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부영 분석심리학 3부작’ 가운데 마지막 책이다. 앞선 ‘이부영 분석심리학 3부작’ 『그림자』 『아니마와 아니무스』에서 우리는 무의식의 의식화 방법을 탐구했다. 그 마지막 여정이 바로『자기와 자기실현』이다. 이 책에서는 분석심리학의 최종 목표인 ‘자기실현’(개성화)을 통해 진정한 행복에 이르는 길을 제시한다.
분석심리학에서는 ‘자아’와 ‘자기’를 구별한다. 자아는 의식의 중심이고, 자기는 의식과 무의식을 합친 전체정신의 중심이다. ‘자기실현’은 우리 모두가 그리스도나 붓다와 같은 성인이 되는 것이 아니라 오로지 ‘자기 자신이 되는 것’이다. 따라서 엄숙하고 심각한 것이 아니라 개인의 ‘평범한 행복’을 구현하는 과정인 것이다.
융의 분석심리학이 프로이트의 정신분석학과 구별되는 가장 큰 특징은 무의식의 역할이다. 프로이트는 무의식은 억압된 성적 욕구이며 그 자체가 어떤 역할을 하는 것은 아니라고 보았다. 그러나 융은 ‘무의식은 인간의식을 새롭게 변화시키는 창조의 샘’이라고 말했다. 따라서 인간은 누구나 자기실현을 할 수 있는 잠재력을 가지고 있는 것이다.
인생에서 겪는 느닷없는 고통과 정신적 위기는 자기실현의 값진 기회다. 행복은 자아가 그런 위기에 어떻게 대처하느냐에 달렸다. 융은 인생의 의미는 오직 그 사람 안에 있다고 말했다. 인생의 모든 열쇠도 자신 안에 있다. 바로 무의식에.
Contents
자기는 모든 것이다 | 프롤로그
제1부 왜 자기실현인가
1. 분석심리학에서 본 자아와 자기
자아(나)란 무엇인가
자아는 의식의 중심이다
무의식에서 자아는 태어난다
어린이와 원시인의 자아의식
의식에서 의식성으로
집단정신과 나
심리학적 유형에 따른 자아의식의 특성
자아와 무의식
자기란 무엇인가
전체정신으로서의 자기
중심으로서의 자기·자기원형
대극과 대극합일로서의 자기
자기의 상징적 표현
원형상의 특징
자기원형의 발견
자기의 상징적 표현
자기와 신의 상
자기와 그리스도상
2. 자기실현 또는 개성화
자기실현이란 무엇인가
자기실현은 언제 시작되는가
어린이의 꿈, 젊은이의 삶
고통과 상실은 자기실현의 기회
버림과 구별-페르조나의 문제
신경증적 장애와 자기실현
자기실현의 진행과정
페르조나와의 무의식적 동일시
그림자의 인식
아니마와 아니무스의 인식
자기인식과 자아팽창의 위험성
자기실현 과정의 상징사적 연구
서양 연금술에서 본 자기실현의 상징
제2부 한국인 피분석자의 꿈에 나타난
자기와 자기실현의 상징
길, 좁은 통로
계단, 오르고 내림, 위와 아래의 세계
높은 인격, 산, 시냇물과 동물들
노인, 여인들, 상처
거인이 지키는 커다란 알
인도자로서의 호랑이
동굴, 약수, 네모난 상자, 반지
심장 모양의 욕조와 가슴뼈
할머니, 아이, 신비로운 여인
도마뱀과 치유의 과정
4위와 원―만다라 상징, 빛과 6의 의미
해시계
나선형의 환상
시대상황과 자기실현의 상징
제3부 한국전통문화에 나타난 자기실현의 상징
1. 신화와 민담에서 본 자기실현의 상징
단군신화
한국의 괴물제치설화와 자기실현의 상징
바리공주설화와 심청전
2. 전통종교문화에서 본 자기실현의 상징
무속과 전체성의 상징
『논어』의 인격성숙론과 퇴계의 「천명신도」
불교사상과 자기의 상징
「십우도」에 나타난 자기실현 과정
도교사상에서의 자기와 자기실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