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독교 신앙 윤리 : 성경, 교리, 삶의 통합적 이해

$28.35
SKU
9788934128045
+ Wish
[Free shipping over $100]

Standard Shipping estimated by Tue 05/6 - Mon 05/12 (주문일로부 10-14 영업일)

Express Shipping estimated by Thu 05/1 - Mon 05/5 (주문일로부 7-9 영업일)

* 안내되는 배송 완료 예상일은 유통사/배송사의 상황에 따라 예고 없이 변동될 수 있습니다.
Publication Date 2025/04/22
Pages/Weight/Size 153*224*30mm
ISBN 9788934128045
Categories 종교 > 기독교(개신교)
Description
우리는 무엇을 믿고(신앙) 어떻게 살아야(윤리) 할까요? 단순해 보이는 ‘신앙 윤리’에 관한 질문은 우리가 당면한 현실적인 고민들에 의해 더욱 어렵게 다가옵니다. 정규 교과과정의 진화론적 교육, 삶에 갑자기 불어닥친 불행, 충무공 이순신 장군의 구원 가능성, 다양한 기독교 교파들의 갈등 등에 대한 궁금증들은 신앙에 대한 회의감을 불러 일으키곤 합니다. 이러한 고민들은 세대가 거듭되어도 다시금 찾아올 것입니다. 독자들께서는 『기독교 신앙 윤리』를 통해 위에 언급된 고민들이 어떻게 기독교적으로 풀어질 수 있는지를 발견할 수 있습니다.
Contents
추천사 1 강웅산 박사ㆍ총신대학교 신학대학원장
추천사 2 김요섭 박사ㆍ총신대학교 신학대학원 역사신학 교수
추천사 3 라영환 박사ㆍ총신대학교 조직신학 교수
추천사 4 문병호 박사ㆍ총신대학교 신학대학원 조직신학 교수
추천사 5 박재은 박사ㆍ총신대학교 신학과 교수
추천사 6 안인섭 박사ㆍ총신대학교 신학대학원· 통합대학원장
추천사 7 우병훈 박사ㆍ고신대학교 조직신학 교수
추천사 8 유정모 박사ㆍ횃불트리니티신학대학원대학교 교회사 교수
추천사 9 윤종훈 박사ㆍ총신대학교 교회사 교수
추천사 10 이승구 박사ㆍ합동신학대학원대학교 남송 석좌교수

저자 서문

제1부 기독교 신앙 윤리의 원리

제1장 기독교 신앙 윤리의 정의: 역사신학적 이해
1. 여는 말: 그리스도인의 삶에 대한 간단한 묵상
2. 본서의 연구방법: 개혁주의-역사신학적 접근의 필요성
3. 기독교와 윤리의 관계
4. 기독교 세계관
5. 본서의 구조와 내용
6. 선행 연구
7. 인용 자료에 대한 설명과 본서의 의의

제2장 기독교 신앙 윤리의 정체성: 하나님, 인간, 세계의 관계
1. 인간의 본질적인 질문: 나는 누구인가?
2. 하나님을 아는 지식과 나를 아는 지식
3. 정보가 아닌 진정한 앎
4. 사람의 본성에 새겨진 지식
5. 우주의 창조와 지탱에서 드러나는 지식
6. 결론

제3장 기독교 신앙 윤리의 정당성: 개혁주의란 무엇인가?
1. 개혁주의에 대한 오해
2. 기독교의 분류
3. 개신교의 분류
4. ‘칼빈주의’라는 용어
5. 신칼빈주의자(neo-Calvinist) 아브라함 카이퍼
6. 칼빈주의의 정의
7. 통일적 세계관
8. 결론

제4장 기독교 신앙 윤리의 기초: 성경은 하나님의 무오한 말씀
1. ‘오직 성경’이라는 슬로건
2. 특별계시의 필요성
3. 성경의 유기적 영감
4. 성경의 신적 권위
5. 성경 해석자의 자세
6. 성경과 교리의 관계
7. 결론

제2부 기독교 신앙 윤리의 주제

제5장 삼위일체 하나님에 대한 기독교 신앙 윤리: 호기심이 아닌 세 인격에 대한 분명한 믿음
1. 삼위일체에 대한 성경의 가르침
2. 삼위일체 교리의 역사적 배경
3. 성부, 성자, 성령의 세 인격
4. 삼위일체 용어의 의미
5. 어떤 분: 맞추어 주심
6. 삼위일체 교리는 호기심을 금함
7. 결론

제6장 하나님의 일하심에 대한 기독교 신앙 윤리: 1작정과 창조는 진화론을 반대함
1. 하나님의 작정
2. 진화론에 대한 반대
3. 6일 창조와 시간
4. 천사와 마귀의 실재
5. 창조의 면류관인 ‘사람’

