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창기 하이텔 역학동호회 멤버로 활발하게 활동하다가 계룡산파 봉우 권태훈 선생에서 많은 영향을 받아 현재 계룡산 상신리에서 정신 수련과 역의 원리 및 고대 천문학을 연구하고 있는 역리연구가이자 웹프로그래머 강진원 씨. 그가 역을 공부하는 과정 중 정리한 내용을 초보자라도 원리적인 차원에서 역학을 이해할 수 있도록 구성했다.
그동안 소홀히 다루어졌던 역학의 기본 원리적 부분을 기존의 틀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은 선에서 충실하게 해설했는데, 무엇보다도 음양오행을 전체적으로 이해하기 위해서는 한번쯤 다루어야 하는 여러 개념들-주역, 오행의 개념, 천지인, 상생상극, 천간과 지지, 12지와 60갑자, 24절기와 72후, 28수와 천문도, 구궁, 하도와 낙서 선천과 후천, 정역, 팔괘의 응용, 십신, 길성과 융성 - 등의 관계를 유기적으로 파악, 정리하고 있어 이 한권만으로도 전체 역의 원리를 한눈에 들여다 볼 수 있게 했다. 덧붙여 '천간지지의 응용'에서는 이미 명리학을 공부해 온 사람들을 대상으로 음양오행이 어떻게 만물에 적용되는지를 설명하고 있다.
Contents
차례
여는 글
추천의 글
제1장 역(易)이란 무엇인가
역의 기원
역이라는 글자의 해석
역의 명칭
역의 세 가지 뜻
제2장 음양오행의 기초
태극도에 나타난 음양오행
도형으로 풀어본 음양오행
음양오행에 담겨 있는 천지인 사상
제3장 음양오행의 성질과 작용
음양은 어떻게 시작됐을까?
음양의 운동성
오행에 대하여
오행의 상호작용
오행의 상생상극 작용
제4장 천간지지
간지의 의미
천간의 성질
지지의 성질
간지의 옛 이름
12지지에 붙인 동물들
천간과 지지의 만남
제5장 천문과 오행
고대천문관
하늘의 법칙
24기와 72절후
오성과 일월
28수(宿)
7요와 28수와의 관계
28수와 분야도수
제6장 음양오행의 수리
삼천양지
음양의 수
오행의 수
선천수와 후천수의 관계
간지의 수리 변화
간지의 선?후천수가 나오는 원리
제7장 하도?낙서
하도?낙서란
하도?낙서의 수
하도?낙서의 생?성수
하도?낙서 중앙 5土의 의미
하도?낙서와 간지
하도?낙서와 정역
팔괘의 이진법적 해석
팔괘의 응용
제8장 천간지지의 응용
납음오행
지장간의 원리
천간의 합
지지의 합
삼합
그 밖의 살 작용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