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구려 고분벽화에 담긴 철학적 세계관

한국고대철학의 재발견
$24.84
SKU
9788942390786
+ Wish
[Free shipping over $100]

Standard Shipping estimated by Fri 05/2 - Thu 05/8 (주문일로부 10-14 영업일)

Express Shipping estimated by Tue 04/29 - Thu 05/1 (주문일로부 7-9 영업일)

* 안내되는 배송 완료 예상일은 유통사/배송사의 상황에 따라 예고 없이 변동될 수 있습니다.
Publication Date 2020/03/17
Pages/Weight/Size 152*225*35mm
ISBN 9788942390786
Categories 인문 > 한국철학
Description
벽화에서 쏟아져 나오는 무궁무진한 고대철학의 보고寶庫
표현인문학의 지평으로 고구려인의 정신세계가 때로는 익살맞게, 때로는 장엄하게 드러난다
인간과 초월자, 존재와 우주, 삶과 죽음 등 거대한 스케일로 펼쳐지는 동서 철학의 메타포


고구려 고분벽화와 고대천문학에 대한 학계의 성과가 축적되는 가운데 비로소 고구려벽화의 고대철학적 의미를 탐구한 성과물이 출간된다. 하이데거 철학을 전공, 동서 철학을 종횡무진 넘나들어 온 윤병렬 교수는 고인돌 연구에 이어 “한국고대철학의 재발견”이라는 거대 프로젝트를 진수시킨다. 표현인문학적 방법론으로 벽화 속 심오한 상징들이 입체적으로 비-은폐, 재창조되어 나간다. 베일에 싸여 있던 고구려인들의 사유는 하이데거와 엘리아데, 플라톤 등의 개념을 입고 한 단계 명징하게, 그러나 특별하게 드러난다.
Contents
들어가는 말 _ 4

제1장 문화망각과 고분벽화학 _ 17

제2장 고분벽화의 표현인문학과 예술철학 _ 45

제3장 생활세계의 철학 -“거주함”의 철학적 지평 _ 63

1. 하이데거의 거주함의 철학 _ 65
2. 엘리아데의 성화聖化된 거주 _ 74
3. 고분과 고분벽화 및 거주함 _ 78
4. 고구려인들의 거주함에 관한 성찰 _ 83

제4장 고향과 귀향의 철학 _ 93

1. 고향을 찾아가는 인간의 본래성 _ 94
2. 플라톤의 귀향의 철학 _ 99
3. 횔더린의 고향과 “미지의 나라” _ 106
4. 하이데거의 귀향의 철학 _ 109
5. 성서의 귀향과 영원한 고향 _ 135
6. 혜초의 망향가 _ 141
7. 고구려인들의 고향 _ 146
8. 고구려인들의 경천사상 _ 154

제5장 잃어버린 축제 _ 173

1. 귀향으로부터의 축제 _ 174
2. 고대 한국인들의 축제- 인간과 초월자의 한마당 _ 174

제6장 불멸하는 하늘나라의 “세계수”와 신선들 _ 191

1. 세계수가 있는 낙원 _ 192
2. 원시도교原始道敎의 향연 _ 196
3. 불멸을 밝히는 별무리들 _ 214
4. 하늘나라에 건립된 유토피아 _ 233

제7장 문명의 창조 _ 247

제8장 땅에서와 같이 하늘에서도 -이원론의 극복 _ 259

제9장 ‘사방’으로서의 코스모스
-플라톤과 하이데거 및 고구려의 고분벽화의 사방세계 - 265


제10장 사방세계로 파악된 고구려인들의 코스모스
-불멸의 사방-놀이 _ 281


제11장 사신도四神圖와 사수도四宿圖의 철학적 세계관 _ 295

1. 사신도와 사수도의 세계관에 대한 개요 _ 296
2. 고구려 고분벽화와 백제 및 신라의 사신도와 사수도 _ 305
3. 동양의 천문도에서 적도 28수의 사신도와 사수도 _ 318
4. 해와 달 _ 329
5. 북두칠성과 남두육성(남두칠성) _ 340
6. 사수도(해와 달, 북두와 남두) _ 357

