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의 자리

과학이 사라진 사회, 과학적 사회를 위한 제언
$28.52
SKU
9788934988380
+ Wish
[Free shipping over $100]

Standard Shipping estimated by Tue 12/10 - Mon 12/16 (주문일로부 10-14 영업일)

Express Shipping estimated by Thu 12/5 - Mon 12/9 (주문일로부 7-9 영업일)

* 안내되는 배송 완료 예상일은 유통사/배송사의 상황에 따라 예고 없이 변동될 수 있습니다.
Publication Date 2021/07/05
Pages/Weight/Size 145*225*35mm
ISBN 9788934988380
Categories 인문 > 철학/사상
Description
과학 부재의 한국 사회에 던지는 현장 과학자의 대담한 문제 제기와 통렬한 비판

한국 과학계의 패스파인더, 가장 논쟁적인 과학자 김우재 교수가 던지는 도발적인 질문! “왜 한국에는 과학이 없는가?”

《과학의 자리》는 과학에 대한 정의와 인식에서부터 한국 학계의 서구 이론에 대한 종속성과 인문학 편향성까지, 과학에 대한 근본적 성찰과 고민을 담은 도발적인 문제작이다. 과학의 사회적 의미와 역할에 대한 과학자 사회 내부의 첫 시선이자 주체적 논의와 대안을 제시한다는 점에서 독보적 의의를 지니는 작품이다. 27년간 실험실에 몸 담고 있는 현장 과학자인 동시에 사회적 논의에 활발하게 참여해온 저자의 ‘과학’에 대한 지적 여정이 오롯이 담긴 이 책은 과학기술의 시대에 지식인으로서 과학을 어떻게 바라볼 것인지, 한국 사회에서 과학은 어떤 의미인지를 고민하는 독자에게 많은 통찰과 시사점을 줄 것이다.
Contents
프롤로그
1장 과학자의 정치: 과학자는 어떻게 사회의 진보에 기여할 수 있는가
2장 이분법의 사기극: 과학과 인문학, 두 문화는 존재하는가
3장 과학의 분과 다양성: 낭만주의와 계몽주의는 대립하는가
4장 계몽의 갈등: 물리학과 화학은 동일한 과학인가
5장 잊혀진 백과사전: 프랑스대혁명에서 근대과학의 역할은 무엇인가
6장 계몽의 과학적 해부: 계몽주의는 하나의 사상인가
7장 과학의 자장 속에서: 과학은 어떻게 우리의 생각을 바꾸어왔는가
8장 과학은 언제나: 현대사회는 과학에 의해 어떻게 주조되었는가
9장 빈의 실패한 혁명: 과학전쟁은 정당한 논쟁이었는가
10장 ‘오파상’의 비극: 과학은 한국 사회에 스며들었는가
11장 학풍: 과학은 왜 과학이어야 하는가
12장 대중화의 실패: 과학문화의 진정한 의미는 무엇인가
13장 삶으로서의 과학: 과학은 어떻게 우리 삶의 기반이 되는가

