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애는 몸과 세상이 만나는 곳 어디에나 있다
무엇이 ‘신체 손상’을 ‘장애’로 만드는가?
우리의 몸, 매일 사용하는 물건, 나아가 공간과 시간까지
누구도 불편하지 않은 세상을 위한 탐구
미 과학작가협회 선정 2021 사회 속 과학 저널리즘 도서상
NPR(미 공영라디오방송), LitHub(미 문학 웹진) 선정 2020 올해의 책
몸과 세상이 만나는 곳에 숨은 ‘표준’과 ‘정상’을 다시 생각해보고, ‘장애’라는 삶의 방식을 들여다보는 책. 가구와 도구, 부엌과 캠퍼스, 도시의 거리 등 인간이 만들고 사용하는 거의 모든 것은 몸과 세상 사이의 간격을 메우기 위한 보조기술이다. 그러나 몸과 세상 사이의 부적합이 장애로 여겨질 만큼 심각하지 않은 한, 우리는 구축된 일상 환경에 숨겨진 어떤 가정을 생각해보지 않는다. 이것들은 정말 모두를 위해 디자인되었을까? 사이보그 팔에서 맞춤형 골판지 가구, 청각장애인을 위한 건축에 이르기까지 장애에 대한 생생한 경험과 그로부터 나온 아이디어와 혁신의 이야기를 통해, 저자는 우리가 사는 세상의 사물과 환경을 다시 생각해보라고 촉구한다. ‘정상성’에 대한 고집이 아닌, 신체의 놀라운 적응력을 기반으로 한 기술은 어떤 모습일까? 건축이 독립성과 상호의존성을 함께 키울 수 있을까? 이 책은 익숙한 사물과 환경을 낯설고 새롭게 만들어서, 모두 다른 우리의 다양한 필요와 욕망을 더 잘 충족시켜줄 미래를 상상하는 데 도움을 줄 것이다. 장애인들에게 보내는 러브레터이자 장애와 디자인 이론에 대한 입문서이며, 모든 인간이 환경에 적응하는 데 필수적인 테크놀로지를 탐구하는 책이다.
Contents
작가의 말
들어가는 말: 누구를 위해 지어진 세계인가?
팔과 다리
의자
방
거리
시계
에필로그: 도움을 보이게 만들기
감사의 말
주
참고문헌
추천의 말
Author
사라 헨드렌,조은영
기술과 장애의 연결점, 사회적 디자인에 관심이 많은 디자인 연구자이자 예술가, 작가, 세 아이의 엄마이다. 1973년생으로, 캘리포니아대학교 로스앤젤레스 캠퍼스UCLA에서 유럽사와 문화지식사, 과학사를 연구하여 2001년 석사학위를 받았고 2013년 하버드대학교 디자인대학원에서 디자인 석사학위를 받았다. 이듬해부터 매사추세츠주에 있는 올린 공과대학교 인문예술 및 디자인 학부에서 부교수로 재직하며 현재까지 보조공학과 적응형 디자인, 디자인 비평을 가르치고 있다. 〈뉴욕 타임스〉 〈아트 인 아메리카〉 〈슬레이트〉 〈와이어드〉 등에 기고한다.
1968년 처음 제정된 이래 현재까지 50년이 넘도록 바뀌지 않고 있는 국제표준 장애인 마크, 즉 국제장애인접근성표지ISA 의 원래 취지를 환기하고자 2010년에 이를 새로 디자인하여 기존의 장애인 마크에 덧붙이는 거리예술 캠페인을 벌였다. 불법적인 운동이었음에도 이 운동이 시민들의 호응을 얻으면서 학교, 기업 등에서 문의가 쇄도했고 결국 뉴욕주를 비롯한 몇몇 지자체도 공식적으로 장애인 마크를 바꾸었다. 새로운 장애인 마크는 뉴욕 현대미술관MoMA에 영구 소장되어 있다. 이 캠페인을 주도한 접근성 아이콘 프로젝트Accessible Icon Project를 공동 설립했으며, 저低기술 보철물 디지털 아카이브engineeringathome.org를 구축했다. 2016년에 한국장애인인권포럼이 초청한 디자인 연구자이자 서울시립미술관SeMA 비엔날레 미디어시티서울의 참여작가로 한국을 방문하기도 했다.
기술과 장애의 연결점, 사회적 디자인에 관심이 많은 디자인 연구자이자 예술가, 작가, 세 아이의 엄마이다. 1973년생으로, 캘리포니아대학교 로스앤젤레스 캠퍼스UCLA에서 유럽사와 문화지식사, 과학사를 연구하여 2001년 석사학위를 받았고 2013년 하버드대학교 디자인대학원에서 디자인 석사학위를 받았다. 이듬해부터 매사추세츠주에 있는 올린 공과대학교 인문예술 및 디자인 학부에서 부교수로 재직하며 현재까지 보조공학과 적응형 디자인, 디자인 비평을 가르치고 있다. 〈뉴욕 타임스〉 〈아트 인 아메리카〉 〈슬레이트〉 〈와이어드〉 등에 기고한다.
1968년 처음 제정된 이래 현재까지 50년이 넘도록 바뀌지 않고 있는 국제표준 장애인 마크, 즉 국제장애인접근성표지ISA 의 원래 취지를 환기하고자 2010년에 이를 새로 디자인하여 기존의 장애인 마크에 덧붙이는 거리예술 캠페인을 벌였다. 불법적인 운동이었음에도 이 운동이 시민들의 호응을 얻으면서 학교, 기업 등에서 문의가 쇄도했고 결국 뉴욕주를 비롯한 몇몇 지자체도 공식적으로 장애인 마크를 바꾸었다. 새로운 장애인 마크는 뉴욕 현대미술관MoMA에 영구 소장되어 있다. 이 캠페인을 주도한 접근성 아이콘 프로젝트Accessible Icon Project를 공동 설립했으며, 저低기술 보철물 디지털 아카이브engineeringathome.org를 구축했다. 2016년에 한국장애인인권포럼이 초청한 디자인 연구자이자 서울시립미술관SeMA 비엔날레 미디어시티서울의 참여작가로 한국을 방문하기도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