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과 소련

잊혀진 인물과 에피소드
$52.92
SKU
9788946074668
+ Wish
[Free shipping over $100]

Standard Shipping estimated by Wed 05/14 - Tue 05/20 (주문일로부 10-14 영업일)

Express Shipping estimated by Fri 05/9 - Tue 05/13 (주문일로부 7-9 영업일)

* 안내되는 배송 완료 예상일은 유통사/배송사의 상황에 따라 예고 없이 변동될 수 있습니다.
Publication Date 2023/08/24
Pages/Weight/Size 153*224*28mm
ISBN 9788946074668
Categories 역사
Description
소련과 북한의 관계를 부자(父子) 관계와 비교할 수 있다

1922년 탄생한 소련은 1948년 북한을 낳았고 1991년 이 세상에서 떠났다. 그러나 이 소련의 자식인 북한은 언제 사라질지 누구도 알 수 없다.

북한이 탄생했을 때 소련 지도자는 스탈린이었다. 그래서 북한은 당연히 스탈린주의 국가로 탄생되었다. 그러나 1953년 3월 5일 스탈린이 사망한 후 소련 상황은 완전히 달라졌다. 권력을 잡았던 말렌코프, 흐루쇼프, 베리야의 삼두체제 지도자 중 개혁가 비율은 100%였다. 말렌코프는 집단농장을 해체하고 경공업 중심으로 하는 경제개혁을 하자고 했고, 흐루쇼프는 ‘모두를 말살하는 수령은 무슨 수령인가?’라며 정치 개혁을 제안했으며, 베리야는 오스트리아뿐만 아니라 동서 독일을 중립국가로 통일시키자고 했다. 스탈린의 통치 노선을 계승하자고 한 사람은 없었다.

그러나 북한은 이 새로운 ‘개혁 시대 소련’의 영향을 받지 못했다. 동유럽과 달리 북한에서 스탈린주의 정권은 유지되었고 1967년경 더 탄압적인 유일사상체계로 진화해왔다. 김일성의 나라가 된 북한에서 이제 ‘위대한 소련’, ‘조선 인민을 해방한 소련 군대’, ‘탁월하신 수령이신 스탈린 대원수님’에 대한 언급은 사라졌다.
Contents
제1부 잊혀진 에피소드

제1장 붉은 군대와 김일성 대위
제2장 동아시아 역사를 바꾼 일주일
제3장 북한을 다스렸던 소련 장성들
제4장 사료에 비친 33세 김일성
제5장 소련이 만들어준 북한의 국가 상징물
제6장 소련군의 복제품, 북한군
제7장 북한군 최고사령부의 눈에 비친 6·25전쟁의 초기 국면들
제8장 1954~1955년의 북한 기근
제9장 8월 종파사건
제10장 김일성은 어떻게 소련 통제에서 벗어났나
제11장 스탈린의 소련과 김일성의 북한을 비교한다면
제12장 중소분쟁과 북한의 외교전략
제13장 북한의 역사 왜곡과 소련의 반응
제14장 북한 선전지 [카레야]가 소련에서 인기 있던 이유
제15장 1991년 소련 해체와 북한

제2부 잊혀진 인물

제1장 북한 지도자 등극에 실패한 후보들
제2장 ‘제88여단파’
제3장 ‘김일성 대위의 전우’ 유성철
제4장 미하일 강
제5장 인노켄티 김
제6장 여성 모략가 박정애
제7장 북한의 모리아티, 문일
제8장 장학봉과 그의 잊혀진 회고록
제9장 북한 보위성의 아버지, 방학세
제10장 당 부위원장 허가이와 6·25전쟁 종료 직전 의문의 사망
제11장 부상 강상호가 기억하는 내무성의 내막, 그리고 그의 기적적인 귀국
제12장 남일
제13장 ‘소련파의 김일성’ 박창옥
제14장 리상조, 수령과 싸운 대사
제15장 양심적인 간부 박의완
Author
표도르 째르치즈스키(이휘성)
페레스트로이카 시대의 모스크바에서 1988년에 출생했다. 중국 역사학자인 아버지의 영향을 받아 어렸을 때부터 역사, 특히 현대사에 대한 관심이 많았다. 중학생 시절 북한에 관한 책을 읽고, 한 민족이지만 너무나 다른 길로 간 남북한, 특히 김일성이라는 인물에 큰 관심을 갖게 되었다. 결국 고등학생 때 앞으로 북한 연구자가 되겠다고 결심했다. 대학교에서는 한국학을 전공했고, 2011년에 서울시로 이주했다.
석사과정은 서울 삼청동에 있는 북한대학원대학교에서, 박사과정은 서울대학교에서 마쳤다. 『김일성 이전의 북한』(한울아카데미, 2018), 『김일성 전기』(한울아카데미, 2022), The North Korean Army: History, Structure, Daily Life (Routledge, 2022) 등 도서를 출판했다. 현재는 국민대학교 한국학연구소 책임연구원으로 근무하고 있다.
앞으로도 한국과 북한 주민의 더 좋은 미래를 위해 노력하고자 한다.
페레스트로이카 시대의 모스크바에서 1988년에 출생했다. 중국 역사학자인 아버지의 영향을 받아 어렸을 때부터 역사, 특히 현대사에 대한 관심이 많았다. 중학생 시절 북한에 관한 책을 읽고, 한 민족이지만 너무나 다른 길로 간 남북한, 특히 김일성이라는 인물에 큰 관심을 갖게 되었다. 결국 고등학생 때 앞으로 북한 연구자가 되겠다고 결심했다. 대학교에서는 한국학을 전공했고, 2011년에 서울시로 이주했다.
석사과정은 서울 삼청동에 있는 북한대학원대학교에서, 박사과정은 서울대학교에서 마쳤다. 『김일성 이전의 북한』(한울아카데미, 2018), 『김일성 전기』(한울아카데미, 2022), The North Korean Army: History, Structure, Daily Life (Routledge, 2022) 등 도서를 출판했다. 현재는 국민대학교 한국학연구소 책임연구원으로 근무하고 있다.
앞으로도 한국과 북한 주민의 더 좋은 미래를 위해 노력하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