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필가·독립운동가·교육자로서 한국 근대사상의 토대를 세운
기당 현상윤 선생에 대한 모든 것을 담은 책
고려대학교 초대 총장이자 대한민국 1호 박사인 기당 현상윤의 삶과 업적을 다각도로 조명하였다. 우선 기당의 학창시절부터 서서히 배양된 민족의식과 자강주의, 그리고 ‘참’ 철학을 살펴보고, 그에 대한 실천의 차원에서 참여한 3·1운동에서의 활약상을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일제 강점기 어용학자들의 논변에 맞서 한국의 고유한 사상을 정립하려 한 결과물인 『조선사상사』와 『조선유학사』를 살펴보고, 불교에 대한 기당의 견해도 알아본다. 또한 1920년대 춘원 이광수와 견줄 만한 뛰어난 문필가였던 기당의 시를 살펴보고, 마지막으로 조국의 밝은 미래를 일구어 나가고자 선진문물을 배우고 받아들이는 동시에, 한국인이라는 자긍심을 잊지 않고자 애쓴 참된 교육자로서 모습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Contents
기당 현상윤 연구
Ⅰ. 기당의 민족운동과 자주의식: 3·1운동 전후를 중심으로 · 송재운
1. 머리말 / 2. 민족의식의 형성
3. 조선을 위해 무엇을 할 것인가 / 4. 비판력과 ‘참’의 철학
5. 자강이 없으면 자아도 없다 / 6. 민족자결의 주장
7. 기당과 3·1운동 / 8. 새 사람으로 거듭나자
9. 맺음말
Ⅱ. 현상윤과 3·1운동 · 김기승
1. 머리말 / 2. 천도교 측의 독립운동 계획과 현상윤
3. 천도교 측과 기독교 측의 연합과 현상윤 / 4. 학생층의 3·1운동 계획과 현상윤
5. 현상윤은 왜 민족대표가 되지 않았는가? / 6. 맺음말: 3·1운동에서 현상윤의 역할
Ⅲ. 기당 현상윤의 『조선사상사』 기획과한국사상사의 관점 · 김형찬
1. 머리말 / 2. 『조선사상사』의 사관
3. ?uc0조선사상사』의 시대 구분 / 4. 주제별 기술의 특징
5. 맺음말
Ⅳ. 기당의 『조선유학사』 저술 배경과 그 가치 · 오종일
1. 머리말 / 2. 기당의 시대와 조선유학에 대한 저술들
3. 기당의 의식과 『조선유학사』의 서술 배경 / 4. 『조선유학사』의 정신
5. 『조선유학사』의 특징과 의의 / 6. 맺음말
Ⅴ. 『조선사상사』의 불교사상 기술 · 조성택
1. 머리말 / 2. 한국사상사 서술에 대한 기당의 태도
3. 『조선사상사』에 나타난 ‘불교사상’ 기술의 의의와 특징 / 4. 맺음말
Ⅵ. 문학가로서 기당 현상윤 · 김인환
1. 창작 상황 / 2. 작가주석 서술
3. 일인칭 서술 / 4. 맺음말
Ⅶ. 한국 근대자유시 형성기의 현상윤 · 정우택
1. 1910년대 문학과 현상윤 / 2. 현상윤 문학의 거점
3. 현상윤 시문학의 근대적 의미 / 4. 맺음말
Ⅷ. 기당 현상윤의 교육사상과 그 인간상 · 이형성
1. 머리말 / 2. 교육관 형성과 특징
3. 교육 이상의 실현 / 4. 맺음말 / 25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