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부적

제액초복(除厄招福), 인간의 간절한 염원
$30.24
SKU
9788936921361
+ Wish
[Free shipping over $100]

Standard Shipping estimated by Fri 05/9 - Thu 05/15 (주문일로부 10-14 영업일)

Express Shipping estimated by Tue 05/6 - Thu 05/8 (주문일로부 7-9 영업일)

* 안내되는 배송 완료 예상일은 유통사/배송사의 상황에 따라 예고 없이 변동될 수 있습니다.
Publication Date 2020/03/31
Pages/Weight/Size 155*235*30mm
ISBN 9788936921361
Categories 종교 > 역학/사주
Description
2021 대한민국학술원 우수학술도서 선정

이 책은 우리나라 부적의 시원부터 현재에 이르는 부적의 역사적 고찰을 비롯하여 부적의 종류, 부적 제작자와 제작법, 부적 문양의 상징성과 의미, 민간신앙이 창조해 낸 현대 미술의 원형으로서의 부적의 예술성, 부적 관련 구비문학, 그 외 저자가 직접 설문 조사한 자료까지 두루 다루고 있다.
Contents
들어가는 말

제1장 부적의 개념과 연구

부적의 개념
부적의 연구

제2장 부적의 기원과 변천

상고시대(上古時代)의 부적
암각화의 부적 | 고조선의 부적
삼국시대의 부적
인물 형상 부적 | 도깨비 형상 부적 | 동물 형상 부적-12지와 석수 |
주문부적 | 밀교부적 | 기타 부적
고려시대의 부적
불교와 부적 | 국가의례와 부적-계동대나의(季冬大儺儀) |
구전 작품과 부적-불가살이부적 | 기타-닭 그림 부적
조선시대의 부적
세시풍속 관련 부적 | 일생 의례와 부적 | 실생활 관련 부적 |
종교 관련 부적 | 불교 부적 | 기타 부적
근현대의 부적
종교와 부적 | 평생 의례와 부적 | 구전 자료와 부적

제3장 부적의 제작과 전승 양상

부적 제작자
무속인 | 불승
부적 제작법
단식법 | 자동기술법
부적 제작의 절차
부적집에 소개된 부적 제작 절차 | 현재 부적을 제작하는 절차
부적의 전승 양상
대상에 따른 전승 양상 | 매체에 따른 전승 양상 |
학문과 예술을 통한 전승 양상

제4장 부적 기호와 문양의 상징성

부적의 기호적 상징성
부적 문양의 상징성
삼절 양식 | 화관석 양식 | 소용돌이무늬(와문) 양식 | 궐수문 양식

제5장 부적의 종류와 기능

부적의 종류
귀신 관련 부적 | 질병 관련 부적 | 재액 소멸 관련 부적 | 동물 관련 부적
부적의 성격과 기능
부적의 가시성·효율성·구체성 | 부적의 벽사성과 길상성

제6장 부적과 예술, 그리고 현대적 가치

부적의 주술성과 현대 미술
요셉 보이스 | 백남준 | 오윤 | 앙드레 마송
부적과 구비문학
기문둔갑과 부적 | 동방삭과 부적 | 두꺼비의 둔갑과 부적 |
아미타불과 부적 | 용녀의 아기와 부적 | 인왕산 호랑이와 부적 |
배 위의 서당과 무적 | 효성스러운 호랑이와 부적
부적의 현대성과 가치

참고문헌
Author
김영자
고려대학교 국제대학원 한국학과에서 「The symbolic meaning of tigers in San-Shin Do」로 문학석사, 같은 학교 일반대학원 문화재학협동과정에서 「한국 부적의 역사와 기능」으로 문학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1974년부터 인테리어 디자인 사무실과 화랑을 운영해 왔고, 현재는 람아트바자(www. ramgalllery.co.kr) 대표로 있다.

오랜 시간 국내와 미국, 유럽 등지에서 쌓아온 부적에 대한 전문성을 바탕으로 2010년 방영된 EBS 다큐프라임 ‘부적’ 편에 출연했고, 국립민속박물관에서 2011년 펴낸 『한국민속신앙사전』의 ‘부적’ 항목을 집필했다.

저서로는 『한국의 벽사부적』과 공동 저서 『삼국유사의 세계』 등이 있고, 논문으로는 「산신도에 나타난 호랑이, 배경, 지물의 상징성」·「산신도에 표현된 산신의 유형」·「한국 산신신앙의 역사와 산신도의 유형」 등이 있다.
고려대학교 국제대학원 한국학과에서 「The symbolic meaning of tigers in San-Shin Do」로 문학석사, 같은 학교 일반대학원 문화재학협동과정에서 「한국 부적의 역사와 기능」으로 문학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1974년부터 인테리어 디자인 사무실과 화랑을 운영해 왔고, 현재는 람아트바자(www. ramgalllery.co.kr) 대표로 있다.

오랜 시간 국내와 미국, 유럽 등지에서 쌓아온 부적에 대한 전문성을 바탕으로 2010년 방영된 EBS 다큐프라임 ‘부적’ 편에 출연했고, 국립민속박물관에서 2011년 펴낸 『한국민속신앙사전』의 ‘부적’ 항목을 집필했다.

저서로는 『한국의 벽사부적』과 공동 저서 『삼국유사의 세계』 등이 있고, 논문으로는 「산신도에 나타난 호랑이, 배경, 지물의 상징성」·「산신도에 표현된 산신의 유형」·「한국 산신신앙의 역사와 산신도의 유형」 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