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학으로 세상 보기

한국 사회의 현재와 미래
$17.28
SKU
9788946062702
+ Wish
[Free shipping over $100]

Standard Shipping estimated by Fri 04/18 - Thu 04/24 (주문일로부 10-14 영업일)

Express Shipping estimated by Tue 04/15 - Thu 04/17 (주문일로부 7-9 영업일)

* 안내되는 배송 완료 예상일은 유통사/배송사의 상황에 따라 예고 없이 변동될 수 있습니다.
Publication Date 2017/03/13
Pages/Weight/Size 153*224*20mm
ISBN 9788946062702
Categories 사회 정치 > 사회비평/비판
Description
사회학적 시각으로 바라본 한국 사회와 교수 생활
사회학자 유팔무, 교수 생활 27년을 총결산하다

다음 세대에 더 나은 세상을 물려주고자 연구와 교육, 실천 활동을 병행해온 유팔무 교수가 정년을 맞아 지난 27년간의 강의와 다양한 실천 활동을 사회학적 관점에서 풀어냈다.토론식 강의를 그대로 옮긴 듯한 이 책은 한국 사회의 모순을 온몸으로 겪고 있는 청년들에게 사회를 보는 눈과 바꾸어 나갈 방법을 찾게 해줄 것이다. 사회학자의 시선으로 바라본 오늘날 한국 사회의 문제점은 무엇인가? 우리는 더 나은 사회를 어떻게 준비해야 할까? 그리고 한국 사회에서 대학교수라는 직업을 가지고 살아간다는 것은 어떠한 의미인가? 이 책에서 유팔무 교수는 평생을 공부해온 사회학의 관점에서 이러한 물음에 대해 가감 없고 솔직한 답변을 들려준다.
Contents
1부 사회학의 요점 맛보기
1장 사회학의 사회학
2장 ‘알파고’와 경제, 노동
3장 빈부 격차의 대물림 현상: ‘수저계급론’ 넘어서기

2부 세 바퀴로 굴러가는 국가와 시민사회, 그리고 복지국가
4장 현대의 국가와 시민사회, 민주주의
5장 ‘헬조선’의 ‘3포세대’와 사회문제
6장 도마 위의 복지국가와 사회민주주의

3부 사회학 교수 생활의 사회학
7장 나는 어떡하다 사회학 교수가 되었나
8장 대학교수로서의 생활과 연구, 봉사·실천, 교육
Author
유팔무
현재 한림대학교 사회학과 교수이다. 서울대학교 사회학과에서 학사학위와 석사학위를 받고, 독일 베를린 자유대학교(Freie Universitat Berlin)에서 ‘이데올로기와 계급관계’를 주제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중앙일보≫ 기자, ≪월간 말≫ 편집위원, ≪경제와 사회≫ 편집주간, 산업사회학회 회장, ≪동향과 전망≫ 편집위원장, 춘천시민연대 공동대표, 한국사회민주주의연구회 연구소장, 강원시민사회연대회의 공동대표, 사회민주주의정책연구회 회장 등을 역임했다. 주요 저작으로는 『현대정치경제학』(옮김, 1990), 『춘천리포트』(1, 2, 4권, 공저, 1991, 1999, 2009), 『시민사회와 시민운동』(1, 2권, 공편, 1995, 2000), 『사회민주주의 선언』(공저, 2001), 『한국의 시민사회와 새로운 진보』(2004), 『중산층의 몰락과 계급 양극화』(공저, 2005) 『식탁 위의 복지국가: 유팔무 교수의 60분 다이얼로그』(공저, 2013) 등이 있다.
현재 한림대학교 사회학과 교수이다. 서울대학교 사회학과에서 학사학위와 석사학위를 받고, 독일 베를린 자유대학교(Freie Universitat Berlin)에서 ‘이데올로기와 계급관계’를 주제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중앙일보≫ 기자, ≪월간 말≫ 편집위원, ≪경제와 사회≫ 편집주간, 산업사회학회 회장, ≪동향과 전망≫ 편집위원장, 춘천시민연대 공동대표, 한국사회민주주의연구회 연구소장, 강원시민사회연대회의 공동대표, 사회민주주의정책연구회 회장 등을 역임했다. 주요 저작으로는 『현대정치경제학』(옮김, 1990), 『춘천리포트』(1, 2, 4권, 공저, 1991, 1999, 2009), 『시민사회와 시민운동』(1, 2권, 공편, 1995, 2000), 『사회민주주의 선언』(공저, 2001), 『한국의 시민사회와 새로운 진보』(2004), 『중산층의 몰락과 계급 양극화』(공저, 2005) 『식탁 위의 복지국가: 유팔무 교수의 60분 다이얼로그』(공저, 2013) 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