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6년 창비신인평론상으로 문단에 나온 이래, 『미래의 서정에게』 등을 통해 서정시의 전통과 미래를 관통하는 평론을 써온 김종훈 고려대 교수가 그간 서정시의 궁극을 탐색해온 결실들을 묶어냈다. 『시적인 것의 귀환: 초월과 존중과 희생의 시학』은 한국 현대시의 전반적인 지형과 계보를 토대로 이 시대 비평가들이 맞닥뜨린 위기와 그것을 헤쳐나가는 임무 그리고 용기에 대해 이야기한다.
평론가의 시선은 삶과 죽음, 말과 말 너머의 세계를 넘나든다. 어떤 날은 턴테이블 위의 레코드판을 보며 삶과 죽음의 연속성 덕택에 죽음에 대한 공포가 옅어진다는 점을, 그리하여 인간의 연대감은 두터워지되 우리 인간 고유의 ‘최초의 순간에 대한 깨달음’ 또한 옅어진다는 점을 깨닫는다. 그래서 그가 주목하는 것은 최초의 전율을 기억하고 그 경험을 잊지 않는 것이다. 김종훈의 글들은 이렇듯 ‘잊지 않기 위한’ 노력이자 사투로도 읽히는데, 희생과 존중을 말하며 끝내는 초월에까지 가 닿는 문장들은 강직하며 따스하다.
Contents
책머리에
제1부
코끼리의 거처: 21세기 한국시에 나타난 상상력의 윤리
시적인 것의 귀환: 인공지능 시대와 서정의 미래
갇힌 주체의 부정성: 2010년대 시의 감성 구조
너에게 이르는 길: ‘나는 너다’의 모습들
불온한 시는 어디에서 출현하는가
제2부
서정의 생명성은 무엇인가
현대시와 극서정시: 극서정시의 미학과 구조
헤맴의 궤적: 현대시의 리듬
현대시의 알레고리: 황현산의 알레고리
빈집의 유령들: 리얼리즘 시의 갱신과 관련하여
제3부
춤추는 말과 진동하는 신념: 최종천의 시
그늘이 넓은 집, 마당에 사는 빛: 이상국의 시
최정례의 과외 수업
어디에도 있는 너는: 곽효환 『너는』에 부쳐
유안진이 이야기를 들려주는 시간
서툰 연인들, 외국어 주체들: 황인찬 「나의 한국어 선생님」에 부쳐
제4부
불투명한 바람과 투명한 마음: 이은봉 『봄바람, 은여우』
나기철의 발송 작업: 나기철 『지금도 낭낭히』
근시(近視)의 천사: 박라연 『헤어진 이름이 태양을 낳았다』
박순원의 시는 웃프다: 박순원 『그런데 그런데』
최두석의 사무사(思無邪): 최두석 『숨살이꽃』
어두운 기도의 형상: 최정진 『버스에 아는 사람이 탄 것 같다』
내 이름은 숨은 돌: 한영수 『케냐의 장미』
마당을 쓰는 사람: 황동규 『겨울밤 0시 5분』
안도현의 평지 순례: 안도현 『능소화가 피면서 악기를 창가에 걸어둘 수 있게 되었다』
발표지면
찾아보기
Author
김종훈
1972년 서울에서 태어나 고려대학교 국어국문학과와 동 대학원을 졸업하였다. 2008년 고려대학교에서 「한국 근대시의 ‘서정’ 기원과 변용」으로 문학박사학위를 받았다. 2006년 『창작과비평』을 거쳐 평론가로, 2013년 『서정시학』을 거쳐 시인으로 등단하였다. 저서로 『한국 근대 서정시의 기원과 형성』(서정시학, 2010), 『미래의 서정에게』(창비, 2012), 『정밀한 시 읽기』(서정시학, 2016) 등이 있다. 제15회 젊은평론가상(2014), 남양주 조지훈문학상을 수상하였다. 현재 상명대학교 한국어문학과에서 학생들을 가르치고 있다.
1972년 서울에서 태어나 고려대학교 국어국문학과와 동 대학원을 졸업하였다. 2008년 고려대학교에서 「한국 근대시의 ‘서정’ 기원과 변용」으로 문학박사학위를 받았다. 2006년 『창작과비평』을 거쳐 평론가로, 2013년 『서정시학』을 거쳐 시인으로 등단하였다. 저서로 『한국 근대 서정시의 기원과 형성』(서정시학, 2010), 『미래의 서정에게』(창비, 2012), 『정밀한 시 읽기』(서정시학, 2016) 등이 있다. 제15회 젊은평론가상(2014), 남양주 조지훈문학상을 수상하였다. 현재 상명대학교 한국어문학과에서 학생들을 가르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