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변화는 현재 인류가 직면한 가장 심각한 문제 중 하나다. 지구온난화의 심각성에 공감한 세계 각국은 2015년 12월 파리협정을 채택함으로써 지구 기온 상승을 2도 이내로 제한하기 위한 노력을 시작했다. 파리협정으로 출범한 신기후체제는 세계 경제 및 각국의 에너지 안보에 큰 파장을 미칠 것으로 예고되고 있다. 신기후체제로 인해 에너지가 소비·공급되는 방식은 물론, 재생에너지, 원자력, 천연가스, 석탄 등 주요 에너지 산업의 동향과 다국적 기업의 경영 방식까지 혁명적으로 변화할 전망이다.
이 책은 이 같은 에너지 질서 변동을 기반으로 한 글로벌 에너지 거버넌스의 강화와 에너지 믹스의 변화, 미국, 중국, EU, 일본 등 강대국의 에너지 안보 정책을 살펴봄으로써 신기후체제가 국제 에너지에 미칠 영향을 심도 있게 분석한다. 또한 신기후체제하에서 우리나라가 처한 현실을 진단하고 나아가야 할 새로운 방향을 제안한다.
Contents
제1부 글로벌 에너지 거버넌스와 신기후체제
제1장 이론적 틀: 신기후체제와 글로벌 에너지 질서
제2장 파리기후협정과 신기후체제
제2부 에너지 믹스와 산업
제3장 신기후체제와 독일의 재생에너지 정책
제4장 신기후체제와 원자력에너지
제5장 신기후체제와 천연가스
제6장 파리협정에 따른 한국 석탄발전 산업의 추진 방향 및 전략
제7장 신기후체제하 글로벌 기업의 대응과 전략
제3부 신기후체제와 강대국의 에너지 안보
제8장 신기후체제하 미국의 기후-에너지 안보에 대한 정책 분석 및 전망
제9장 신기후체제하 중국의 에너지 정책과 외교
제10장 신기후체제하 EU의 에너지 안보 전략과 성과
제11장 신기후체제하 일본의 에너지 외교
제12장 덴마크의 에너지 정책 결정과 변천: 글로벌 에너지 안보와 지속가능 발전에 대한 시사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