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시학사산고

$16.20
SKU
9788936470234
+ Wish
[Free shipping over $100]

Standard Shipping estimated by Fri 05/2 - Thu 05/8 (주문일로부 10-14 영업일)

Express Shipping estimated by Tue 04/29 - Thu 05/1 (주문일로부 7-9 영업일)

* 안내되는 배송 완료 예상일은 유통사/배송사의 상황에 따라 예고 없이 변동될 수 있습니다.
Publication Date 1999/05/31
Pages/Weight/Size 148*210*35mm
ISBN 9788936470234
Categories 인문 > 한국철학
Description
고전 한문학과 실학사상·한국사 분야의 대가인 벽사 이우성 선생의 학문세계를 보여주는 글들을 모은 책. 제1부는 논설로서 고려말에서 개화기에 이르는 여러 학자들의 학문세계를 집약, 소개하는 논문들이며 제2부는 序·記로서 조선조 사상가들의 문집 간행에 부친 서문들이고 제3부는 사적비에 쓴 비문(碑文)들을 모았다. 제4부에는 독서편력, 회고기, 기행 등 선생의 삶의 모습을 엿볼 수 있는 수필들이 담겨 있다.
Contents
1. 논설
신라 율령국가설(律令國家說)의 검토
고려사 및 이조문헌 기록과 포은(圃隱)의 재평가
을사사화(乙巳士禍)와 회재(晦齋)의 현실대처방식
퇴계(退溪)의 예안향약(禮安鄕約)과 `향좌(鄕坐)` 문제
학봉(鶴峰)의 해사록(海 錄)과 일본 풍신정권( 臣政權)
서애(西厓)의 학문방법과 `신의(新意)`론
17세기 정치사회적 상황과 만회(晩悔)·탄옹(炭翁)의 역사적 위상
성호(星湖)의 춘추서법론(春秋書法論) 비판과 그 성인관(聖人觀)
성호(星湖)의 우주에 관한 신해석
연암(燕巖) 열하일기내(熱河日記內)의 호질(虎叱)의 작자와 주제
다산(茶山)과 이재의(李載毅)의 문답
추사(秋史)와 중인층의 성령론(性靈論)
최한기의 사회적 처지와 서울생활
최한기의 사회관
한국에서의 실학연구 현황과 동아시아 연대의식
개화기의 성균관
우리나라 중세대학의 전통과 그 계승관계

2. 서(序)·기(記)
신라사산비명(新羅四山碑銘) 서(序)
발해국지장편(渤海國志長編) 영인서(影印序)
삼봉정도전연구(三峯鄭道傳硏究) 서(序)
농암집(聾巖集) 국역서(國譯序)
학봉(鶴峯)의 학문과 구국활동 서(序)
운천집(雲川集) 영인서(影印序)
소우헌집(消憂軒集) 국역서(國譯序)
식산전서(息山全書) 서(序)
성호(星湖) 곽우록(藿憂錄) 서(序)
연암문초(燕巖文抄) 서(序)
송남잡식(松南雜識) 서(序)
청주판(淸州版) 명심보감(明心寶鑑) 서(序)
실학연구입문 서(序)
다산의 정치경제사상 서(序)
19세기의 한국사회 서(序)
한국의 역사상(歷史像) 서(序)
한국의 역사상(歷史像) 일어판 서(序)
서벽외사(栖碧外史) 해외수일본총서(海外蒐佚本叢書) 서(序)
안동문화권 학술조사보고서 서(序)
계남연하각가승(溪南烟霞閣家乘) 서(序)
김창숙문존(金昌淑文存) 서(序)
신채호의 사상과 민족독립운동 서(序)
신채호 역사논설집 서(序)
이조한문단편집 서(序)
한국중세사회연구 서(序)
이가원박사회갑기념논총 서(序)
김용직교수회갑기념논총 서(序)
문형만교수정년퇴직기념논총 서(序)
밀양지(密陽誌) 서(序)
밀양지명고(密陽誌名攷) 서(序)
한국 고전의 발견 서(序)
모선재기(慕先齋記)
신사가재기(新四可齋記)
충재유물관기(沖齋遺物館記)

3. 비문(碑文)
찬성사하경복양정공사적비(贊成事河敬復襄靖公事蹟碑)
어계조여선생사적비(漁溪趙旅先生事蹟碑)
경은이맹전선생사적비(耕隱李孟專先生事蹟碑)
회당신원록선생사적비(悔堂申元祿先生事蹟碑)
황석산성순국사적비(黃石山城殉國事蹟碑)
춘수당정수민선생사적비(春睡堂鄭秀民先生事蹟碑)
팔송정필달선생사적비(八松鄭必達先生事蹟碑)
순암안정복선생사적비(順庵安鼎福先生事蹟碑)
금대이가환선생사적비(錦帶李家煥先生事蹟碑)
연암박지원선생사적비(燕巖朴趾原先生事蹟碑)
면우곽종석선생사적비(傘宇郭鍾錫先生事蹟碑)
도남조윤제박사묘비(陶南趙潤濟博士墓碑)
하농이만환공묘비(荷農李萬煥公墓碑)
송강김문배공묘비(松岡金文培公墓碑)
평주이승복공묘비(平洲李昇馥公墓碑)
강진철박사묘비(姜晋哲博士墓碑)
김용덕박사묘비(金龍德博士墓碑)

4. 잡문
고대시와 현대시의 교차점
동아시아 지역과 자본주의 맹아론
나의 독서편력
나의 서재
간장행(看場行)
방(方)과 원(圓)
목면업(木棉業)과 정천익
불국사·해인사 기행
민족문화와 영남문화
한국한문학연구의 회고와 전망
`전(傳)`의 양식적 특성과 문학사적 전개
한·일관계사 연구의 한 국면
심산상(心山賞) 제4회 시상식 치사
정년퇴직 기념사
격류를 헤쳐온 25년
한국중세사연구 창간호 권두에
1925년 경남 밀양에서 태어나 성균관대학교 문과대학을 졸업하였으며 동 대학원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성균관대학교 교수 및 대동문화연구원장, 성균관대학교 대학원장, 역사학회 대표간사(회장), 일본 동경대학 문학부 외국인 연구원, 일본 동양문고 초빙연구원, 한국한문학회 회장 등을 역임하였고, 한국실학연구회 회장, 중국 국립산동대학 객좌교수, 연세대학교 석좌교수, 대한민국학술원 회원, 민족문화추진회 회장, 퇴계학연구원장 등으로 활동했다. 2017년 5월 향년 92세를 일기로 세상을 떠났다.
『한국의 역사상』 『한국중세사회연구』 『한국고전의 발견』 『실시학사산고』 『벽사관문존』 『신라사산비명교역』 『서벽외사 해외수일본총서』 등 다수의 저서와 편서 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