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북아시아의 국제이주와 다문화주의

$24.15
SKU
9788946047877
+ Wish
[Free shipping over $100]

Standard Shipping estimated by Wed 12/11 - Tue 12/17 (주문일로부 10-14 영업일)

Express Shipping estimated by Fri 12/6 - Tue 12/10 (주문일로부 7-9 영업일)

* 안내되는 배송 완료 예상일은 유통사/배송사의 상황에 따라 예고 없이 변동될 수 있습니다.
Publication Date 2013/11/29
Pages/Weight/Size 153*224*30mm
ISBN 9788946047877
Categories 사회 정치 > 사회학
Description
다문화사회로 급속히 변모해가는 동북아시아
하지만 다문화사회에 대한 각국의 대응은 미흡한 실정이다!


이 책은 21세기의 중심으로 부상하는 아시아, 그중에서도 가장 역동적인 동북아시아에서의 초국가적 이주와 그로 인해 현실화되는 다문화사회에 관해 다루고 있다. 동북아시아의 국가들은 빠르게 다인종·다문화사회로 변모해가는 중이다. 아직까지는 동북아시아의 개별 국가들에서 외국인이 전체 인구의 2~3%에 머물고 있어 현재 서구사회에서 벌어지고 있는 인종 및 종족 갈등이 가시화되고 있지 않지만, 정주 외국인들의 수가 빠르게 증가하고 이민 2세들이 성장하면서 앞으로 동북아시아는 전례 없는 다문화사회의 도전을 맞게 될 것이다. 이러한 다문화사회로의 변화에도 불구하고 동북아시아 국가들은 국민의식과 법제도 차원에서 다문화주의적인 대응을 하지 못함으로써 사회문화적 혼란과 갈등을 경험하고 있다.
Contents
제1장 서론

1. 초국가적·다문화적 공간으로서의 동북아시아
2. 자료와 연구방법

제2장 이론과 선행연구

1. 국제이주
2. 초국가주의
3. 다문화주의

제3장 한국의 국제이주와 다문화주의

1. 국제이주의 동향과 특성
2. 소수자집단의 실태
3. 외국인 정책의 전개와 특성
4. 다문화주의의 전개와 특성
5. 정부와 시민사회의 역할

제4장 일본의 국제이주와 다문화주의

1. 국제이주의 동향과 특성
2. 소수자집단의 실태
3. 외국인 정책의 전개와 특성
4. 다문화공생 정책의 전개와 특성
5. 이민자통합과 다문화주의 실천 수준
6. 정부와 시민사회의 역할

제5장 대만의 국제이주와 다문화주의

1. 국제이주
2. 소수자집단의 실태
3. 이민정책의 전개와 추진주체
4. 다문화주의의 전개와 특성
5. 정부, 종족집단, 시민사회의 역할

제6장 요약 및 결론

1. 요약
2. 결론
Author
윤인진
고려대학교 사회학과를 졸업한 후 미국 시카고대학교에서 사회학 석사과정 및 박사과정을 마쳤다. 이후 캘리포니아주립대학교 샌타바버라 캠퍼스 조교수를 거쳐 현재 고려대학교 사회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그동안 국무총리 소속 외국인정책위원회 민간위원, 재외한인학회 회장, 북한이탈주민학회 회장 등으로 활동했다. 주요 저서로는 On My Own: Korean Businesses and Race Relations in America, 『코리안 디아스포라: 재외한인의 이주, 적응, 정체성』, 『한국인의 갈등의식』, 『북한이주민: 생활과 의식, 그리고 정착지원정책』, 『한국인의 이주노동자와 다문화사회에 대한 인식』, 『동북아의 이주와 초국가적 공간』, 『한국인의 갈등의식의 지형과 변화』, 『재외한인연구의 동향과 과제』, 『세계의 한인이주사』 등이 있다.
고려대학교 사회학과를 졸업한 후 미국 시카고대학교에서 사회학 석사과정 및 박사과정을 마쳤다. 이후 캘리포니아주립대학교 샌타바버라 캠퍼스 조교수를 거쳐 현재 고려대학교 사회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그동안 국무총리 소속 외국인정책위원회 민간위원, 재외한인학회 회장, 북한이탈주민학회 회장 등으로 활동했다. 주요 저서로는 On My Own: Korean Businesses and Race Relations in America, 『코리안 디아스포라: 재외한인의 이주, 적응, 정체성』, 『한국인의 갈등의식』, 『북한이주민: 생활과 의식, 그리고 정착지원정책』, 『한국인의 이주노동자와 다문화사회에 대한 인식』, 『동북아의 이주와 초국가적 공간』, 『한국인의 갈등의식의 지형과 변화』, 『재외한인연구의 동향과 과제』, 『세계의 한인이주사』 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