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90년 초판이 발행된 이후 커뮤니케이션학의 대표 교양입문서로 많은 이들로부터 성원을 받아온 『현대사회와 매스커뮤니케이션』이 전면 3개정판에 이르러 『현대사회와 미디어커뮤니케이션』이라는 새 이름으로 독자를 맞는다. 신문기사를 인터넷 포털이나 유튜브 영상으로 접하고 방송뉴스도 SNS에서 문자로 읽을 수 있다. 이제는 콘텐츠의 이렇게 새로운 활용방식에 비판적 관심을 기울여야 할 때다. 10년 전과는 전혀 다른 미디어 환경이기 때문이다. 포털, SNS, 숏폼 동영상, OTT 따위에서 길을 잃지 않으려면 미디어커뮤니케이션에 대한 지침서가 필요하다. 디지털 대전환으로 새로운 미디어 환경이 펼쳐졌다. 일부에게는 이미 생활이지만 다른 일부에게는 아직 낯선 여러 미디어들을 분석했다. 각 장마다 ‘더 읽어볼 책’들을 제시하여 학생들이 스스로 배경 지식을 쌓을 수 있도록 안내했다. 또 ‘연구문제’를 풀어보면서 독자 나름의 통찰력으로 미디어와 사회현상에 접근할 수 있을 것이다.
Contents
제1부 미디어의 이해
1 배경으로서의 미디어, 전경으로서의 미디어 _정준희
2 미디어와 인간 _김예란
3 근현대 한국사회의 미디어정경 _윤상길
제2부 미디어와 사회
4 민주주의와 미디어 _조항제
5 미디어와 플랫폼 산업의 이해 _이상기
6 미디어와 법 _이승선
7 미디어 생산자와 노동 _이상규
제3부 미디어와 문화
8 미디어와 대중문화, 소수자, 젠더 _정사강
9 미디어와 이데올로기 _주재원
10 미디어 이용자와 팬덤 연구 _김수정
11 빅데이터와 알고리즘 _이소은
제4부 미디어의 변동
12 디지털 저널리즘의 진단과 전망 _박영흠
13 지금의 미디어 광고, 앞으로의 미디어 광고 _강신규
14 영상미디어 콘텐츠 _이성민
15 게임의 능동적 이용자성과 게임문화의 형성 _장민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