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전 한문학과 실학사상·한국사 분야의 대가인 벽사 이우성 선생의 학문세계를 보여주는 글들을 모은 책. 제1부는 논설로서 고려말에서 개화기에 이르는 여러 학자들의 학문세계를 집약, 소개하는 논문들이며 제2부는 序·記로서 조선조 사상가들의 문집 간행에 부친 서문들이고 제3부는 사적비에 쓴 비문(碑文)들을 모았다. 제4부에는 독서편력, 회고기, 기행 등 선생의 삶의 모습을 엿볼 수 있는 수필들이 담겨 있다.
Contents
1. 논설
신라 율령국가설(律令國家說)의 검토
고려사 및 이조문헌 기록과 포은(圃隱)의 재평가
을사사화(乙巳士禍)와 회재(晦齋)의 현실대처방식
퇴계(退溪)의 예안향약(禮安鄕約)과 `향좌(鄕坐)` 문제
학봉(鶴峰)의 해사록(海 錄)과 일본 풍신정권( 臣政權)
서애(西厓)의 학문방법과 `신의(新意)`론
17세기 정치사회적 상황과 만회(晩悔)·탄옹(炭翁)의 역사적 위상
성호(星湖)의 춘추서법론(春秋書法論) 비판과 그 성인관(聖人觀)
성호(星湖)의 우주에 관한 신해석
연암(燕巖) 열하일기내(熱河日記內)의 호질(虎叱)의 작자와 주제
다산(茶山)과 이재의(李載毅)의 문답
추사(秋史)와 중인층의 성령론(性靈論)
최한기의 사회적 처지와 서울생활
최한기의 사회관
한국에서의 실학연구 현황과 동아시아 연대의식
개화기의 성균관
우리나라 중세대학의 전통과 그 계승관계
4. 잡문
고대시와 현대시의 교차점
동아시아 지역과 자본주의 맹아론
나의 독서편력
나의 서재
간장행(看場行)
방(方)과 원(圓)
목면업(木棉業)과 정천익
불국사·해인사 기행
민족문화와 영남문화
한국한문학연구의 회고와 전망
`전(傳)`의 양식적 특성과 문학사적 전개
한·일관계사 연구의 한 국면
심산상(心山賞) 제4회 시상식 치사
정년퇴직 기념사
격류를 헤쳐온 25년
한국중세사연구 창간호 권두에
1925년 경남 밀양에서 태어나 성균관대학교 문과대학을 졸업하였으며 동 대학원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성균관대학교 교수 및 대동문화연구원장, 성균관대학교 대학원장, 역사학회 대표간사(회장), 일본 동경대학 문학부 외국인 연구원, 일본 동양문고 초빙연구원, 한국한문학회 회장 등을 역임하였고, 한국실학연구회 회장, 중국 국립산동대학 객좌교수, 연세대학교 석좌교수, 대한민국학술원 회원, 민족문화추진회 회장, 퇴계학연구원장 등으로 활동했다. 2017년 5월 향년 92세를 일기로 세상을 떠났다.
『한국의 역사상』 『한국중세사회연구』 『한국고전의 발견』 『실시학사산고』 『벽사관문존』 『신라사산비명교역』 『서벽외사 해외수일본총서』 등 다수의 저서와 편서 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