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사회는 경장(更張)이 필요한 전환기에 들어섰다. 한국 사회는 37년의 고도성장 단계 이후 더 발전하지 못하고 20여 년 정체하고 있다. 성장에서 바로 쇠퇴기로 이어지지 않고 성숙 단계로 발전하기 위해서는 ‘고쳐서 확장해야 한다’. 지속가능한 발전은 유럽에서 1970년대 환경문제에 대한 반성으로부터 시작해 1980년대에 이론적으로 정립되었으며, 1990년대에 국제적으로 공론화를 거쳐 2000년대에 실천 체계를 갖추게 된다. 환경적인 한계를 고려하지 않는 경제 개발은 낭비적이고 지속 불가능하다고 주장하고 이에 대한 반성이 지속가능 발전의 시작이다. 현재는 환경문제 외에 다양한 영역에서 지속가능한 발전을 꾀한다. 이 책은 구조적 변화를 동반하는 전환기적 상황이 ‘지속가능 발전’을 통해 치유되고 통합 발전할 수 있다는 믿음에서 출발하여, 전환기 한국을 종합적으로 진단하고 대안을 제시하여 한국형 지속가능 발전 모델을 모색한다.
Contents
서문
총설 전환기, 한국형 지속가능 발전과 조화(調和) 사회 _이영한
제1부 제1장?지속가능한 문화생태계 선순환 구조와 창조 사회 _류정아 제2장?지속가능 발전을 위한 교육 패러다임의 재정립 _최돈형
제3장?지속가능 고령화사회를 위한 새로운 정책 패러다임 _최성재
제4장?지속가능한 보건 의료의 조건과 과제 _김창엽
제5장?한국인의 주거 양식과 지속가능 발전 _하성규
제6장?주민자치위원회의 여성 역할과 여성친화도시 _최금숙
제2부 제7장?한국의 과학기술과 지속가능 발전 _박성현
제8장?지속가능 발전을 위한 기후변화 대응 _전의찬
제9장?원자력과 신재생, 한반도의 지속가능 쌍두마차 에너지 _서균렬
제10장?대한민국 안전의 지속가능 발전 진단과 대안 _정재희 외
제11장?미래 수자원 관리, 통합과 혁신에서 답을 찾자 _최계운
제3부 제12장?지속가능 경제를 위한 산업구조 및 노동시장 개선 _변양규
제13장?중소기업의 지속가능 발전 진단과 대안 _김세종
제14장?한국 농업의 지속가능 발전 진단과 대안 _정학균
제15장?지속가능한 재정운용을 위한 장기 재정전망 _옥동석 외
제16장?한국 디자인의 지속가능 발전을 위한 진단과 대안 _이태용
제17장?통일 준비, 통일 이후보다 이전이 우선이다 _조동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