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대 국어학의 논리와 계보

$28.30
SKU
9788933707081
+ Wish
[Free shipping over $100]

Standard Shipping estimated by Fri 12/6 - Thu 12/12 (주문일로부 10-14 영업일)

Express Shipping estimated by Tue 12/3 - Thu 12/5 (주문일로부 7-9 영업일)

* 안내되는 배송 완료 예상일은 유통사/배송사의 상황에 따라 예고 없이 변동될 수 있습니다.
Publication Date 2016/04/15
Pages/Weight/Size 153*224*30mm
ISBN 9788933707081
Categories 인문 > 기호학/언어학
Description
이 책은 근대 이후의 국어학 업적을 섭렵하여 우리말 연구의 의미를 이해하려는 이들을 위한 연구서이다. 이 책은 국어학 업적을 정리하고 그 흐름을 보이는 연구사적 서술을 탈피하려 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연구사적 서술을 탈피한다는 것은 우리말 연구의 의미를 좀 더 직접적으로 보이는 데 주력한다는 뜻으로, 이를 위해 이 책에서는 다음과 같은 질문을 던지고 이에 답하고 있다. “국어학계는 우리말을 연구하는 것의 의미를 어떻게 인식해 왔는가?”

‘인식의 흐름’에 초점을 둠으로써 이 책에서는 근대 이후 국어 연구의 흐름을 시대정신과 관련지어 거시적 차원에서 조망하는 서술 방식을 취했다. 이에 따라 특정 시대에 공유되던 우리말 연구의 문제의식이 무엇이고, 한 시대의 문제의식이 해소되며 연구 방향이 전환되는 계기는 무엇인지를 포착하는 데 주력했다. 이는 자연스럽게 시대정신과 국어학적 문제의식을 공유하던 인물들 간의 영향 관계를 탐구하는 것으로 이어졌다. ‘근대 국어학의 논리와 계보’라는 이 책의 제목은 근대 국어학사로서 이 책의 특징을 그대로 드러낸다.
Contents
머리말

Ⅰ. 근대 국어학사를 어떻게 서술할 것인가
1. 어떤 태도로 무엇을 서술할 것인가
1.1. 서술 태도
1.2. 서술 대상
2. 근대를 어떻게 구획하여 서술할 것인가
2.1. 근대 국어학의 기점
2.2. 근대 국어학의 종언
2.3. 일제강점기의 성격 규정 문제
2.4. 국어 연구를 추동한 논리의 특수성

Ⅱ. 근대 국어학의 태동(1894~1910)
1. 근대 국어학의 출현 맥락
1.1. ‘국문’과 ‘국어’의 함의
1.2. 언문일치와 국어학의 과제
2. 근대 국어학의 전개
2.1. 철자법의 구상과 근대 국어학의 형성
2.2. 문어로 실현되는 구어: 문법 기술의 대상
3. 전통 언어학의 계승과 서구 언어학의 수용 사이
3.1. 언어의 보편성에 대한 이해
3.2. 국어문법의 개별성에 대한 인식

Ⅲ. 국어 의식의 내면화와 조선어학의 모색(1910~1945)
1. 국어 의식의 내면화 맥락
1.1. 어문민족주의의 형성 맥락
1.2. 국어의 상실과 조선어학계의 모색
2. 어문민족주의의 개화, 조선어학회 활동
2.1. 조선어학회의 정체성
2.2. 조선어학회의 어문 규범화 사업과 그 의미
2.3. 조선어학회와 해외 한국어 연구
3. 식민지 시대, 어문운동 논리의 다변화
3.1. 어문민족주의에 대한 문제제기
3.2. 어문 문제에 대한 인식과 대응 논리
3.3. 언어관의 양상과 어문학자의 계보
4. 조선어학의 실천성과 과학성
4.1. 일제강점기 조선어학의 경향
4.2. 실천적 조선어학의 전개
4.3. 조선어학의 과학화라는 이데올로기
5. 서구 언어학 이론의 수용 맥락과 성과
5.1. 역사주의 언어학의 수용과 국어학적 적용
5.2. 구조주의 언어학의 수용과 국어학적 적용
5.3. 마르크스주의 언어학의 수용과 국어학적 적용

Ⅳ. 국어의 재정립과 국어학의 전환(1945~1965)
1. 국어회복 활동의 이념과 논리
1.1. 조선어학회의 목표, 우리말 도로찾기
1.2. 국수주의에 대한 경계와 과학주의의 모색
1.3. 국어 회복의 논리와 한자의 문제
2. 규범 정립의 논리
2.1. 국어사전의 편찬
2.2. 언어개조론의 좌절
3. 해방 이후 국어학의 지향과 성과
3.1. 과학적 역사주의의 공고화
3.2. 언어학과 국어학의 융합
3.3. 실천적 국어학의 과학화
3.4. 이론과 이념의 조화
3.5. 소수민족어로서의 조선어 연구
4. 국어학의 전환과 전환 논리
4.1. 조선어학회의 균열
4.2. 신세대의 출현과 학풍의 혁신
4.3. 1965년 이후

참고문헌
찾아보기
Author
최경봉
고려대학교에서 국어학을 공부했고, 원광대학교에서 국어학을 가르치고 있습니다. 지은 책으로 《우리말의 수수께끼》(공저), 《한국어가 사라진다면》(공저), 《한글에 대해 알아야 할 모든 것》(공저), 《우리말의 탄생》, 《한글 민주주의》, 《의미 따라 갈래지은 우리말 관용어 사전》, 《어휘 의미론》, 《교양 있는 10대를 위한 우리말 문법 이야기》, 《근대 국어학의 논리와 계보》, 《국어 선생님을 위한 문법 교육론》(공저), 《우리말 강화》 등이 있습니다. 하고 있습니다.
고려대학교에서 국어학을 공부했고, 원광대학교에서 국어학을 가르치고 있습니다. 지은 책으로 《우리말의 수수께끼》(공저), 《한국어가 사라진다면》(공저), 《한글에 대해 알아야 할 모든 것》(공저), 《우리말의 탄생》, 《한글 민주주의》, 《의미 따라 갈래지은 우리말 관용어 사전》, 《어휘 의미론》, 《교양 있는 10대를 위한 우리말 문법 이야기》, 《근대 국어학의 논리와 계보》, 《국어 선생님을 위한 문법 교육론》(공저), 《우리말 강화》 등이 있습니다. 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