에필로그
미주
찾아보기
별책 부록
-과학적 사회, 사회적 기술 - 한국과학기술의 새로운 체제
-과학적 사회를 위한 리더쉽 - 과학기술계인사검증 필수매뉴얼
Author
김우재
초파리·꿀벌 유전학자. 어린 시절부터 꿀벌, 개미 등에 관심이 많았다. 연세대학교 생물학과를 졸업, 포항공과대학교POSTECH에서 바이러스학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이후 박사후연구원으로 미국에서 초파리의 행동유전학을 연구했다. UCSF에서 초파리 행동유전학의 대가인 유넝 잔 교수에게 사사했으며, 2015년부터 캐나다 오타와 대학교 교수로 초파리 수컷의 교미시간이 환경에 따라 어떻게 변하는지를 신경회로의 관점에서 연구했다. 2021년에 하얼빈공업대학교 생명과학센터 교수로 자리를 옮겨 초파리와 함께 꿀벌의 사회성 행동을 연구하고 있다.
본업인 행동유전학 연구에 매진하고 싶으나, 가끔 과학과 사회에 대한 글을 쓰고 과학자들과 연대를 모색한다. <한겨레 신문>에 매달 8년간 과학자가 바라보는 한국 사회에 대한 칼럼을 썼고, <동아사이언스>, <주간경향>, <이로운넷>, <뉴스토마토> 등을 통해 과학과 사회에 대한 글들을 꾸준히 써나가고 있다. 지은 책으로 《플라이룸》 《선택된 자연》이 있으며, 함께 쓴 책으로 《4차 산업혁명이라는 유령》 《과학하고 앉아 있네 9: 김우재의 초파리 사생활 엿보기》가 있다.
과학자로서 평생을 걸고 마지막으로 이루어야 할 목표를 위해 언제나 연구 외의 시간을 쪼개 암중모색 중이다. ‘변화를 꿈꾸는 과학기술인 네트워크 ESC’를 제안하고 만들었으며, 지금은 ‘더 나은 사회를 실험하는 과학기술인 포럼, 더사실포럼’을 통해 과학기술로 사회를 진보시키는 여러 아이디어를 실천 중이다. 유사과학 단체와 창조과학회의 유사과학 활동을 폭로, 유사과학단체로부터 고소를 당한 한국 최초의 과학자로 이름을 올렸으며, 과학적 상식이 유린되는 현실에 자주 분노한다. 여전히, 초파리와 꿀벌로 세계정복을 꿈꾸고 있다.
초파리·꿀벌 유전학자. 어린 시절부터 꿀벌, 개미 등에 관심이 많았다. 연세대학교 생물학과를 졸업, 포항공과대학교POSTECH에서 바이러스학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이후 박사후연구원으로 미국에서 초파리의 행동유전학을 연구했다. UCSF에서 초파리 행동유전학의 대가인 유넝 잔 교수에게 사사했으며, 2015년부터 캐나다 오타와 대학교 교수로 초파리 수컷의 교미시간이 환경에 따라 어떻게 변하는지를 신경회로의 관점에서 연구했다. 2021년에 하얼빈공업대학교 생명과학센터 교수로 자리를 옮겨 초파리와 함께 꿀벌의 사회성 행동을 연구하고 있다.
본업인 행동유전학 연구에 매진하고 싶으나, 가끔 과학과 사회에 대한 글을 쓰고 과학자들과 연대를 모색한다. <한겨레 신문>에 매달 8년간 과학자가 바라보는 한국 사회에 대한 칼럼을 썼고, <동아사이언스>, <주간경향>, <이로운넷>, <뉴스토마토> 등을 통해 과학과 사회에 대한 글들을 꾸준히 써나가고 있다. 지은 책으로 《플라이룸》 《선택된 자연》이 있으며, 함께 쓴 책으로 《4차 산업혁명이라는 유령》 《과학하고 앉아 있네 9: 김우재의 초파리 사생활 엿보기》가 있다.
과학자로서 평생을 걸고 마지막으로 이루어야 할 목표를 위해 언제나 연구 외의 시간을 쪼개 암중모색 중이다. ‘변화를 꿈꾸는 과학기술인 네트워크 ESC’를 제안하고 만들었으며, 지금은 ‘더 나은 사회를 실험하는 과학기술인 포럼, 더사실포럼’을 통해 과학기술로 사회를 진보시키는 여러 아이디어를 실천 중이다. 유사과학 단체와 창조과학회의 유사과학 활동을 폭로, 유사과학단체로부터 고소를 당한 한국 최초의 과학자로 이름을 올렸으며, 과학적 상식이 유린되는 현실에 자주 분노한다. 여전히, 초파리와 꿀벌로 세계정복을 꿈꾸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