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날 세계에서 가장 유명한 사회학자 중 한 사람인 마누엘 카스텔이 25명의 일류 연구자들을 모아 네트워크 사회의 문화적·제도적 다양성에서 이 사회의 유형과 역동성을 탐구한 결과물을 펴낸 책이다. 연구자들은 네트워크 사회가 산업시대를 대체한 정보시대에 새로운 형태의 사회조직임을 증명하고 있으며, 비즈니스, 일상생활, 공공서비스, 사회적 상호작용 및 정치에서 전자 커뮤니케이션 네트워크가 결정적인 역할을 수행한다는 측면에서 전 세계 여러 사회의 기술·문화·제도적인 변환을 분석하고 있다.
미국·영국·핀란드·러시아·중국·인도·캐나다·카탈로니아의 상황을 살펴봄으로써 각기 다른 문화적·제도적 정황에서 사회적 문화와 상호작용과 동시에 발생하는 기술적 변환 과정을 분석한다. 기업생산성, 세계 금융시장, 문화 정체성, 교육과 건강 분야의 인터넷 사용, 반세계화 운동, 정치적 과정, 미디어와 정체성, 기술 발전을 이끌어가는 공공정책 등의 다양한 연구 내용을 통해 네트워크 사회는 변화하는 문화적·제도적 환경에 따라 상당히 다른 형태로 나타나고 있음을 말하고 있다.
Contents
마누엘 카스텔의 『네트워크 사회: 비교문화 관점』 번역 출간을 축하하며 | 김명준
감사의 글
엮은이 서문 | 마누엘 카스텔
제1부 네트워크 사회이론
1. 정보화주의, 네트워크, 네트워크 사회―이론적 청사진 | 마누엘 카스텔
제2부 네트워크 사회의 문화적·제도적 다양성
2. 네트워크 사회의 제도적 모델― 실리콘밸리와 핀란드 | 페카 히마넨, 마누엘 카스텔
3. 러시아의 네트워크 사회 | 엘레나 바르타노바
4. 중국의 인터넷― 국가주의 사회 속의 자유기술 | 잭 린추안추
5. 성찰하는 인터넷? 영국의 신전자기술 경험 | 스티브 울가
제3부 네트워크 경제
6. 정보는 생산성에 영향을 미치는가 | 마셜 반 알스틴, 너대니얼 벌클리
7. 네트워크 사회의 노동―실리콘밸리의 교훈 | 크리스 베너
8. 금융 네트워크의 시간, 공간, 기술 | 케이틀린 잘룸
제4부 인터넷 시대의 사회성과 사회구조
9. 온라인, 오프라인 네트워크의 사회성 | 키스 N.햄프턴
10. 인터넷 사용과 사회구조, 문화정체성, 개인 자율성― 카탈루냐의 네트워크 사회 | 마누엘 카스텔, 임마 투베야, 테레사 산초, 마리아 이사벨 디아스 데 이슬라, 배리 웰먼
11. 디트로이트 대도시 지역의 인종차별과 디지털 격차 | 웨인 E. 베이커, 케네스 M.콜먼
제5부 공익부문의 인터넷
12. 중등과정 이후의 교육에서 e-러닝의 전망과 신화 | 토니 베이츠
13. e-건강 네트워크와 사회 변환― 중앙집중화에 대한 기대, 분산의 경험 | 제임스 E.카츠, 로널드 E.라이스, 소피아 K.어코드
14. 디지털 격차 축소― 미국 공동체 기술운동의 잠재와 한계 | 리사 J.세르본, 랜덜 D.핀켓
제6부 네트워크 사회운동과 정보화 정치
15. 네트워크 사회 운동― 세계정의를 위한 세계운동 | 제프리 S.주리스
16. 미디어 정치에서 네트워크 정치로― 인터넷과 정치 과정 | 아라바 세이, 마누엘 카스텔
제7부 네트워크 사회의 문화
17. 텔레비전, 인터넷, 정체성의 구축 | 임마 투베야
18. 세계화, 정체성, 텔레비전 네트워크― 다문화 인도의 공동체 매개와 세계 대응 | 안슈 채터지
19. 정보시대의 문화로서 해커 윤리|페카 히마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