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권 중산층

한국 중간계층의 분열과 불안
$21.60
SKU
9788936486877
+ Wish
[Free shipping over $100]

Standard Shipping estimated by Wed 05/7 - Tue 05/13 (주문일로부 10-14 영업일)

Express Shipping estimated by Fri 05/2 - Tue 05/6 (주문일로부 7-9 영업일)

* 안내되는 배송 완료 예상일은 유통사/배송사의 상황에 따라 예고 없이 변동될 수 있습니다.
Publication Date 2022/11/15
Pages/Weight/Size 140*210*20mm
ISBN 9788936486877
Categories 사회 정치 > 사회비평/비판
Description
도약이냐 추락이냐,
욕망과 불안을 떠안은
한국의 중간계층은 어떻게 분열되는가


중산층이 사라지고 있다. 1980년대 후반 인구의 70%에 달하는 사람들이 스스로를 중산층이라 여겼지만, 2010년대에 이르면 그 규모는 20~40%로 크게 하락한다. 경제적?사회적 불평등이 날로 심각해지며 한국사회는 소수의 부유층과 다수의 저소득층으로 분열되었다. 사회 전체의 부는 소수집단에 집중되었고, 이러한 양극화는 중산층 밖에서뿐 아니라 중산층 내에서도 발생했다. 한국의 중간계층은 소수의 부유한 상류 중산층과 다수의 일반 중산층으로 나뉘게 되었다.

IMF 구제금융 이후 경제적 양극화 과정에서 새롭게 등장한 ‘특권 중산층’의 계급적 특징을 분석한 『특권 중산층: 한국 중간계층의 분열과 불안』이 출간되었다. 미국 하와이대 사회학과 명예교수이자 동아시아 노동연구의 선구자로 주목받아온 저자 구해근이 오늘날 한국 중산층 계급의 지형도를 새롭게 그리며, 한국사회의 계급동학을 주도하며 부상한 신흥 상류 중산층을 ‘특권 중산층’이라 명명한다. 저자는 특권 중산층이 지닌 계급세습에 대한 욕망과 근본적인 불안을 분석하고, 이들의 계급적 행위가 사회 전체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심도 있게 파헤친다. 이 책은 2022년 7월 미국에서 발간된 Privilege and Anxiety: The Korean Middle Class in the Global Era(New York: Cornell University Press)를 수정?보완한 것으로, 한국의 현실을 더욱 면밀히 반영해 국내 독자들에게 선보인다. 구해근이 눈여겨본 특권 중산층은 한국의 중간계층뿐 아니라 한국사회 전체를 이해하는 열쇠가 된다. 『특권 중산층』을 따라 읽다보면 오늘날 극심한 경제적?사회적 불평등과 불안정한 중산층의 지위, 그리고 기울어진 계급 구조가 그 어느 때보다 명확히 그려질 것이다.
Contents
책머리에

서론 중산층은 사라지는가
1장 한국 중산층의 형성과 와해
2장 불평등 구조의 변화
3장 특권 중산층의 등장
4장 강남 스타일 계급 형성
5장 명품, 웰빙, 계급 구별짓기
6장 교육 계급투쟁
7장 글로벌 교육 전략
결론 특권과 불안

후기


참고문헌
Author
구해근
미국 하와이대학 사회학과 명예교수. 서울대학교 사회학과를 졸업하고 중앙일보 사회부 기자를 거쳐 캐나다 브리티시컬럼비아대학에서 석사과정을 수료, 미국 노스웨스턴대학에서 사회학 석·박사학위를 취득했다. 하와이대학 교수로 오래 재직하며 한국과 유럽 여러 대학의 초빙교수를 역임했다. 한국의 산업화 과정에서 잉태된 문제를 사회학적으로 조명하는 연구를 계속해오고 있다. “Strong State and Contentious Society” “Middle Class Politics in the New East Asian Capitalism” “Modernity in Korea” “From Farm to Factory” “The Global Middle Class” 등 다수의 논문을 발표했으며, 대표 저서로 2003년 미국 사회학회가 ‘아시아 부문 최우수 저서’로 선정한 Korean Workers: The Culture and Politics of Class Formation이 있다. 이 책은 한국에서 『한국 노동계급의 형성』으로 출판된 후 중국어, 일본어, 태국어로 번역되었다. 편저로 State and Society in Contemporary Korea, Modern Korean Labor 등이 있다.
미국 하와이대학 사회학과 명예교수. 서울대학교 사회학과를 졸업하고 중앙일보 사회부 기자를 거쳐 캐나다 브리티시컬럼비아대학에서 석사과정을 수료, 미국 노스웨스턴대학에서 사회학 석·박사학위를 취득했다. 하와이대학 교수로 오래 재직하며 한국과 유럽 여러 대학의 초빙교수를 역임했다. 한국의 산업화 과정에서 잉태된 문제를 사회학적으로 조명하는 연구를 계속해오고 있다. “Strong State and Contentious Society” “Middle Class Politics in the New East Asian Capitalism” “Modernity in Korea” “From Farm to Factory” “The Global Middle Class” 등 다수의 논문을 발표했으며, 대표 저서로 2003년 미국 사회학회가 ‘아시아 부문 최우수 저서’로 선정한 Korean Workers: The Culture and Politics of Class Formation이 있다. 이 책은 한국에서 『한국 노동계급의 형성』으로 출판된 후 중국어, 일본어, 태국어로 번역되었다. 편저로 State and Society in Contemporary Korea, Modern Korean Labor 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