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산이 살았던 시대는 외부로부터 과학기술을 동반한 서학이 유입되고, 오랫동안 누적된 사회적 병폐가 극에 달해 시급한 개혁이 요구됐다. 그는 조선사회의 지배이념 역할을 했던 성리학 이론을 뛰어넘어 유교경전을 새롭게 해석하고 실용적인 학문체계를 집대성했다. 다산은 선진문물 도입을 주장한 일부 진보적인 학자의 북학사상을 수용해 조선사회의 변혁을 염원했다. 특히 다산은 경제 분야의 개혁정책으로 농경지의 균분(均分)과 민생안정, 신분변화에 따른 분업 윤리, 조세 균납, 기술혁신과 상업윤리 그리고 백성을 위한 목민관 윤리 등의 실현방안을 제시했다.
조선후기 사회를 살았던 정약용의 정치경제 개혁안에 나타난 윤리사상을 집중 조명한 이 책은 지식정보화사회에서 민족통일을 준비해야 하는 오늘날의 우리에게 큰 교훈을 줄 것이다.
광주제일고등학교와 광주제일고등학교를 졸업하고 국가공무원이 되어 공직생활을 하던 중 정부 위탁교육생으로 성균관대학교 유학대학원에서 유교로 문학석사 학위를 박고, 성균관대학교 대학원에서 유교철학을 전공하여 「丁茶山의 經濟倫理思想 硏究」로 철학박사 학위를 받았다. 자본주의 경제체제운영에서 온 각종 폐단을 유학적으로 접근하여 그 대 처방안을 모색한 논문 「現代 社會問題와 儒學의 經濟倫理」를 동양철학연구회에 발표하였다.
총무처에 첫 발령을 받아 오랜 공직생활을 하면서 공무원 인사제도, 교육훈련 및 정부의전 분야의 경력을 쌓았고, 서울올림픽대회조직위원회와 정책기획위원회에 파견되어 근무하였으며, 행정자치부를 거쳐 대통령소속 국민고충처리위원회에서 부이사관으로 재직하고 있다.
광주제일고등학교와 광주제일고등학교를 졸업하고 국가공무원이 되어 공직생활을 하던 중 정부 위탁교육생으로 성균관대학교 유학대학원에서 유교로 문학석사 학위를 박고, 성균관대학교 대학원에서 유교철학을 전공하여 「丁茶山의 經濟倫理思想 硏究」로 철학박사 학위를 받았다. 자본주의 경제체제운영에서 온 각종 폐단을 유학적으로 접근하여 그 대 처방안을 모색한 논문 「現代 社會問題와 儒學의 經濟倫理」를 동양철학연구회에 발표하였다.
총무처에 첫 발령을 받아 오랜 공직생활을 하면서 공무원 인사제도, 교육훈련 및 정부의전 분야의 경력을 쌓았고, 서울올림픽대회조직위원회와 정책기획위원회에 파견되어 근무하였으며, 행정자치부를 거쳐 대통령소속 국민고충처리위원회에서 부이사관으로 재직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