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두 사건은 회사의 무분별한 이익추구가 국가와 사회에 얼마나 엄청난 피해를 가져올 수 있는지를 극명하게 보여준다. 사건의 원인을 단지 부도덕한 경영자 탓으로 돌릴 수만은 없다. 주주지상주의하에서는 주주의 이익과 사회의 이익이 충돌할 때 비용을 사회에 전가하고 주주의 이익을 좇는 것이 ‘바람직한 경영’이기 때문이다.
결론부터 말하자면 회사의 이익을 위해 사회에 비용을 전가하는 경영을 막기 위해서는 회사의 지배구조를 변화시켜야 한다. 저자는 이해관계자 지배구조가 그 대안이라고 말한다.
이해관계자 지배구조는 회사 경영에 이해관계자를 중요하게 고려하며 이익을 공정하게 분배하고 비용을 정당하게 지불하며 동시에 이해관계자의 회사특정투자를 확보한다. 이로써 회사의 부 창출 능력을 증진시키는 동시에 부의 공정한 분배와 회사의 행동 변화를 통해 사회경제적 문제점도 해결할 수 있는 것이다.
이 책에서 저자는 회사법의 역사를 살펴보고 경제 이론과 법 이론을 분석하고 지금까지의 회사 제도를 비판적으로 분석한다. 그리고 대안으로 이해관계자이론을 자세하게 소개한다. 이를 바탕으로 우리 경제 환경에 맞는 회사법이 어떤 모습이어야 하는지 제안한다.
Contents
제1장 서론
1. 왜 진보 회사법인가? / 2. 이 책에서 무엇을 논의할 것인가?
제2장 회사제도의 역사적 분석
1. 서설 / 2. 19세기 미국 회사법의 역사 / 3. 20세기 초반 미국 회사법의 역사
제3장 회사제도의 이론적 분석
1. 서설 / 2. 회사이론의 경제학적 전개 / 3. 회사이론의 법학적 전개 / 4. 회사이론에 관한 쟁점 정리
제4장 회사지배구조이론
1. 역사적 기원 / 2. 주주지상주의 / 3. 이해관계자주의 / 4. 비교
제5장 주주지상주의에 대한 비판적 검토
1. 비판적 검토의 필요성 / 2. 회사이론의 문제점 / 3. 회사지배구조이론의 문제점 / 4. 평가
제6장 이해관계자 지배구조
1. 왜 이해관계자 지배구조를 논의해야 하는가? / 2. 이해관계자 지배구조의 이론적 근거 / 3. 이해관계자의 보호와 주주의 지위 / 4. 이사회와 이사 / 5. 이해관계자의 경영 참가 / 6. 평가
제7장 이해관계자 지배구조의 구체적 실현
1. 이해관계자 지배구조와 경제민주주의 / 2. 회사법의 변화 / 3. 회사지배구조의 변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