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가 ‘나’라고 할 수 있는 ‘나’를 어디서 찾을 수 있을까?
‘고정된 내가 없다’는 것은 자유의 메시지다
스님에게 불교를 가르치는 서양철학자, 미네소타주립대 홍창성 교수가 풀어낸 무아(無我)의 철학적 해석. 철학은 논리적으로 모순을 초래하는 개념에 해당하는 대상이 이 세상에 존재할 수 없다고 판단한다. 우리가 ‘나’라고 여기는 자아(self), 영혼(soul), 참나(眞我)가 모두 논리적인 모순으로 밝혀진다면, 진정한 나는 과연 무엇일까? 이 책은 ‘나는 누구인가’라는 흔한 질문이 잘못된 물음이라는 분석으로 논의를 시작한다. 질문을 바로잡은 다음, ‘진정한 나’가 존재한다면 그것은 과연 무엇일까를 현대철학과 불교의 가르침으로 교차 검토한다. 특히 ‘나의 존재’에 관한 가장 혁신적인 설명인 불교의 ‘무아론’을 심리철학, 언어철학, 형이상학 등 서양현대철학의 통찰을 이용하여 여러 각도에서 논증한다. 이 과정에서 근대 서양철학의 아버지인 데카르트 논증의 허점을 날카롭게 지적하며, ‘개인 인격체로서의 나’의 존재나 ‘참나’와 무아의 관계, 왜 무아가 자유의 가르침인지 등 첨예한 주제를 하나씩 짚어낸다. 난해한 이론이나 경전의 인용 대신 친근한 일상의 사례를 통해 현대 문명의 바탕을 이룬 서양철학의 논법은 물론, 연기법·무상·오온·공·진제·속제 등 불교의 핵심 개념들까지 쉽고 명쾌하게 해설했다. 이우일 작가의 참신한 일러스트가 내용의 이해를 돕는다.
4.1 어디까지가 나의 몸인가?
4.2 어디까지가 나의 마음인가?
* 마음의 인과적-역사적 고리
* 언어노동의 분업
* 환경과 분리될 수 없는 마음
4.3 실재하지 않는 나
5. 반론들
5.1 데카르트의 도전
5.2 나는 이 몸과 마음이 합친 전체와 아무 관련 없다
6. 다시 나를 찾아서
6.1 불교는 대자유의 가르침이다
6.2 개인 인격체로서의 나는 존재한다
글을 맺으며
Author
홍창성
서울대학교 철학과 및 동 대학원을 졸업한 후 미국으로 건너가 브라운대학교 대학원에서 박사 학위를 받은 저자는 지난 20여 년간 미국 미네소타주립대학교(Minnesota State University Moorhead) 철학과 교수로 재직하며, 형이상학과 심리철학, 불교철학 분야의 연구를 지속해 오고 있다.
저자는 지난 2015년에 시작되어 국내 불교계를 뜨겁게 달구었던 ‘깨달음 논쟁’ 당시 누구보다 많은 분량(8편)의 글을 기고하며 논쟁의 중심에 선 바 있다. 이후 월간 『불광』, 『불교문화』를 비롯한 매체에 불교철학 관련 글을 연재하였으며, SNS에서 ‘Yumaa Hill’이라는 필명으로 국내 독자들과도 소통하고 있다.
현응 스님의 저서 『깨달음과 역사』(불광출판사)를 부인이자 동료 교수인 유선경 교수와 공역하였고, 함께 저술한 『생명현상과 불교』의 출간을 앞두고 있다. 현재 Buddhism for Thinkers(사유하는 사람들을 위한 불교)를 집필 중이기도 한 저자는 마음과 물질세계의 관계를 주제로 한 전공 분야 논문을 영어와 한글로 발표해 오고 있으며, 불교의 연기緣起의 개념으로 동서양 형이상학을 재구성하는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서울대학교 철학과 및 동 대학원을 졸업한 후 미국으로 건너가 브라운대학교 대학원에서 박사 학위를 받은 저자는 지난 20여 년간 미국 미네소타주립대학교(Minnesota State University Moorhead) 철학과 교수로 재직하며, 형이상학과 심리철학, 불교철학 분야의 연구를 지속해 오고 있다.
저자는 지난 2015년에 시작되어 국내 불교계를 뜨겁게 달구었던 ‘깨달음 논쟁’ 당시 누구보다 많은 분량(8편)의 글을 기고하며 논쟁의 중심에 선 바 있다. 이후 월간 『불광』, 『불교문화』를 비롯한 매체에 불교철학 관련 글을 연재하였으며, SNS에서 ‘Yumaa Hill’이라는 필명으로 국내 독자들과도 소통하고 있다.
현응 스님의 저서 『깨달음과 역사』(불광출판사)를 부인이자 동료 교수인 유선경 교수와 공역하였고, 함께 저술한 『생명현상과 불교』의 출간을 앞두고 있다. 현재 Buddhism for Thinkers(사유하는 사람들을 위한 불교)를 집필 중이기도 한 저자는 마음과 물질세계의 관계를 주제로 한 전공 분야 논문을 영어와 한글로 발표해 오고 있으며, 불교의 연기緣起의 개념으로 동서양 형이상학을 재구성하는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