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소수자에 대한 오해를 바로잡고 차별과 혐오를 불식하기 위해 필요한 필수지식을 집약한 『무지개는 더 많은 빛깔을 원한다: 성소수자 혐오를 넘어 인권의 확장으로』가 출간되었다. 저자 한국성소수자연구회는 성소수자 문제를 다학제적으로 접근하려는 목적으로 교육학, 법학, 보건학, 사회복지학, 사회학, 신학, 인류학 등 다양한 학문 분야의 전문가들이 모여 지난 2016년 3월 결성된 연구자 모임으로, 2019년 12월 이 책의 출간과 함께 한국 성소수자 인권을 위한 본격적인 활동을 시작한다. 이 책에는 연구회 소속 19인이 참여해 성별이분법과 이성애 중심주의에서 벗어난 다양한 성별정체성과 성적 지향에 대한 올바른 지식을 전하고, 이들을 비정상으로 낙인찍는 한국의 법·제도적 현실을 조목조목 비판한다. 나아가 혐오의 세상을 살아가는 성소수자의 삶을 생생한 면담 자료와 풍부한 통계를 통해 선명하게 그려내고, 성소수자의 가족구성권과 재생산권, 트랜스젠더 성별정정 등 여러 쟁점을 논하며 성소수자 인권이 존중받는 미래를 향한 제언을 담았다.
Contents
책을 펴내며
용어해설
제1장 젠더와 성소수자: 성별이분법, 불가능한 상상 (박한희)
제2장 동성애, HIV 감염, 그리고 혐오 (김승섭)
제3장?트랜스젠더가 오롯하게 살아가기 위해서 (이혜민)
제4장?성소수자의 노동: 혐오와 차별의 일상과 위태로운 노동권 (김정혜)
* 성적 다양성을 존중하는 기업들 (김정혜)
제5장 성소수자에 대한 편견: 논리적 오류를 넘어서 (최훈)
제6장 성소수자와 그리스도교: 성공할 수 없는 그들만의 마녀재판 (자캐오)
제7장 청소년 성소수자의 안전지대를 찾아서 (김지혜)
* 성소수자와 학교교육 (조대훈)
제8장 성소수자와 가족: 우리들의 커밍아웃 (이지하)
* 부모가 경험하는 자녀의 커밍아웃 (이지하)
제9장 소수자의 가족구성권: 정상가족 모델을 넘어서 (김순남)
* 성소수자와 재생산권 (나영정)
제10장 퀴어운동과 민주주의: 퀴어 죽음정치의 종언 (김현미)
* 성소수자에 관한 인류학적 사례 (김현미)
제11장 성소수자 인권과 법적 쟁점 (이승현)
* 성소수자와 형사절차 (홍기옥)
제12장 퀴어문화축제: 가시성과 자긍심의 축제 (조수미)
* “우리가 여기에 있다!” 2018년 인천퀴어문화축제 (조수미)
제13장 [좌담] 한국 성소수자 운동의 역사 (홍성수, 박한희, 이종걸, 이호림)
* 대학?청년 성소수자 운동의 전개 (심기용)
성소수자에 대한 혐오에 맞서 공존의 사회를 호소하는 연구자들의 입장
주
Author
한국성소수자연구회
인간의 젠더와 섹슈얼리티에 관한 교육학, 법학, 보건학, 사회복지학, 사회학, 신학, 인류학 등 다양한 학문 분야의 전문가들이 만든 연구회. 한국 성소수자 연구의 학문적·사회적 발전을 증진하려는 목적으로 2016년 3월 결성된 연구자 모임이다.
인간의 젠더와 섹슈얼리티에 관한 교육학, 법학, 보건학, 사회복지학, 사회학, 신학, 인류학 등 다양한 학문 분야의 전문가들이 만든 연구회. 한국 성소수자 연구의 학문적·사회적 발전을 증진하려는 목적으로 2016년 3월 결성된 연구자 모임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