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터 벤야민은 오늘날까지 여러 학문분야에 걸쳐 ‘의미심장한’ 영향력을 미치고 있는 20세기 전반의 사상가다. 그의 글쓰기는, 문학과 비평, 매체학과 미학, 철학과 정치이론, 도시분석과 자본주의 비판, 문화학이나 신학에 이르기까지 광범위한 주제와 풍부한 논의를 담고 있다.
벤야민에 대한 본격적인 연구서인 『가면들의 병기창-발터 벤야민의 문제의식』은 오늘의 상황 즉 한국의 문학적·문화적 지형에 맞는 새로운 벤야민론을 재구성하려는 시도다. 이 책의 저자인 독문학자 문광훈은 방대한 1차문헌에 대한 충실한 독해와 지금까지 그에 대해 이루어진 논의에 대한 비판적 검토를 통해,벤야민이 가졌던 문제의식이 무엇이었는지 짚어보고 그 가운데 오늘날의 관점에서 어떤 것이 여전히 타당한지를 검토한다. 그럼으로써 ‘새로운 벤야민 읽기’ 그리고 ‘한국적 벤야민론’을 구축하고자 한다.
2017년 10월 출간한 제3쇄에는 독자들의 여러 반응 가운데 몇 가지 이견에 대한 저자의 답변을 첨부했다. ‘『가면들의 병기창』을 위한 몇 가지 첨언’이라는 제목의 글로 “벤야민의 규모” “벤야민을 읽는 방식” “에세이 형식” 그리고 “자기 글쓰기”에 관해 썼다. 독자들에게 충분한 답이 될 것이다.
제1부 역사의 유래와 오늘의 사회
제2장 폐허의 기념비: 역사이해·127
1. 널려 있는 모순들·129
2. 역사의 부스러기들·139
3. 알레고리 - 우울 - 폐허·149
4. ‘현재의 재배치’: 해체구성의 변증법·159
5. 미시감각의 글쓰기·177
6. 가스마스크와 수고·194
제3장 자본주의적 반복강제: 오늘의 상품소비사회·203
1. 유쾌한 신상품·203
2. 1800년대 파리: 현대성의 시초·207
3. 언제나 똑같은 것의 새로움·217
4. 타율적 문명·224
5. 사물의 저항과 절제·232
제4장 대규모 침식: 도시체험·247
1. 물질적 역사의 문화적 차원·247
2. 도시의 이중성·249
3. 파리 개조와 제국주의·255
4. 현대적 새로움과 상품물신주의·263
5. 비유기성의 숭배·273
6. 반反문화의 재구축·281
7. 인공 거주지에서의 편두통·28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