_소설, 연극, TV 드라마, 영화에서 혐오는 어떻게 재현되고 있을까?
_혐오와 연관된 주요 감정과 문화적 재현을 중심으로 혐오 정동의 스펙트럼을 고찰하다
혐오 시대가 우리에게 던지는 물음은 인간 본성이자 사회적 산물인 혐오가 왜 유독 이 시대에 전 지구적으로 급격하게 증가하느냐 하는 것이다. 혐오는 인간의 문제이자 시대의 문제다. 한 사회의 보이지 않는 내면을 드러내는 징후이자 증상으로서 혐오를 바라봐야 하는 이유다. 또한 근본적으로 혐오는 어떤 형태로든 표현되고 전파되는 것이기에 혐오 문제에 긴밀하게 대응하려면 혐오의 문화적 표상 혹은 재현에 주목해야 한다.
이번에 발간하게 된 『반영과 굴절 사이: 혐오 정동과 문화 재현』은 제목과 차례에서 알 수 있듯이 혐오 정동의 스펙트럼을 혐오와 연관된 주요 감정들과 문화적 재현 중심으로 살펴보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반영과 굴절’이라는 제목은 13명의 필자들이 바라보는 혐오 재현의 양면성과 복잡성을 압축적으로 드러낸다. 책은 총 4부, 13개 장으로 구성되며 동서양의 소설, 희곡, 연극부터 TV 드라마, 영화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종류의 텍스트를 분석 대상으로 삼고 있다.
Contents
머리말
제1부 쾌/불쾌
제1장|낯설고 두려운 ‘보통이 아닌 몸’: 연극 [인정투쟁; 예술가 편]을 중심으로 _ 이진아
제2장|마리즈 콩데의 『아름다운 크레올(La Belle Cre?ole)』, 매혹과 혐오 사이에서 _ 이가야
제3장|오리엔탈리즘 무대화하기: 긴터스도르퍼/클라쎈 , 브렛 베일리 를 중심으로 _ 손옥주
제2부 원한
제4장|‘원한’은 대항담론이 될 수 있는가?: 장 아메리의 원한에 대한 사유를 중심으로 _ 전유정
제5장|피해자의 자리를 전유하기: 베트남전쟁 참전 트라우마에 대한 영화적 재현의 국적과 젠더 _ 조서연
제6장|불안과 원한의 정치: 신자유주의적 권위주의의 감정동학 _ 이명호
제3부 슬픔
제7장|애도와 우울의 서사: 콜슨 화이트헤드의 『제1구역』 _ 김경옥
제8장|외상적 경험의 공간적 접근: 토니 모리슨의 『빌러비드』 _ 육성희
제9장|정상성의 폭력과 감정의 재현: 불온한 존재들을 위한 잔혹 동화 [사이코지만 괜찮아] _ 김혜윤
제4부 수치심
제10장|혐오스러운 세상을 성찰하는 윤리적 수치심의 발명: 코로나19 이후 발표된 한국소설을 중심으로 _ 이행미
제11장|고려시대 싫어함[厭-嫌-惡]의 감정과 사회적 인식 _ 전경숙
제12장|마이너리티 간의 공감은 가능한가?: 일본 한센병소설 속 마이너리티의 ‘관계 맺기’ _ 이지형
제13장|영화 [수치(Shame)]와 21세기 성 담론 _ 김수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