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책은 인간 사유의 열매로서 과학을 생각하면서, 인간 공동체를 중심에 두고 인간 사유와 문명의 시작, 자연철학의 태동, 철학과 과학의 분화, 천문학 혁명, 뉴턴 과학, 현대물리학, 오늘날 인공지능까지, 시대의 흐름에 따라 인간 생각이 성숙하고 그를 바탕으로 과학기술이 발전해 온 모습을 소개한다.
자연에 대한 인간의 경외감이 철학적·과학적 사고로 발전하는 과정을 정리하면서 고대 그리스 및 정복 시대, 로마제국 시대, 중세까지의 자연철학에서 과학적 사고가 어떤 모습으로 발현되었는지, 그리고 본격적인 과학의 발전과 현대 과학의 주요 개념에 이르는 과정을 구체적 사례와 여러 그림 자료를 곁들여 흥미롭게 보여준다. 오늘날 과학이 빛과 그림자의 모습으로 인류 역사에 중대한 영향력을 미치는 만큼, 현대 주류 과학기술인 인공지능의 미래와 전망, 과학기술이 앞으로 나아가야 할 방향 또한 엄중한 시선으로 논한다. 이 책은 과학 발전의 전반적인 흐름과 과학철학의 문제를 생각해 볼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기술 패권 시대,
과학기술의 올바른 이해와 그 의미를 되새겨 보는 것이 중요
과학기술은 우리 인간의 삶을 윤택하게 하지만, 기술이 발달하는 만큼 지식의 전문화로 일반인은 과학기술에서 소외감을 느끼며 과학 지식에 대해 무조건적으로 수용하거나 아예 무관심하거나 과학을 맹신하는 태도를 보이기도 한다. 과학기술은 인류에 이로움을 주는 밝은 측면이 있지만 인류를 위협하는 도구가 될 수도 있는 그림자도 있다. 이런 양면성이 있기에 과학기술에 맹목적 믿음을 갖는 것은 위험할 수 있으며 자기 성찰이 없는 과학기술은 기술 자체를 황폐하게 하는 독이 될 수도 있다. 또한 오늘날 기술 패권을 둘러싸고 심화된 국가 간 갈등과 사회 내부의 양극화 현상, 자연환경 파괴, 기후 변화 등의 문제 역시 과학기술 지식에 대한 올바른 이해와 그 의미를 살펴보는 작업이 학문의 영역에서는 물론, 평범한 일반인의 관점 모두에서 중요함을 보여준다. 이런 측면에서 과학기술의 발전을 어떻게 바라보고, 해석하고, 수용하는 것이 바람직한지를 비판적 시각에서 살펴볼 필요가 있으며, 과학철학의 관점에서 인간 사유의 처음으로 돌아가서 과학의 발전 과정을 이해하는 것이 한 방법이 될 수 있다.
과학을 인간 사유의 열매로서 생각한 데서 출발한 이 책은 인간 공동체를 중심으로 과학적 사고의 발전과 과학 지식의 이해, 가치와 의미를 짚어보면서, 과학의 발전 측면에서는 ‘공유와 확산’, 내용 측면에서는 ‘본질과 현상’이라는 핵심어를 중심으로 인간의 논리적 사유의 전체적인 흐름과 발전 과정을 조망한다. 인간이 자연을 경험하면서 어떻게 생각을 펼쳐나가고 또 논리적인 사유를 통해 과학 법칙들을 발견해 나갔는지를 살펴보면서 독자는 과학적 사고와 세계관의 지평을 넓힘과 동시에 인간 공동체와 세상과의 관계 안에서 과학 지식을 어떻게 이해하고 받아들일지를 생각해 볼 수 있는 기회를 갖게 될 것이다.
Contents
I부문명의 새벽
1장생각의 시작과 인간 공동체
2장과학과 철학의 태동
3장정복 시대의 문화 확산과 융합
4장변혁기의 자연철학
5장문명 갈등과 수용
II부사고의 전환
6장전환기의 사고와 천문학 혁명
7장뉴턴 과학과 과학혁명
8장근대과학과 깨친 사회
9장에너지 개념과 물리학
III부강요된 생각과 확장된 논리
10장 상대성 이론과 휘고 엮인 시공간
11장양자 세계의 미묘함
12장생명의 신비
13장우주 탄생의 비밀
14장인간과 생각하는 기계
Author
윤종걸
서울대학교 자연과학대학 물리학과를 졸업하고, 서울대학교 대학원에서 물리학(고체물리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1987년부터 수원대학교 물리학과에서 강의와 연구를 했고, 현재 전자재료공학부 교수로 재직 중이며 대학원장을 역임했다. 강유전체의 상전이 현상과 물성, 산화물 반도체 박막 연구와 차세대 메모리 소자 개발을 위한 기초 연구를 수행하면서 Nature Nanotechnology를 비롯한 세계적 학술지에 140여 편의 논문을 발표했다. 학술 저서로는 『강유전체: 물성과 응용』(서울대학교 출판부, 2017)(공저)이 있다.
서울대학교 자연과학대학 물리학과를 졸업하고, 서울대학교 대학원에서 물리학(고체물리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1987년부터 수원대학교 물리학과에서 강의와 연구를 했고, 현재 전자재료공학부 교수로 재직 중이며 대학원장을 역임했다. 강유전체의 상전이 현상과 물성, 산화물 반도체 박막 연구와 차세대 메모리 소자 개발을 위한 기초 연구를 수행하면서 Nature Nanotechnology를 비롯한 세계적 학술지에 140여 편의 논문을 발표했다. 학술 저서로는 『강유전체: 물성과 응용』(서울대학교 출판부, 2017)(공저)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