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반도에서 군위안부의 역사는 ‘일본군 위안부’가 유일하지 않다. 또한 해방 직후 그 존재가 사라지지 않고 한국군과 유엔군이 운영한 ‘위안소’, 1970년대 박정희 정권의 ‘기지촌 정화사업’을 통해 위안부는 계속 있어 왔다. 소위 ‘양공주’, ‘양색시’로 불리던 미군기지 주변 성매매여성들은 한국 정부와 미군의 계획적인 관리와 통제를 받으며 군위안부제도의 희생양으로 살아온 피해자이다. 이 책은 미군 위안부로 살아왔던 한 여성이 군위안부의 피해자로서, 기지촌정화사업의 목격자로서 자신이 당했던 피해를 직접 증언하여 엮은 책이다. 증언자와 엮은이는 증언자가 처음 인신매매되어서 간 곳인 ‘파주 용주골 기지촌’부터 마지막 기지촌인 ‘동두천 보산리 기지촌’까지 증언자가 거쳐왔던 전국의 기지촌들을 함께 여행하면서 증언자가 겪은 기지촌여성으로서의 삶과 고통에 대한 기억을 글과 사진으로 기록했다. 그녀는 미군 기지촌의 성매매가 한미 양국 정부에 의해 직접 관리되었다는 사실을 자신의 목소리로 밝히며 그들에게 책임을 묻고자 한다. 아직까지 한미동맹이 굳건하게 지속되고 있고 여전히 미군이 주둔하고 있는 우리의 현실에서, 억울하게 죽어간 미군 기지촌여성들의 기억을 잃어버리지 않고 지금까지도 그 고통 속에서 살고 있는 미군 위안부 기지촌여성들의 피해를 정당하게 인정받고 조금이라도 보상받기 위해 증언자의 용기 있는 고백으로 그 첫 걸음을 내디뎠다.
Contents
추천사/ 증언록 소개
첫 번째 이야기_ 들어가며
“내가 앞장서서 나갈게”
두 번째 이야기_ 어린 시절
“우리 엄마 왜 때려!”
세 번째 이야기_ 엄마를 만나러 가는 길
“아버지가 나를 빼앗을려 그래서”
네 번째 이야기_ 인신매매
“한마디로 우린 노예였어”
다섯 번째 이야기_ 용주골, 광탄 기지촌
“이 골방에 갇혀서 맞고”
여섯 번째 이야기_ 문산 기지촌
“하늘을 지붕으로 삼고”
일곱 번째 이야기_ 두 번째 용주골 기지촌과 대춧벌
“세코날 먹고 동맥을 끊고는”
여덟 번째 이야기_ 동두천 홍콩빌리지 기지촌
“엄마 죽고 나서 아들도 그 자리에 가서”
아홉 번째 이야기_ 미군 위안부에 대한 한미 양국 정부의 체계적 관리
열 번째 이야기_ 평택 안정리 기지촌
“내 몸뚱아리 갖고 내 맘대로도 못하는 세상”
열한 번째 이야기_ 대구 왜관 기지촌
“쪼끔 좋아했으니까 여까지 따라왔지”
열두 번째 이야기_ 부산 하야리아부대 기지촌
“여기 언니들은 다 얼루 갔을까?”
열세 번째 이야기_ 삼각지 기지촌
“미군 접대하라구 사인을 해주는 거야”
열네 번째 이야기_ 두 번째 동두천 기지촌
“여기서 죽어나간 사람이 몇인지 몰라”
열다섯 번째 이야기_ 두 번째 평택 기지촌
“변소칸도 쫓아오더라니까”
열여섯 번째 이야기_ 의정부 뺏벌 기지촌
“너는 나의 분신이야”
열일곱 번째 이야기_ 군산 기지촌
“젊은 포주들이 돌아가면서 정문 보초를 섰어”
열여덟 번째 이야기_ 동두천과 새움터
“우리 언니들 목숨은 목숨도 아니냐!”
열아홉 번째 이야기_ 유언
“정부에서 나를 끌어가지 않게 해다오”
스무 번째 이야기_ 에필로그
“나는 누구든지 한번은 좀 보여주고 싶었어”
부록_ 국가폭력으로서 군위안부 제도의 역사
해제_또 하나의 역사: 미군 위안부
Author
김정자,김현선,새움터
나는 기지촌여성이다. 서울에서 태어나 열여섯 살에 기지촌으로 인신매매되었고 평생을 기지촌에서 벗어나지 못했다. 기지촌에서 만들어진 이름으로 지금껏 살아왔지만, 증언만큼은 부모가 내게 주었던 이름으로 하고 싶었다. 이 일을 통해 나는 비로소 내 이름을 찾을 수 있었다. 나는 김정자다. 나는 나 자신을 위해서, 내 동료들을 위해서, 그리고 나와 같은 고통을 겪고 있을 이름 모를 어떤 이들을 위해서 기지촌여성운동을 하는 새움터의 활동가다. 작은 힘이지만, 이런 나의 노력이 다른 기지촌언니들에게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기를 바란다.
나는 기지촌여성이다. 서울에서 태어나 열여섯 살에 기지촌으로 인신매매되었고 평생을 기지촌에서 벗어나지 못했다. 기지촌에서 만들어진 이름으로 지금껏 살아왔지만, 증언만큼은 부모가 내게 주었던 이름으로 하고 싶었다. 이 일을 통해 나는 비로소 내 이름을 찾을 수 있었다. 나는 김정자다. 나는 나 자신을 위해서, 내 동료들을 위해서, 그리고 나와 같은 고통을 겪고 있을 이름 모를 어떤 이들을 위해서 기지촌여성운동을 하는 새움터의 활동가다. 작은 힘이지만, 이런 나의 노력이 다른 기지촌언니들에게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기를 바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