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책은 1945년부터 2025년까지 세계체제가 겪어온 변천과정과 그 구조적 한계를 분석하면서 꼰드라띠예프 주기, 헤게모니 주기, 역사적 자본주의의 장기지속이라는 세 가지 복합적 시간대의 중첩 속에서 현재의 자본주의 위기를 설명하고 있다. 또한 세계체제의 변화를 국가간체제, 세계 생산, 세계 노동력, 세계 인간복지, 국가의 사회적 응집력, 지식의 구조 등 여섯 개의 하위 영역으로 나누어 고찰함으로써, 이 영역들이 서로 영향을 주고받으면서 만들어내는 세계체제의 역사적 형태를 보여준다.
Contents
1. 세계체계 : 위기는 있는가?
2. 국가간체계
3. 세계생산
4. 세계노동력
5. 세계인간복지
6. 국가의 사회적 응집력
7. 지식의 구조
8. 전지구적 구도, 1945~90
9. 전지구적 가능성, 1990~2025
Author
백승욱,김영아
미국 컬럼비아대학 사회학과에서 아프리카 연구로 박사 학위를 받았다. 동 대학과 뉴욕주립대학 교수로 재직했으며 예일대학 석좌교수를 지냈다. 2005년까지 뉴욕주립대학 페르낭브로델센터 소장을 역임했다. 종속이론과 아날학파의 영향을 받았으며, 세계의 역사와 사회 전체를 하나의 시스템으로 보는 세계체제론으로 국제적인 주목을 받았다. 주저 《근대세계체제》(전4권)를 비롯하여 《세계체제와 아프리카》, 《유럽적 보편주의》, 《지식의 불확실성》, 《월러스틴의 세계체제 분석》, 《미국 패권의 몰락》, 《우리가 아는 세계의 종언》, 《이행의 시대》, 《자유주의 이후》, 《반체제 운동》 등 많은 저작이 국내에 번역 소개되었다.
미국 컬럼비아대학 사회학과에서 아프리카 연구로 박사 학위를 받았다. 동 대학과 뉴욕주립대학 교수로 재직했으며 예일대학 석좌교수를 지냈다. 2005년까지 뉴욕주립대학 페르낭브로델센터 소장을 역임했다. 종속이론과 아날학파의 영향을 받았으며, 세계의 역사와 사회 전체를 하나의 시스템으로 보는 세계체제론으로 국제적인 주목을 받았다. 주저 《근대세계체제》(전4권)를 비롯하여 《세계체제와 아프리카》, 《유럽적 보편주의》, 《지식의 불확실성》, 《월러스틴의 세계체제 분석》, 《미국 패권의 몰락》, 《우리가 아는 세계의 종언》, 《이행의 시대》, 《자유주의 이후》, 《반체제 운동》 등 많은 저작이 국내에 번역 소개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