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분석심리학의 대가 이부영이 융 분석심리학의 최종 목표인 ‘자기실현’(개성화)의 과정을 집대성했다. ‘이부영 분석심리학 3부작’ 가운데 첫 번째 책으로, 무의식의 열등한 인격이자 ‘나’의 어두운 반려자인 ‘그림자’에 대해 이야기한다.
심리학에서 흔히 말하는 ‘페르조나’는 집단사회의 행동규범 또는 역할이며 집단이 개체에 요구하는 도리와 본분이다. 우리는 누구나 가족, 학교, 직장, 국가 등 여러 사회조직에 속해 있으며 각각에 어울리는 다양한 페르조나를 번갈아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페르조나에 의해 억압된 무의식이 바로 ‘그림자’다.
자아가 의식의 빛을 향하면 향할수록 자신도 모르는 사이 그림자는 커진다. 억눌린 개인적 무의식은 온갖 신경증의 원인이 된다. 사회적으로 문제가 되는 것은 집단적 무의식이다. 그림자의 집단적 투사는 중세 마녀사냥과 십자군 원정, 히틀러의 유대인 학살, 한국의 지역감정에서도 찾아볼 수 있다.
분석심리학의 창시자 융은 “무의식은 충동의 창고, 욕구의 웅덩이에 불과한 것이 아니라 마음을 성숙하게 하는 창조의 샘”이라고 보았다. 따라서 그림자를 ‘의식화’하면 그림자의 부정적 작용은 건설적 기능으로 바뀔 수 있다.
저자 이부영은 이 책에서 그림자의 개념과 함께 동서양을 넘나드는 다양한 역사적 사례를 제시했다. 또한 수십 년간 분석심리학을 연구하고 현장에서 환자를 치료해온 경험을 바탕으로 한국인의 개인적·집단적 그림자 투사의 사례, 한국 무속과 민담에 드러난 그림자원형에 대해 말하고 있다.
그림자를 대면한 사람만이 다음 과제인 아니마, 아니무스를 인식할 수 있다. 자, 이제 용기를 가지고 자신의 ‘검은 대리인’ 그림자를 만나보자.
Contents
인간의 내면을 성찰하는 시간 | 프롤로그
제1부 마음의 세계와 그림자
1. 마음의 세계
아는 마음과 모르는 마음
무의식의 발견
프로이트와 융의 무의식관
마음의 구조와 기능
심리학적 유형
2. 마음의 세계에서 차지하는 그림자의 자리
제2부 그림자의 원시적 관념과 분석심리학적 개념
1. 살아 있는 그림자―원시심성과 민속에 표현된 그림자
원시인에게 살아 있는 그림자
그림자의 주술
미묘체로서의 그림자
그림자 없는 존재
생명의 정수로서의 그림자
한자어권(한·중·일)의 그림자(影) 용법
2. 그림자의 분석심리학적 개념
그림자의 정의
실체로서의 그림자―그림자를 잃은 사람들
그림자에 대한 인식
상대악 또는 절대악으로서의 그림자
제3부 그림자의 투사현상-그림자는 어디서 어떻게 볼 수 있는가 1. 그림자의 투사현상
그림자의 이미지
투사현상의 특징
그림자의 투사와 ‘거룩한 분노’
대인관계에서 나타나는 그림자의 문제
정치적·시대적 사건 속의 그림자상
2. 꿈에 나타난 그림자의 현상
융의 꿈의 사례 중에서
한국인 피분석자의 꿈에 나타난 그림자상
3. 정신병리현상과 그림자
그림자 없는 사람, 그림자 없는 가정
우월기능을 가진 그림자와 그 정신증상
그림자의 원형과 정신병
정신요법과 그림자 투사
제4부 분석과 그림자의 인식과정
1. 그림자 인식의 어려움
2. 그림자의 의식화 과정
제5부 그림자의 문화적 대응양식
1. 민속문화 속의 그림자와 그 표현
여러 가지 그림자 의례
무속에서 본 그림자의 상징과 그 처리
2. 옛날 이야기 속의 그림자상과 그 문제의 해결
흥부와 놀부 등 선악의 짝에 관한 이야기
장수설화
진짜와 가짜
그림자원형 이야기
우리 민담에서의 악의 처리법
3. 그림자와 종교사상
기독교와 그림자의 문제
동양종교와 그림자의 인식
성숙한 민주사회를 위한 그림자의 발견 | 에필로그
무의식의 의식화를 위하여 | 개정판을 내면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