8장 대학원생 교육하기

21세기 대학원 교육에서 기술의 역할 | 대학원생 그리고 학부생 대조 | 코딩(그리고 어떤 컴퓨터 언어)을 배워야 할까? | 디지털 인문학의 대학원 교과 과정 통합 | 대학원 교과 과정의 모든 단계를 위한 디지털 인문학 조언 | 외적 기회들 | 전문화 그리고 취업 시장 | 대안적 학문 영역의 경력 탐구하기 | 결론

제9장 협업하기

소속 기관 내부 지원 및 공동체의 탐색 | 도서관 그리고 특별 컬렉션과 협업하기 | 공공 인문학 그리고 공공 참여 | 소셜 미디어로 참여하기 | 학회 가입하기 | 다양한 행사 참가하기: 학회, 컨퍼런스, 워크숍, 교육 기관 등 | 연구 지원금 신청하기 | 팀과 작업하기 | 결론

제10장 연구 조사에 기여하기

한 번 이상 고려하기: 기술 생명 주기 | 연구 방법에 디지털 도구 통합하기 | 디지털 교육학 관련 연구 생산 | 연구 영역 확대 | 학생과 협업하기 | 결론

제11장 디지털 교실에서 교육하기

온라인 수업의 여섯 가지 목표 | 기본적 짜임새 | 기대하는 도전들 | 결론

코다
교육 철학 발전시키기

찾아보기
옮긴이 후기
Author
클레어 배터실(Claire Battershill),쇼나 로스(Shawna Ross),김형엽
토론토 대학교 iSchool과 영어학 조교수. 저서로 Circus(2014), Modernist Lives(2018), Scholarly Adventures in Digital Humanities(2017, 공저)가 있다.
토론토 대학교 iSchool과 영어학 조교수. 저서로 Circus(2014), Modernist Lives(2018), Scholarly Adventures in Digital Humanities(2017, 공저)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