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에서 민족주의는 특수하다. 한국인들을 가장 강하게 결속하는 이데올로기적 규정력인 단일민족의식은 왜 생겨났으며, 민족주의가 한국사회에 끼친 공과는 무엇인가. 이 책은 재미 한인 사회학자가 위의 질문에 대답하기 위해 한국인의 단일민족의식의 형성과 발전과정 그리고 공과 과를 역사사회학적, 정치사회학적 관점에서 다룬 책이다.
종족동질성의식에 기반한 한국 민족주의의 기원을 추적하면서 그 정치적 원리와 역사적 유산을 치밀하고 광범한 연구조사로 낱낱이 밝히고 있으며, 변화하는 동북아 정세에 맞춰 새로운 민족 정체성을 정립할 것을 요구하고 있다.
Contents
한국어판 서문
감사의 글
서문_한국 민족주의의 뿌리와 정치를 규명하며
1부 기원과 발전
1장 범아시아주의와 민족주의
2장 식민지 인종주의와 민족주의
3장 국제사회주의와 민족주의
4장 북한과 '우리식 사회주의'
5장 일민주의와 '조국근대화'
2부 논쟁적인 정치
6장 민족 만들기에서 보편주의와 지방주의
7장 전통, 근대성, 민족
8장 분단과 민족대표성의 정치
9장 민족, 역사, 정치
3부 최근의 경향
10장 종족정체성과 민족통일
11장 민족주의와 세계화 사이에서
결론_계보,유산,미래
부록
주
참고문헌
찾아보기
Author
신기욱,이진준
연세대학교에서 사회학을 전공하고 워싱턴 대학교(University of Washington)에서 석사와 박사 학위를 받았다. 아이오와 대학교(University of Iowa), UCLA 교수를 거쳐 2001년부터 스탠퍼드 대학교 사회학과 교수 겸 국제학연구원 선임연구원으로 재직중이다. 스탠퍼드 대학교에 처음으로 한국학 프로그램을 설립했고, 2005년부터 스탠퍼드 대학교 아시아태평양연구소 소장을 맡아 역사사회학, 정치사회운동, 국제관계 분야의 전문가로 활동하고 있다. 한국어로도 번역 출판된 『한국 민족주의의 계보와 정치』 『하나의 동맹, 두 개의 렌즈─새 시대의 한미관계』 등의 저서가 있다.
연세대학교에서 사회학을 전공하고 워싱턴 대학교(University of Washington)에서 석사와 박사 학위를 받았다. 아이오와 대학교(University of Iowa), UCLA 교수를 거쳐 2001년부터 스탠퍼드 대학교 사회학과 교수 겸 국제학연구원 선임연구원으로 재직중이다. 스탠퍼드 대학교에 처음으로 한국학 프로그램을 설립했고, 2005년부터 스탠퍼드 대학교 아시아태평양연구소 소장을 맡아 역사사회학, 정치사회운동, 국제관계 분야의 전문가로 활동하고 있다. 한국어로도 번역 출판된 『한국 민족주의의 계보와 정치』 『하나의 동맹, 두 개의 렌즈─새 시대의 한미관계』 등의 저서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