제7장 섭리에 대한 기독교 신앙 윤리: 하나님의 은밀한 손과 인간의 자유의지 문제
1. 섭리 신앙: 하나님의 주권과 불합리해 보이는 일들
2. 운명도 없고 우연도 없다!
3. 자유의지 vs 노예의지
4. 그리스도인의 순종할 자유
5. 결론

제8장 율법에 대한 기독교 신앙 윤리: 행위 구원이 아닌 삶의 의무
1. 이순신 장군은 구원을 받았을까?
2. 율법의 종류와 도덕법
3. 결론

제9장 경건에 대한 기독교 신앙 윤리: 십계명의 원리와 실천
1. 십계명에 대한 오해
2. 경건에 대한 오해: 경건주의
3. 참된 경건이란 무엇인가?
4. 십계명 I: 서론에서 3계명까지
5. 십계명 II: 안식일 계명
6. 제5-10계명
6. 결론

제10장 그리스도에 대한 기독교 신앙 윤리: 경건의 요체
1. 그리스도는 경건의 요체
2. 중보자 그리스도의 필연성
3. 그리스도의 인격: 참 하나님이면서 참 사람이 되심
3. 그리스도의 사역에 대한 지식: 삼중직 - 선지자, 왕, 제사장
4. 결론

제3부 기독교 신앙 윤리와 세상

제11장 종교에 대한 기독교 신앙 윤리: 기독교와 타 종교는 어떻게 다른가?
1. 종교: 언약의 원리
2. 타 종교의 계시관
3. 종교적 존재로서의 인간
4. 타락한 인간의 의지
5. 타 종교의 특징
6. 기독교의 특징
7. 결론

제12장 국가에 대한 기독교 신앙 윤리: 국가와 사회와 교회는 어떻게 구별되는가?
1. 국가와 교회의 관계
2. 국가의 형성 이유
3. 칼빈이 생각한 국가와 교회
4. 행정관 선출은 하나님의 은혜와 섭리
5. 기독교권 정치 윤리에 반하는 두 가지 이론
6. 사회에 대한 주권
7. 결론

제13장 문화에 대한 기독교 신앙 윤리: 기독교 문화와 세상 문화의 관계
1. 문화를 어떻게 해석해야 하는가?
2. 리차드 니버의 유형론 분석
3. 니버의 유형론 구분의 문제점들
4. 문화와 도덕의 관계
4. 문화와 계시의 관계
5. 기독교 문화의 적용 I: 결혼
7. 기독교 문화의 적용 II: 직업
8. 결론

제14장 예술에 대한 기독교 신앙 윤리: 포스트모더니즘과 개혁주의
1. 현대 예술
2. 르네상스 예술
3. 개혁주의와 예술
4. 개혁주의 예술 양식
5. 예술의 본질에 대한 태도
6. 개혁주의 예술의 적용: 음악

맺음말
미주
Author
류길선
충북대학교 경영학과(B.A)를 거쳐 총신대학원에서 목회학 석사(M. Div.)를 한 후, 도미하여 미국 칼빈 신학교에서 신학 석사(Th. M, 조직신학)를 졸업하였다. 이후 미국 트리니티 신학교에서 조나단 에드워즈의 언약 신학을 전공으로 역사신학 박사학위(Ph. D)를 취득하였다. 현재 총신대학교 신학과의 교회사 교수로 재직중이다. 저서로는 박사 논문을 수정하여 출판한 Federal Theology of Jonathan Edwards: An Exegetical Perspective(Lexhem Press, 2021)가 있으며, 역서로는 휘트니 G. 갬블의 『웨스트민스터 총회의 반율법주의 논쟁』(개혁주의신학사, 2021)이 있다.
충북대학교 경영학과(B.A)를 거쳐 총신대학원에서 목회학 석사(M. Div.)를 한 후, 도미하여 미국 칼빈 신학교에서 신학 석사(Th. M, 조직신학)를 졸업하였다. 이후 미국 트리니티 신학교에서 조나단 에드워즈의 언약 신학을 전공으로 역사신학 박사학위(Ph. D)를 취득하였다. 현재 총신대학교 신학과의 교회사 교수로 재직중이다. 저서로는 박사 논문을 수정하여 출판한 Federal Theology of Jonathan Edwards: An Exegetical Perspective(Lexhem Press, 2021)가 있으며, 역서로는 휘트니 G. 갬블의 『웨스트민스터 총회의 반율법주의 논쟁』(개혁주의신학사, 2021)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