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이러스 팬데믹은 공포심과 사회적 혼란을 유발하고 있다. 이에 질병관리청은 자가 격리를 권장하며, 뉴스에서는 도시 봉쇄를 이야기한다. 그 가운데 커뮤니케이션이 이러한 문제 해결에서 가장 중요한 점 중 하나라는 것은 분명하면서도 역설적인 사실이다. 의료계는 이전까지 있었던 여러 감염병 사례를 통해 감염병에 관한 잘못된 지식, 정보 제공 채널의 부족, 초기 소통과 대응 미숙 등이 감염병이 통제되지 못하고 급속히 전파되는 이유임을 밝혀내었다. 따라서 감염병에 관한 정보를 어떻게 제대로, 적절한 시기에 제공할 것인지 또한 중요한 문제로 떠올랐다. 멀리 갈 것 없이 메르스 사태 때 유관 기관 협조 체제 및 대응 방역 소통 체계가 문제 되었던 것을 생각해 보면 쉽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마찬가지로 코로나19를 겪으면서 전 세계 국가들은 공중보건 시스템 개선을 위해 빅데이터, 인공지능과 같은 첨단기술의 중요성을 더욱 인지하게 되었고, 전문가들은 포스트 코로나19에서 건강과 관련된 테크놀로지 산업의 발전을 기대하고 있다. 이 책은 이와 같은 시대적 흐름을 반영해 건강 커뮤니케이션에서 테크놀로지가 어떤 역할을 할 수 있는지 설명하고 관련 정보를 소개한다. 현재는 코로나19의 폭발적 확산으로 건강 이슈를 거론하기 어려운 상황이다. 그러나 이 사태가 지나가고 일상이 다시 찾아왔을 때 건강 이슈를 관리하기 위한 효과적인 소통 방법을 이해하고 응용하는 데에 『건강과 커뮤니케이션』이 큰 도움이 되기를 바란다.
Contents
책머리에
1부 | 건강 커뮤니케이션에 대한 이해
1장 건강 커뮤니케이션이란 무엇인가 _노기영
2장 건강 커뮤니케이션의 영역 _김활빈
2부 | 건강 커뮤니케이션의 이론과 개념
3장 사회인지이론 _임준수
4장 합리적 행동 관점: 합리적 행동이론과 계획된 행동이론 _심민선
5장 건강신념모델 _안지수
6장 확장된 병행과정모델 _장한진
7장 프레이밍 효과 _주영기
8장 혁신확산이론 _조재희
9장 범이론 모형 _최용준
3부 | 기술 및 미디어의 이용과 건강 커뮤니케이션
10장 범매스미디어와 건강 커뮤니케이션 _김활빈
11장 디지털 미디어와 건강 커뮤니케이션 _구윤희
12장 빅데이터와 건강 커뮤니케이션 _황현석
13장 차세대 기술과 건강 커뮤니케이션
Author
노기영,건강과뉴미디어센터
한림대학교 미디어스쿨 특훈교수로, 전공 분야는 건강과 디지털콘텐츠이다. 한림대학교 건강과뉴미디어연구센터 소장이다. 주요 저서로 『뉴미디어와 공간의 전환』(공저, 2017), 『4차 산업혁명과 실감미디어』(편저, 2017), 『디지털 게임과 현대사회』(공저, 2015), 『원격의료와 지역사회』(공저, 2015), 『소셜미디어와 협력사회』(2012), 『헬스케어 콘텐츠 제작의 이해』(공저, 2011) 등이 있다.
한림대학교 미디어스쿨 특훈교수로, 전공 분야는 건강과 디지털콘텐츠이다. 한림대학교 건강과뉴미디어연구센터 소장이다. 주요 저서로 『뉴미디어와 공간의 전환』(공저, 2017), 『4차 산업혁명과 실감미디어』(편저, 2017), 『디지털 게임과 현대사회』(공저, 2015), 『원격의료와 지역사회』(공저, 2015), 『소셜미디어와 협력사회』(2012), 『헬스케어 콘텐츠 제작의 이해』(공저, 2011) 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