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심리 구조’, ‘실용이성’, ‘인학모체 구조’라는 독특한 관점을 통해 중국의 고대사상사와 전통문화를 분석하고 있다. 저자는 공자와 유가를 중심으로 중국의 고대사상사를 서술하면서 유가가 중국의 ‘문화심리 구조’ 형성에 결정적 역할을 했다는 것을 강조한다. 그리고 현대의 중국이 가야 할 길이 무엇인가를 제시하고 있다.
Contents
리찌허우의 『중국고대사상론』과 문화심리 구조 : 정병석
내용 용약
공자와 맹자의 철학
1. ‘예’의 특징
2. ‘인’의 구조
3. 약점과 장점
4. 맹자의 철학
묵가의 철학
1. 소생산 노동자의 사상적 전형
2. 묵가 사상은 사라지지 않았다
손지·노자·한비자의 철학 사상
1. 병가 변증법의 특색
2. 노자 철학
3. 한비자의 철학 사상
순자·역전·중용의 철학
1. 순자 철학의 특징
2. 『역전』과 유교 세계관의 형성
3. 『중용』의 철학 : 천·도·인
진한 철학의 특색
1. 도가·법가·음양가·유가의 통합
2. 동중서와 천인우주론의 도식
3. 음양오행의 체계론
4. 오행도식의 역사적 영향
장자·현학·선종의 철학
1. 장자 철학과 미학
2. 위진 현학과 인격본체론
3. 선종의 철학
송명이학
1. 우주론에서 윤리학으로
2. 이성본체의 수립과 그 모순
3. ‘심’의 초월과 감성
4. 유산의 이중성
5. 몇 가지 보충
경세치용과 명청 시기의 철학
1. 내성과 외왕
2. 치인과 치법
3. 경학과 사학
중국의 지혜
1. 시대의 과제
2. 혈연적 토대
3. 실용이성
4. 낙감문화
5. 천인합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