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말의 고저장단

고저高低는 살아 있다
$23.00
SKU
9788934976172
+ Wish
[Free shipping over $100]

Standard Shipping estimated by Fri 12/6 - Thu 12/12 (주문일로부 10-14 영업일)

Express Shipping estimated by Tue 12/3 - Thu 12/5 (주문일로부 7-9 영업일)

* 안내되는 배송 완료 예상일은 유통사/배송사의 상황에 따라 예고 없이 변동될 수 있습니다.
Publication Date 2016/11/27
Pages/Weight/Size 145*210*30mm
ISBN 9788934976172
Categories 인문 > 기호학/언어학
Description
모두가 사라졌다고 생각했던 우리말 고저高低의 원리를 최초로 밝힌 역작!
우리말의 가락을 사랑하고 지켜온 원로학자가 밝히는 우리말의 참된 운율!


우리말에는 장단은 있어도 고저는 이미 없어졌다고 말한다. 고저가 없는 말! 세상에 그런 ‘맥 빠진 말’, 그런 ‘숨 죽은 말’이 있을 수 있을까? 고저와 장단은 호흡과 맥박과도 같은 유기적 관계임에도 불구하고 고저만을 떼어 교육권 밖으로 내쳐진 지 이미 오래다. 이 책에서는 사라졌다고 치부되었던 우리말의 고저가 생생히 살아 있음을 밝히면서 지극히 규칙 정연한 평측平仄 고저의 원리를 보여준다. 고저는 장단만의 평면감을 넘어 입체감을 불어넣어주며 전달력을 높여준다. 우리말의 가락을 사랑하고 지켜온 원로학자가 밝히는 우리말의 참된 운율!
Contents
서문

제1부 서론

제2부 본론

1. 고저장단의 개요
(1) 사성(四聲)이란 무엇인가?
(2) 사성(四聲)과 평측(平仄)
(3) 평측(平仄)과 고저
(4) 고조(高調)와 저조(低調)
(5) 측고조(仄高調)란 무엇인가?
(6) 평고조(平高調)란 무엇인가?
2. 평고조(平高調)의 실제
(1) 생활어에 실현되는 평고조(平高調) 현상
(2) 평고조(平高調)의 변별
(3) 평고조(平高調)와 다른 성조(聲調)와의 대비
3. 평고조(平高調) 현상이 나타나게 되는 이유
(1) 평고조(平高調)가 되는 그 심리적 동기
(2) 평고조(平高調)의 음성학적 소견
(3) 평측(平仄)의 역추리
4. 평성단음절어(平聲單音節語)의 고조(高調) 현상
5. 고저와 장단의 유기적 상호관계
6. 우리말의 성조(聲調) 체계
(1) 성조(聲調)의 분류
7. 측고조(仄高調)의 여러 형태
(1) ‘仄仄’형
(2) ‘仄平’형
8. 다음절어에서의 평고조(平高調)
(1) 3음절어
(2) 4음절어
9. 고유어에서의 평고조(平高調)
10. 우리말의 평측성성(平仄聲性)
(1) 평측성성(平仄聲性)의 성전환
(2) 체언과 조사 간의 성조(聲調) 대응
(3) 체언과 조사 간의 정조(正調)와 변조(變調)
(4) 복합어에서의 성조(聲調) 대응
(5) 용언과 어미 간의 성조(聲調) 대응
(6) 용언과 어미 간의 정조(正調)와 변조(變調)
(7) 2음절 이상의 용언과 어미 간의 대응
(8) 수식사(修飾詞 ; 부사?관형사)에서의 성조(聲調) 대응
11. 한자어의 활용
(1) 한자어의 용언화 조건
12. 고저장단의 현황
(1) 고저의 체계 변이
(2) 장단의 체계 변이
13. 성조단위(聲調單位)와 측하무고조(仄下無高調)
(1) 성조단위(聲調單位)
(2) 측하무고조(仄下無高調)
14. 고저장단의 이모저모
(1) 전통적 성조(聲調)에 벗어난 현관용어
(2) 평측(平仄) 구조가 같아 어의 구별이 안 되는 말들
15. 언어의 성조(聲調) 질서
(1) 사성(四聲)과 고저장단
(2) 말소리의 입체성
(3) 언어 질서의 자생력
16. 성조(聲調)의 고금
(1) 우리말 성조(聲調)의 연원
(2) 표준어와 방언의 성조(聲調)
(3) 한시문의 독송에서 다져진 평측(平仄)
17. 고저는 소멸한 것이 아니다
(1) 고저가 소멸했다는 논리의 부당성
(2) 평고조(平高調)가 약화된 원인
18. 장단에 대하여
(1) 고저를 배제한 장단의 부실성(不實性)
(2) 장단의 몇 가지 문제점
(3) 장단음(長短音) 발음의 불명확성
(4) 제2음절 장음의 단음화
(5) 사전상 장단 표시의 불일치성

