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황 & 이이

조선의 정신을 세우다
$14.90
SKU
9788934965718
+ Wish
[Free shipping over $100]

Standard Shipping estimated by Mon 05/5 - Fri 05/9 (주문일로부 10-14 영업일)

Express Shipping estimated by Wed 04/30 - Fri 05/2 (주문일로부 7-9 영업일)

* 안내되는 배송 완료 예상일은 유통사/배송사의 상황에 따라 예고 없이 변동될 수 있습니다.
Publication Date 2013/12/23
Pages/Weight/Size 148*210*20mm
ISBN 9788934965718
Categories 인문 > 한국철학
Description
퇴계와 율곡의 사상을 통해 조선 철학을 새롭게 조명한 책이다. 이황과 이이는 '리(理)'에 대한 서로 다른 해석을 통해 사상적으로 대결하며 조선 철학의 기틀을 확립했다. 그리고 이들의 사상을 계승한 퇴계학파와 율곡학파는 조선 철학을 이끌어나갔다. 성리학에 대한 심도 깊은 이해와 시대에 대한 통렬한 문제의식이 어우러진 불꽃 튀는 토론속에서, 이들이 추구했던 조선의 시대정신을 찾을 수 있다.
Contents
Chapter 1 초대
이황, 이이 그리고 유학

Chapter 2 만남
1. 사단칠정 논쟁
이황의 사단칠정
이이의 사단칠정 비판
사단칠정의 철학적 의미

2. 리의 자발성
이황의 리동설
이황의 리무위설
철학적 의미

3. 인심도심론
이황의 인심 도심설
이황의 인심 도심설
인심 도심설의 철학적 논점
경 공부

4. 이황과 이이의 정치적 입장

5. 퇴계학파와 율곡학파
역사적 전개
퇴계학파
율곡학파

Chapter 3 대화
이황과 이이의 가상 대화

Chapter 4 이슈
주리?주기론에 대한 비판적 분석
양주음왕에 대한 비판적 분석
Author
조남호
서울대학교 철학과에서 박사학위를 받았고, 대만대학교 고등연구원을 방문학자로 갔다 왔으며, 현재 국제뇌교육종합대학원대학교에 재직 중이다. 박사학위 논문은 「나흠순과 조선학자들의 논변」으로, 나흠순이 주자학과 양명학 모두에 관계하는 까닭에 두 분야를 모두 공부하고 있다. 주자학과 양명학은 같으면서도 다른 학문이다. 주자학은 주로 『주자어류』를 중심으로 공부하고 있고, 양명학은 최근에 관심을 갖고 양명후학과 조선의 하곡학의 관계를 연구하고 있다. 아울러 동학, 대종교를 비롯한 조선후기 민족종교 또한 관심을 가지고 공부를 하고 있다. 조선철학사의 어떻게 맥락이 연결되는가에 흥미를 가지고 있으며 동양철학이 현실에 적용되는 한의학에도 관심을 가지고 있다. 저서로 『주희 중국철학의 중심』(태학사, 2004)과 『이황의 성학십도』(삼성출판사, 2006)가 있으며, 역서로 『강설 황제내경1, 2』(청홍, 2009, 2011)가 있다.
서울대학교 철학과에서 박사학위를 받았고, 대만대학교 고등연구원을 방문학자로 갔다 왔으며, 현재 국제뇌교육종합대학원대학교에 재직 중이다. 박사학위 논문은 「나흠순과 조선학자들의 논변」으로, 나흠순이 주자학과 양명학 모두에 관계하는 까닭에 두 분야를 모두 공부하고 있다. 주자학과 양명학은 같으면서도 다른 학문이다. 주자학은 주로 『주자어류』를 중심으로 공부하고 있고, 양명학은 최근에 관심을 갖고 양명후학과 조선의 하곡학의 관계를 연구하고 있다. 아울러 동학, 대종교를 비롯한 조선후기 민족종교 또한 관심을 가지고 공부를 하고 있다. 조선철학사의 어떻게 맥락이 연결되는가에 흥미를 가지고 있으며 동양철학이 현실에 적용되는 한의학에도 관심을 가지고 있다. 저서로 『주희 중국철학의 중심』(태학사, 2004)과 『이황의 성학십도』(삼성출판사, 2006)가 있으며, 역서로 『강설 황제내경1, 2』(청홍, 2009, 2011)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