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저널리즘의이해

$37.95
SKU
9788946073593
+ Wish
[Free shipping over $100]

Standard Shipping estimated by Fri 12/6 - Thu 12/12 (주문일로부 10-14 영업일)

Express Shipping estimated by Tue 12/3 - Thu 12/5 (주문일로부 7-9 영업일)

* 안내되는 배송 완료 예상일은 유통사/배송사의 상황에 따라 예고 없이 변동될 수 있습니다.
Publication Date 2022/03/25
Pages/Weight/Size 153*224*0mm
ISBN 9788946073593
Categories 사회 정치 > 언론학/미디어론
Description
급변하는 저널리즘 환경에서
과학 저널리스트는 어떤 역할을 해야 하는가


2015년 초판 발행 이후 꾸준한 관심을 받아온 『과학 저널리즘의 이해』가 7년 만에 개정판으로 재탄생했다.

초판과 마찬가지로, 전통적 의미의 과학 저널리즘에 기초해 과학 저널리즘의 정의와 역사, 이론, 과학자의 역할, 과학 저널리즘 윤리 등을 살피고, 더 넓은 의미의 과학 저널리즘 관점에 주목해 빅데이터와 소셜 미디어 등 뉴미디어의 중요성을 살펴보고 있다. 개정판에서는 특히 2022년 현재 시점의 과학 저널리즘 환경에 맞추어, 코로나 바이러스 발생과 누리호 발사, 그리고 인공지능, 디지털 플랫폼, 빅데이터의 발전 등 최신의 변화를 반영하여 하루가 다르게 급변하는 저널리즘 환경에서 과학 저널리즘이 어떤 역할을 해야 하는지, 그 역할과 나아갈 방향을 소개했다.

과학기술 분야의 발전과 이에 따른 과학 저널리즘의 변화를 담은 이 책은 과학 저널리즘과 과학 커뮤니케이션을 공부하는 언론학자나 언론인, 대학생, 대학원생, 그리고 과학 저널리즘 분야에 관심이 있는 일반인에게 21세기 한국의 과학 저널리즘을 이해하고 미래를 전망할 수 있는 지침서가 될 것이다.

저자는 기자 출신으로 현재 캐나다 사이먼프레이저대 특훈교수와 고려대 미디어학부 교수로 재직 중이다.
Contents
제1부 현대사회에서의 과학 저널리즘

제1장 과학 저널리즘이란 무엇인가

1. 논의의 출발점
2. 과학 저널리즘이란 무엇인가
3. 과학 저널리스트는 누구인가
4. 과학 저널리즘의 목표
5. 뉴스원으로서 과학
6. 과학 저널리즘에서 뉴스의 가치 기준
7. 책의 주요 내용과 특징

제2장 과학 저널리즘의 역사

1. 서론
2. 저널리즘의 역사
3. 현대 과학 저널리즘의 역사
4. 한국의 과학 저널리즘 역사
5. 결론

제3장 현대 과학 저널리즘의 위기와 전망

1. 서론
2. 과학 저널리즘의 위기: 구조적 요인
3. 과학 저널리즘의 위기: 내부 요인
4. NASA 우주 프로그램과 과학 저널리즘의 위기
5. 현대 과학 저널리즘의 과제
6. 결론

제2부 과학 저널리즘 실행

제4장 과학 저널리즘 이론

1. 서론
2. 저널리즘 이론 일반
3. 최대 효과 이론
4. 최소 효과 이론
5. 현대 미디어 효과 이론
6. 공론장(Public Sphere) 이론
7. 결론

제5장 전문가로서 과학자의 역할

1. 서론
2. 과학자, 어떻게 인식할 것인가
3. 과학적 지식과 과학적 전문성
4. 과학자와 저널리스트의 관계
5. 과학적 전문성의 설득적·합법적 이용
6. 결론

제6장 과학 저널리즘 윤리

1. 서론
2. 현대 저널리즘의 주요 윤리 이슈들
3. 윤리 문제를 어떻게 해결할 것인가
4. 황우석 사태와 과학 저널리즘 윤리
5. 결론

제3부 뉴미디어 시대의 과학 저널리즘

제7장 빅데이터와 과학 저널리즘

1. 서론
2. 빅데이터의 기원과 정의
3. 빅데이터 시대의 과학 저널리즘 규범
4. 빅데이터 시대의 저널리즘
5. 빅데이터 시대의 저널리즘 교육
6. 빅데이터 시대의 윤리 문제
7. 결론

제8장 위험보도와 과학 저널리즘

1. 서론
2. 위험 주관성의 소통
3. 미디어 담론과 프레임
4. 위험보도에서 바람직한 방송 미디어의 역할은 무엇인가
5. 경주 방폐장 선정 시 위험보도 형태
6. 결론

제9장 디지털 플랫폼 시대의 과학 저널리스트 재교육

1. 서론
2. 과학 저널리즘 재교육의 인식
3. 과학 저널리즘 대학원 커리큘럼 국제 비교
4. 과학 저널리스트 재교육의 유사성과 차이점
5. 저널리즘 재교육에 대한 과학 저널리스트의 관점
6. 결론

제10장 과학 저널리즘의 미래
Author
진달용
일리노이 주립대학교(어버나-샴페인)에서 언론학 박사를 마쳤다. [문화일보] 기자 출신으로 현재 캐나다 사이먼 프레이저 대학교(Simon Fraser University) 언론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2009년부터 2011년까지 KAIST 과학저널리즘대학원 인문사회학부 부교수를 역임했으며, 2014년부터 2015년까지 연세대학교 교환교수를 지냈다. 플랫폼 테크놀로지, 디지털 게임, 글로벌라이제이션, 한류, 정치경제학을 연구·강의하고 있다. 펴낸 책으로는 『과학저널리즘의 이해』(2015), 『문화제국주의의 재해석』(2011), Smartland Korea: mobile communication, culture and society(2017), New Korean Wave: transnational popular culture in the age of social media(2016), Digital Platforms, Imperialism and Political Culture(2015), De-convergence of Global Media Industries(2013), Korea’s Online Gaming Emire(2010), 『디지털 현기증: 소셜미디어 속에서 길을 잃은 현대인』(2016, 공역) 등이 있다.
일리노이 주립대학교(어버나-샴페인)에서 언론학 박사를 마쳤다. [문화일보] 기자 출신으로 현재 캐나다 사이먼 프레이저 대학교(Simon Fraser University) 언론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2009년부터 2011년까지 KAIST 과학저널리즘대학원 인문사회학부 부교수를 역임했으며, 2014년부터 2015년까지 연세대학교 교환교수를 지냈다. 플랫폼 테크놀로지, 디지털 게임, 글로벌라이제이션, 한류, 정치경제학을 연구·강의하고 있다. 펴낸 책으로는 『과학저널리즘의 이해』(2015), 『문화제국주의의 재해석』(2011), Smartland Korea: mobile communication, culture and society(2017), New Korean Wave: transnational popular culture in the age of social media(2016), Digital Platforms, Imperialism and Political Culture(2015), De-convergence of Global Media Industries(2013), Korea’s Online Gaming Emire(2010), 『디지털 현기증: 소셜미디어 속에서 길을 잃은 현대인』(2016, 공역) 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