제12장 보살핌의 철학에 대한 인식론적 정당성 물음 _ 361

1. 근대적 인식론과 자연관 극복 _ 362
2. 하이데거의 비은폐성으로서의 진리Aletheia와 피지스 개념의 복권_368
3. 칸트의 “반성적 판단력”과 “공통감”에 의한 자연에의 새로운 접근_381
4. 사신도와 사수도 사상에 대한 인식론적?존재론적 접근
-플라톤의 『티마이오스』를 중심으로 _ 398
5. 사신도-사수도의 세계관 이해 -인식론에서 의미의 존재론으로_405

제13장 철학과 종교의 과제로서 불멸성 _ 425

1. 인간의 궁극적 과제로서 불멸성 _ 426
2. 선사시대의 성혈고인돌에 새겨진 불멸사상 _ 432
3. 수메르의 『길가메쉬 서사시』에서 불멸에 대한 물음 _ 451
4. 호메로스의 서사시에서 하데스와 인간의 불멸성 _ 458
5. 오르페우스의 신화에서 영혼의 불멸 _ 463
6. 플라톤의 영혼불멸론 _ 466

제14장 고구려의 고분벽화에 드러난 불멸사상 _ 471

나오는 말 _ 489
참고문헌 _ 492
찾아보기 _ 503
Author
윤병렬
독일의 본(Bonn)대학교 철학과에서 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한국하이데거학회 회장을 지냈으며, 현재 홍익대학교 교수, 연세대학교 철학연구소 전문연구원으로 활동하고 있다.
주요 저서로는 『철학의 센세이션』(2002년 문화관광부 우수도서), 『정보해석학의 전망』, 『고구려의 고분벽화에 그려진 한국의 고대철학』, 『노자에서 데리다까지』(공저), 『감동철학 우리 이야기 속에 숨다』, 『산책로에서 만난 철학』, 『한국 해학의 예술과 철학』(2014년 대한민국학술원 우수도서), 『선사시대 고인돌의 성좌에 새겨진 한국의 고대철학 - 한국고대철학의 재발견』 등이 있고, 논문으로는 「플라톤 철학과 형이상학 논쟁」, 「존재에서 존재자로?: E. 레비나스의 존재이해와 존재오해」, 「하이데거의 존재사유에서 고향상실과 귀향의 의미」, 「하이데거와 도가철학의 근친적 사유세계」(한국학중앙연구원), 「‘말하는 돌’과 ‘돌의 세계’ 및 고인돌에 새겨진 성좌」(한국학중앙연구원), 「하이데거와 도가(道家)의 해체적 사유」(한국학중앙연구원) 등이 있다.
독일의 본(Bonn)대학교 철학과에서 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한국하이데거학회 회장을 지냈으며, 현재 홍익대학교 교수, 연세대학교 철학연구소 전문연구원으로 활동하고 있다.
주요 저서로는 『철학의 센세이션』(2002년 문화관광부 우수도서), 『정보해석학의 전망』, 『고구려의 고분벽화에 그려진 한국의 고대철학』, 『노자에서 데리다까지』(공저), 『감동철학 우리 이야기 속에 숨다』, 『산책로에서 만난 철학』, 『한국 해학의 예술과 철학』(2014년 대한민국학술원 우수도서), 『선사시대 고인돌의 성좌에 새겨진 한국의 고대철학 - 한국고대철학의 재발견』 등이 있고, 논문으로는 「플라톤 철학과 형이상학 논쟁」, 「존재에서 존재자로?: E. 레비나스의 존재이해와 존재오해」, 「하이데거의 존재사유에서 고향상실과 귀향의 의미」, 「하이데거와 도가철학의 근친적 사유세계」(한국학중앙연구원), 「‘말하는 돌’과 ‘돌의 세계’ 및 고인돌에 새겨진 성좌」(한국학중앙연구원), 「하이데거와 도가(道家)의 해체적 사유」(한국학중앙연구원) 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