혐오 문화는 어떻게 온라인 세계에 안착했는가?
온라인 세계에 만연한 ‘혐오 문화’를 분별해 내는 미디어 해독력을 제공하는 책
온라인 세계의 주류 문화에 ‘혐오 문화’가 침투하는 현상을 비판적으로 탐구한 책이다. 인터넷이 보급되기 이전에 혐오단체들은 자신들의 이데올로기를 전파하기 위해 팸플릿, 자체 출판, 지방 라디오 같은 비효율적인 대중매체에 의존했다. 그러나 오늘날 혐오단체들은 블로그, 소셜 네트워크, 검색엔진 등 온라인 세계의 구석구석에 침투하여 클릭 한 번으로 혐오 사이트로 이동할 수 있을 정도로 우리 삶에 가까이 침투했다.
이 책은 혐오 문화가 온라인 세계에 침투하는 방식을 보여줌으로써, 우리가 혐오 문화를 접하게 되는 맥락을 알 수 있게 한다. 이 책에 따르면 혐오 사이트들은 외양을 일상 정치 블로그나 소셜 네트워크처럼 보이게 만들고 그들의 논증을 본뜨는데, 여기서 혐오발언은 세탁되어 ‘정보’ 형태로 변형된다. 그러면 온라인 세계의 정보 탐색자들은 검색엔진, 블로그, 소셜 네트워크를 통해 자신도 모르게 그 사이트로 들어가 정보의 형태로 위장된 혐오를 접하게 되는 것이다. 이처럼 이 책은 인종차별과 분노, 맹목적인 믿음으로 점철된 ‘혐오’가 인식하지 못하는 사이에 이미 우리 안에 스며들어와 있음을 인식하게 하고, 이러한 현상을 비판적으로 볼 수 있는 미디어 해독력을 제공해 준다.
Contents
1장│서론
부패하는 디지털 영역
온라인 혐오에 다가감
웹 기반 논쟁과 디지털 혐오의 분리
결론
2장│서가에서 데스크톱으로
대중계몽선전부
백인민족주의자, 지적인 미디어 그리고 정치
컴퓨터 시대와 디지털 혐오 문화의 시작
3장│정보화 시대의 혐오발언
정보세탁 이론
결론
4장│가상의 놀이공원
사이버 공간은 어디에 있는가?
누가 책임을 져야 하는가?
혐오발언의 법률적 지형
결론
5장│웹사이트
디지털 혐오: 규모와 의의
회원 모집 전략을 향하여
회원 모집 이론
결론
6장│공공연한 혐오
주류 속으로
소셜 미디어에서 ISIS의 부상
선언문과 분노의 플랫폼
적대감이라는 디지털 암류
결론
7장│계획적 기만: 두 부분 분석
분석 방법
분석 기간
1부 기만적인 웹 디자인 검토
2부 인종차별주의적 메시징 시스템 해체
결론
8장│디지털 영역 지키기
새로운 경계심
결론
9장│결론
앞으로
이론적 적용의 확장
관리인들
Author
애덤 클라인,한정라
미국 페이스대학교 커뮤니케이션학 조교수다. 미디어와 정치의 급진적 목소리에 대한 그의 연구는 [커뮤니케이션 이론(Communication Theory)]과 [커뮤니케이션 모노그래프(Communication Monographs)]에 게재되었다. 또한 그는 뉴욕퍼블릭라디오(WNYC)의 <테이크어웨이(The Takeaway)>의 게스트이자 학술 뉴스 사이트인 [컨버세이션(The Conversation)]의 기고가다. 그의 글들은 [뉴리퍼블릭(New Republic)], [비즈니스 인사이더(Business Insider)] 및 [로 스토리(Raw Story)]에 실렸다.
미국 페이스대학교 커뮤니케이션학 조교수다. 미디어와 정치의 급진적 목소리에 대한 그의 연구는 [커뮤니케이션 이론(Communication Theory)]과 [커뮤니케이션 모노그래프(Communication Monographs)]에 게재되었다. 또한 그는 뉴욕퍼블릭라디오(WNYC)의 <테이크어웨이(The Takeaway)>의 게스트이자 학술 뉴스 사이트인 [컨버세이션(The Conversation)]의 기고가다. 그의 글들은 [뉴리퍼블릭(New Republic)], [비즈니스 인사이더(Business Insider)] 및 [로 스토리(Raw Story)]에 실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