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사회적경제의 발자취를 되짚어보다
2016년 초판 발행 이후 6년 만에 선보이는
『한국 사회적경제의 역사』 개정판
사회적경제는 더 이상 생소한 개념이 아니다. 그 역사는 깊어지고 규모는 확대되었다. ‘사회적기업육성법’과 ‘협동조합기본법’이 만들어졌고, ‘사회적경제기본법’ 제정에 대한 논의도 꾸준히 이어지고 있다. 따라서 과거 사회적경제 연구가 유럽의 사례를 소개하고 사회적경제의 유용성을 알리는 데 집중했다면, 최근의 연구는 한국 사회적경제의 질적 성장을 고민한다.
사회적경제가 한국 사회에 어떻게 뿌리내렸는지 다양한 측면에서 알아보고 한국 사회적경제가 앞으로 튼실한 발전을 이루기 위해 해결해야 할 과제를 진단한다. 한국 사회적경제가 지닌 역동성을 적극적으로 발휘하고 정부의 지원을 유기적으로 활용해 더 크고 뿌리 깊은 사회적경제를 일궈나가는 데 이 책이 도움이 될 것이다.
Contents
제1장 사회적경제의 의미와 관점 _ 김신양
1. 한국의 사회적경제의 역사, 어떻게 쓸 것인가?
2. 사회적경제의 의미
제2장 개괄적인 한국 사회적경제의 역사 _ 신명호
1. 역사 서술에 앞선 일러두기
2. 경제 영역별 역사
3. 나가며: 자생적 발아, 관습화, 그리고 법제화
1. 사회적기업의 전사
2. 자활사업의 제도화와 사회적기업 담론의 등장
3. 자활기업의 현실과 흐름, 그리고 전망
4. 사회적기업 지원 정책의 발전과 사회적기업의 다양화
5. 사회적기업 관련 논점과 전망
제5장 한국 사회적경제운동의 특성과 마을공동체 재생 _ 박승옥
1. 한국 사회적경제운동의 조건과 특징: 서구 근대화 지상주의의 종언
2. 한국 사회적경제운동의 조건과 특징: 남-북, 보수-진보의 적대적 공존
3. 한국 사회적경제운동의 조건과 특징: 마을공동체 재생
4. 한국 사회적경제운동의 조건과 특징: 장일순과 원주 지역운동
5. 한국 사회적경제운동의 조건과 특징: 자립 경제와 대안 경제
6. 한국 자본주의와 한국의 사회적경제운동
7. 해방 이후의 협동조합운동과 관제 농협의 출발
8. 한국 협동조합운동의 새로운 출발, 한국 신협운동
9. 국가로부터의 자율과 독립이 없으면 사회적경제가 아니다
10. 새로운 한국 사회운동의 시원, 원주 사회적경제운동
11. 한국 사회적경제운동의 새로운 출발, 생협
12. 한국 사회적경제운동의 현재와 미래
13. 산업 조직을 극복하는 우애와 환대의 연대 조직
14. 새로운 사회운동의 근거지, 지역
15. 한국의 지역공동체 재생운동, 어디서 시작할 수 있을까
자타가 공인하는 협동조합 덕후로서 조합원들과 함께 협동조합의 역사와 정체성을 학습하며, 자나 깨나 무엇을 어떻게 협동하며 주인노릇을 할 것인지 생각하며 살고 있다. 《깊은 협동을 위한 작은 안내서》(2017), 《마을에서 함께 읽는 지역관리기업 이야기》(2018), 《한국 사회적경제의 거듭남을 위하여》(2021, 공저), 《한국 사회적경제의 역사》(2016, 공저) 등을 썼고, 《사회연대경제》(2020, 공역), 《다른 세상을 위한 7가지 대안》(2018, 공역) 등을 옮겼다. 협동조합과의 만남 3부작인 ‘협동조합의 역사, 협동하며 운영하는 협동조합, 미래의 노동으로서의 협동조합’을 쓰면서 협동하는 사회를 만드는 데 보탬이 되고자 한다. 현재 한국사회적경제연구회 회장을 맡고 있다.
자타가 공인하는 협동조합 덕후로서 조합원들과 함께 협동조합의 역사와 정체성을 학습하며, 자나 깨나 무엇을 어떻게 협동하며 주인노릇을 할 것인지 생각하며 살고 있다. 《깊은 협동을 위한 작은 안내서》(2017), 《마을에서 함께 읽는 지역관리기업 이야기》(2018), 《한국 사회적경제의 거듭남을 위하여》(2021, 공저), 《한국 사회적경제의 역사》(2016, 공저) 등을 썼고, 《사회연대경제》(2020, 공역), 《다른 세상을 위한 7가지 대안》(2018, 공역) 등을 옮겼다. 협동조합과의 만남 3부작인 ‘협동조합의 역사, 협동하며 운영하는 협동조합, 미래의 노동으로서의 협동조합’을 쓰면서 협동하는 사회를 만드는 데 보탬이 되고자 한다. 현재 한국사회적경제연구회 회장을 맡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