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책의 제목은 익숙하지만 어려운 단어를 담고 있다. 바로 ‘보건의료운동’이라는 말이다. 가장 포괄적으로 정의 내린다면 “사회 구성원의 육체적·정신적 건강을 증진시키기 위한 진보적 사회운동” 정도로 기술할 수 있을 것이다. 여기에는 의료 혜택을 받지 못하는 사람들에게 의료 행위를 제공하는 것에서부터 국가 차원의 의료제도를 바꾸는 문제까지 다양한 내용이 담길 수 있다. 간접적으로는 한국 사회의 민주화 문제까지도 연관을 갖는다. 이 글에서는 그러한 보건의료운동 중에서도 의학도와 의사가 중심이 된 보건의료운동을 다루었다.
이 책은 서울대학교 의과대학의 서클이었던 사회의학연구회의 활동을 보건의료운동사의 맥락에서 정리하고 그것이 갖는 역사적 의미를 살피고 있다. 한국사에서 보건의료운동의 몇 가지 주요한 사건들이 연구된 적은 있지만 아직 통사로 정리하기 어려울 만큼 많은 공백을 가지고 있다. 이 글은 보건의료운동사의 공백 중 큰 부분인 1960~1970년대, 그리고 1987년 이전 보건의료인의 사회참여와 보건의료운동적 성격의 움직임에 대해 정리해보았다는 점에서 적지 않은 의의를 둘 수 있다. 다시 말해, 1960년대부터 1980년대까지 걸쳐 있는 사회의학연구회의 활동을 검토하는 일은 특정 조직의 역사 정리를 넘어 한국 보건의료운동사의 공백을 메우는 작업이기도 한 것이다. 이를 통해 1987년을 기점으로 단절적으로만 바라보던 보건의료운동사에 대해 좀 더 풍부한 역사적 해석을 제시할 수 있을 것이다. 아울러 한국 근현대 보건의료운동사에 대해 개괄적으로나마 정리를 시도한 최초의 작업이라고 할 수 있다.
Contents
추천사
들어가며
1 근대 보건의료운동의 역사
1. 양봉근과 ‘보건운동사’?2. 최응석과 ‘조선농촌사회위생조사회’ 그리고 해방 공간에서의 국영 의료 담론
2 대한민국 정부 수립 이후 의대생들의 사회참여와 사의연의 탄생 과정
1. 1960년대 초 사회 정세와 학생운동?2. 1960년대 말 1970년대 초 사회 정세와 학생운동 그리고 서울대 의대?3. 서울대 의대의 상황과 사의연이 만들어지기까지의 과정?4. 사의연 창립
3 1970년대 전반 사회 상황과 사의연의 활동
1. 1970년의 사회 상황과 사의연의 활동?2. 1971년의 사회 상황과 사의연의 활동?3. 1972년의 사회 상황과 사의연의 활동?4. 1973년의 사회 상황과 사의연의 활동?5. 1974년의 사회 상황과 사의연의 활동?6. 1975년의 사회 상황과 사의연의 활동
4 1970년대 후반, 그리고 1980년대 초 사회 상황과 사의연의 활동
1. 1975년 이후의 사회 상황?2. 박정희 정권 말 사의연의 맥?3. 1980년 ‘서울의 봄’, 그리고 ‘학생 그룹 사의연’의 종결
5 사의연 이후의 사의연
1. 1980년대 초 사의연 멤버들의 상황?2. 신천연합의원 개원?3. 신천연합의원을 구심점으로 한 사의연 멤버들의 활동?4. 새로운 보건의료운동의 전개
나가며: 1987년 이전 보건의료운동의 궤적과 사의연의 역사적 의의에 대해
부록: 사의연 주요 멤버들 현황
참고문헌
필자 후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