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1부 탈식민시대의 학문 주체화: 해외 사례들
제1장_ 프리드리히 리스트의 경제학 주체화 전략에 대한 비판적 검토(신정완)
제2장_ 일본적 학문을 찾아서(원지연)
제3장_ 중국 지식인의 현대성 담론과 아시아 구상: 왕후이의 학문 주체화 전략에 대한 평가와 비판(조경란)
제4장_ 오리엔탈리즘과 동아시아: 근대 동아시아의 ‘타자화’와 저항의 논리(김정현)
제5장_ 남아프리카의 노마드적 주체와 탈근대 지식(장시기)
제2부 학문 주체화 실천의 궤적: 국내 사례들
제6장_ 한국 자본주의사의 주체적 개념화(조석곤)
제7장_ 분단과 통일에 관한 인문학적 성찰: 강만길, 백낙청, 송두율(김정인)
제8장_ ‘민중’ 개념의 계보학(이세영)
제3부 창조적 개념 개발을 통한 학문 주체화: 새로운 시도들
제9장_ 개발자본주의론 서설: 홉스적 협력자본주의와 그 딜레마(이병천)
제10장_ 장외정치, 운동정치와 ‘정치의 경계 허물기’: 비합법전위조직운동, 재야운동, 낙선운동, 광주꼬뮨(조희연)
제11장_ 한국 노동자 저항의 동력: ‘권리’ 담론과 ‘대동의 감각’(김동춘)
제12장_ 출세의 지식, 해방의 지식: 1970년대 민주노동운동과 여성(김경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