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어가 문화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큰 만큼 한민족이 쓰는 한국어에는 한국문화가 고스란히 담겨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그런 이유로 한국어 탐구는 바로 한국문화 탐구로 이어지고, 우리말 사랑은 그대로 한국문화 사랑으로 이어진다.
Contents
머리말
1장 언어와 문화
1. 말은 곧 그릇
2. 우리말의 뿌리
3. 고유어는 연어의 모천(母川)
4. 말 속에 담긴 것
2장 우리말의 아름다움
1. 가장 한국적인 언어
2. 형태·어휘상의 특성
새 낱말을 만드는 기술 한자어의 고유어화
세 어휘군의 위상 고유어의 감각성
미각어의 감칠맛 상징어의 세계
3. 문장?담화에서의 특성
서술어 중심의 문장 상대 중심의 상황 의존형
주관적 간접화법 완곡어법
3장 우리말과 우리문화
언어와 문화
한국인의 정서용어
1. 자연주의 언어
자연(自然)과 자유(自由)
짓는 일과 삶 초가집과 온돌 오솔길의 자연성
세모시 옥색 치마
자연에의 관조
농경문화의 언어
무언(無言)의 언어
계절 용어의 운치
사계(四季)의 고유 이름 보릿고개와 바람꽃
비 오는 날의 풍경 철 따라 부는 바람
땅 이름에서의 자연지명
주관적 방위명 내외?전후?좌우
삭이고 푸는 문화
체념과 해소 ‘어차피’와 ‘차라리’
심심풀이와 푸닥거리 삭임의 음료수
한국의 발효식품
식문화에서의 자연성
먹고 마시는 일 자연에서 얻는 나물
수렵에서 얻는 고기 조리 용어의 전통성
그릇의 고유 이름
한국문화는 깁는 문화
바느질 하는 여인 시집살이와 누비바지
2. 인본주의 언어
한국인의 인간관
인간?인간적 인간성?인정 인간 중심의 계량법 인체 위주의 의상
한국인의 얼굴
인간은 되어가는 존재
‘-답다’와 됨됨이
한국인의 생사관
숨쉬기와 삶 죽음은 돌아가시는 일
죽음의 극복
한국인의 행복관
행복의 고유어 유머와 박수?갈채
웃음과 울음 슬픔의 곡절 한국인의 내일
사람과 사람 사이
나와 우리 한솥밥의 의미 나그네의 애수
너나들이와 한 가지 끈과 맺음의 사회
이웃과 담 서열에 따른 호칭 성(性)의 언어
우리말의 가족 호칭
3. 감성주의 언어
한국인의 감성
끼 있는 민족 놀이와 노래
놀이와 신바람
감성 언어의 현장
연달래?진달래?난달래 얼짱과 몸짱
한국인의 욕설
식생활에서의 감성
한민족은 탕 민족 매운맛의 민족성
무속과 감성
생활 속의 무속 신(神)의 고유어
악귀들의 이름
우리말의 주술성
보이지 않는 것과의 대화 덕담과 말의 씨
고맙습니다 비나이다
감성 언어의 뒤안
안개 언어 ‘-적(的)’과 ‘-것’
한국인의 숫자관 ‘셈 치고’의 생리
4장 우리말의 고유 이름
1. 아리랑의 강, 한강
하나 되기 원하는 강 전설이 흐르는 아리수
나루터의 풍류
2. 지명과 전설
지명의 유래·전설?어원 고운담골과 삼년산
달래골과 월출산 울산바위와 울릉도
금정산과 ‘새울이’ 흰 새와 백령도
탄천과 고마내
3. 행정지명의 작명
작명에서의 지역 이기주의 금강시(錦江市)와 세종시
성남·광주·하남의 한산시(漢山市)
4. 전철역 이름
바른 말 바른 표기 전철역 이름과 대학
고유지명의 역 이름
5장 언어생활의 반성
1. 우리말 순화를 위하여
우리말의 피폐 요인 된소리의 남용
극단적 표현법 전?통언어상의 막글
2. 우리말 성경을 위하여
한국어 번역 한 세기 한글로 표기한 한자말
다듬어져야 할 어휘 한자말의 우리말화
하느님과 하나님
Author
천소영
1946년 부산에서 태어났다. 고려대학교 문과대 국어국문학과를 졸업하고 같은 대학 대학원 석사.박사과정을 수료했다. 문학박사. 문교부(교육부) 국어심의회 전문위원이자 고려대, 홍익대, 경기대, 아주대에서 강의하고 있다. 수원대학교 인문대 국어국문학과 교수로 재직중이다.(1982∼현재) 한국어학회 학회장을 역임하였고 현재 지명학회 회장으로 평소 고대지명 어휘를 탐구하면서 고유어의 뿌리에 대해 관심과 애착을 갖게 되었고 극 과정에서 다음과 같은 우리말 어원에 관련된 책을 펴낸바 있다.
1946년 부산에서 태어났다. 고려대학교 문과대 국어국문학과를 졸업하고 같은 대학 대학원 석사.박사과정을 수료했다. 문학박사. 문교부(교육부) 국어심의회 전문위원이자 고려대, 홍익대, 경기대, 아주대에서 강의하고 있다. 수원대학교 인문대 국어국문학과 교수로 재직중이다.(1982∼현재) 한국어학회 학회장을 역임하였고 현재 지명학회 회장으로 평소 고대지명 어휘를 탐구하면서 고유어의 뿌리에 대해 관심과 애착을 갖게 되었고 극 과정에서 다음과 같은 우리말 어원에 관련된 책을 펴낸바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