제3부 결론
(1) 고저장단의 기준
(2) 평측(平仄)과 고저의 관계
(3) 우리말의 성(性)
(4) 연접관계에서 이루어지는 새 질서
(5) 측하무고조(仄下無高調)의 원리
(6) 고저장단의 사전 표시 시안

제4부 별론
1. 중국 한자음 사성(四聲)과 우리 어음(語音)의 사성(四聲)
(1) 한자음과 귀화한자음(歸化漢字音)
(2) 중국 사성(四聲)과 고유어 사성(四聲)
2. 상성(上聲)의 선고후고(先高後高)
(1) 훈민정음에서의 상성(上聲)의 운가(韻價)
(2) 최세진(崔世珍)이 본 상성(上聲)의 운가(韻價)
(3) 상성(上聲)의 선고후고(先高後高)에 대한 여러 논거
(4) 상성(上聲)의 선고후고(先高後高)와 상거상혼(上去相混)
3. 거성(去聲)의 정체
(1) 거성(去聲)의 음장(音長)
(2) 거성(去聲)의 발생 기서(機緖)
(3) 평단음(平短音)과 측단음(仄短音)
(4) 거성(去聲)?입성(入聲)의 음장 대비
4. 입성(入聲)의 음장(音長)
(1) 입성(入聲)의 특징
(2) 한자의 입성(入聲)과 고유어의 입성(入聲)
(3) 입성(入聲)과 평성(平聲)의 대비
(4) 입성(入聲)과 거성(去聲)의 대비
5. 한자 사성(四聲)의 변이 현황

?부록 1 성조가(聲調歌)
?부록 2 고저일람표
?부록 3 용어풀이
Author
손종섭
1918년생으로, 연희전문학교(연세대학교 전신) 문과 3년을 졸업했다. 한학자인 선친 월은月隱 손병하孫秉河 선생에게서 시종 가학家學을 전수했다. 30여 년 교직에 있다가 지병으로 사직하고, 시난고난 어렵게 지내다가 70세를 넘기고 건강을 회복하자, 그동안 답쌓였던 말들을 쏟아내기 시작했다.
우리 선인들의, 우수 한시 250수를 우리의 국문학으로 환원한다는 정성으로 복원하고, 평설評說을 가한 『옛 시정을 더듬어』, 이 책의 자매편으로 한시의 본고장인 중국의 대표 시인인 이백과 두보의 시를 새로운 시각에서 평한 『이두시신평李杜詩新評』, 우리말의 성조聲調에 대한 난맥상을 바로잡겠다는, 젊었을 때부터의 숙제였던 평측平仄에 의한 고저高低의 법칙을 밝힌 『우리말의 고저장단』, 한양대학교 대학원 국문학과에 출강하면서, 역대 우수한 매화시(우리 한시) 136편을 뽑아 다시 꽃피워 본 『내 가슴에 매화 한 그루 심어놓고』, 『옛 시정을 더듬어』의 속편인 『다시 옛 시정을 더듬어』, 당시唐詩를 다루면서, 특히 운율을 중시한 『노래로 읽는 당시』, 우리 한시의 진수로서, 현대 정서와 긴밀한 216편을 뽑아 노래한 『손끝에 남은 향기』를 펴냈으며, 그 밖에 『국역 충의록』, 『청원시초淸苑詩抄』, 『송강가사정해松江歌辭精解』가 있다.
1918년생으로, 연희전문학교(연세대학교 전신) 문과 3년을 졸업했다. 한학자인 선친 월은月隱 손병하孫秉河 선생에게서 시종 가학家學을 전수했다. 30여 년 교직에 있다가 지병으로 사직하고, 시난고난 어렵게 지내다가 70세를 넘기고 건강을 회복하자, 그동안 답쌓였던 말들을 쏟아내기 시작했다.
우리 선인들의, 우수 한시 250수를 우리의 국문학으로 환원한다는 정성으로 복원하고, 평설評說을 가한 『옛 시정을 더듬어』, 이 책의 자매편으로 한시의 본고장인 중국의 대표 시인인 이백과 두보의 시를 새로운 시각에서 평한 『이두시신평李杜詩新評』, 우리말의 성조聲調에 대한 난맥상을 바로잡겠다는, 젊었을 때부터의 숙제였던 평측平仄에 의한 고저高低의 법칙을 밝힌 『우리말의 고저장단』, 한양대학교 대학원 국문학과에 출강하면서, 역대 우수한 매화시(우리 한시) 136편을 뽑아 다시 꽃피워 본 『내 가슴에 매화 한 그루 심어놓고』, 『옛 시정을 더듬어』의 속편인 『다시 옛 시정을 더듬어』, 당시唐詩를 다루면서, 특히 운율을 중시한 『노래로 읽는 당시』, 우리 한시의 진수로서, 현대 정서와 긴밀한 216편을 뽑아 노래한 『손끝에 남은 향기』를 펴냈으며, 그 밖에 『국역 충의록』, 『청원시초淸苑詩抄』, 『송강가사정해松江歌辭精解』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