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대"란 무엇인가?

카를 만하임 이후 세대담론의 주제들
$51.84
SKU
9788946057289
+ Wish
[Free shipping over $100]

Standard Shipping estimated by Fri 04/18 - Thu 04/24 (주문일로부 10-14 영업일)

Express Shipping estimated by Tue 04/15 - Thu 04/17 (주문일로부 7-9 영업일)

* 안내되는 배송 완료 예상일은 유통사/배송사의 상황에 따라 예고 없이 변동될 수 있습니다.
Publication Date 2014/10/06
Pages/Weight/Size 153*224*30mm
ISBN 9788946057289
Categories 역사
Description
오늘날 비단 한국 사회뿐 아니라 전 지구적으로 ‘세대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 연금 문제, 일자리 문제, 정치적 사안 등에서 장년층과 청년층의 차이와 갈등이 나타나고 문제시되고 있다. 다른 한편 세대는 계층이나 성별과 함께 또 하나의 ‘범주’ 로서 부상하고 있다. 개인이 사회와 맺는 관계를 구성할 뿐 아니라, 사회적인 문제들을 인식하는 관점을 제공하고 그것들을 분석하는 입장을 만들어내는 것이다. 대중매체는 훨씬 빠른 걸음으로 세대 현상을 포착하여 세대 간 격차와 세대 갈등을 지적하고 있는데, 이에 비해서 학문적 범주로서 세대가 지닌 잠재성에 대한 진지한 고찰은 채 발걸음을 떼지 못하고 있다. 그래서 우리는 보통 세대 갈등을 말하고 그것은 사회적 현상이라고 보면서도, 여전히 세대란 청년기, 성년기, 노년기라는 생물학적인 시간에 따른 구분이라고 알고 있다. 이 책의 번역은 세대 문제가 향후 한국 사회와 전 지구적 상황을 가늠하는 바로미터가 될 수 있다는 인식하에, 그리고 세대 연구가 세대 현상을 따라잡지 못하고 있다는 문제의식에서 기획되었다.

특히 독일은 그들의 정치적, 역사적, 사회적 맥락에서 한국 사회의 세대 문제에 유비적인 사례가 될 수 있다. 1920년대 이후 지금까지 약 1세기 동안, 양차 세계대전 패배 이후 전쟁범죄의 청산과 68혁명의 소용돌이 그리고 통일 이후라는 현대사의 격랑을 거쳐온 독일 사회에서는 세대 갈등과 단절 또는 연속성 문제를 두고 다양한 분야의 지식인들이 담론을 생산해왔다. 이 책은 지난 1세기의 세대담론의 역사를 통시적으로 개괄하면서, 세대 개념의 현재적인 맥락을 비판적으로 숙고하는 한편 전 지구화 시대에 과도하게 나타나는 각종 세대들의 생산 메커니즘을 거슬러 검토하고 세대를 구성하는 새로운 요소들을 조망하고 있다. 연구의 외연에서뿐 아니라 연구 관점의 다양성에서 이 책은 기존의 분과학문적인 세대 연구 경향을 뛰어넘어 통합적인 세대 연구의 가능성을 제시한다. 이 책은 한국의 독자들에게 세대현상을 이해하기 위한 지적 촉매제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이며, 나아가 관련 연구자들에게 세대 연구의 ‘개설서(Compendium)’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Contents
역자 서문

세대들|울리케 유라이트/미하엘 빌트

1부 세대에 대한 개념적 논의
맥락으로 보는 ‘세대’-전쟁 세대에서 복지국가 세대까지|하인츠 부데
세대 연구에 대한 비판적 제언|M. 라이너 렙지우스
양가성: 세대 문제의 이해를 위한 하나의 시도-오늘날 세대 문제의 의미|쿠르트 뤼셔

2부 세대·계보·성
내적 대상-세대계승과 주체 형성에 대한 정신분석학적 고찰|에리카 크레이치
가족의 유대, 유령 그리고 세대 논의에서 과거정치-기원의 거부와 기원을 향한 동경|지그리트 바이겔
세대의 성-1930년대의 세대적 특성과 남성성의 관계|크리스티나 베닝하우스

3부 영웅적 세대와 탈영웅적 세대
새로운 시작인 세대 그리고 가속화|미하엘 빌트
‘상상의 공동체’로서의 세대-18세기부터 20세기까지 독일에서 나타나는 신화, 세대 정체성, 세대 갈등|마크 로즈먼
‘영웅적 근대’ 세대-기본 과제에 관한 공동 합의에 대해|하인츠 D. 키트슈타이너
다채로운, 그러나 평이한-탈영웅적 세대를 이해하기 위한 주해|카스파 마제

4부 세대와 집단적 소통
기억공동체로서의 세대-세대적 오브제 ‘유대인 추모비’|울리케 유라이트
정치적 세대와 대중매체 공론장-서독의 ‘45세대’|크리스티나 폰 호덴베르크
감정공동체-현대에서 나타나는 이미지와 세대|하보 크노흐

참고문헌

Author
울리케 유라이트,미하엘 빌트,한독젠더문화연구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