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책은 이제 막 인류학에 입문하여 민족지적 현장연구ethnographic fieldwork를 처음 시작하는 학생들을 위해 써졌다. 이들에게 일차적으로 필요한 것은 단순히 현장연구나 참여관찰을 어떤 방식으로 한다는 기술적 지식이 아니라, 이러한 연구방법을 ‘왜’ 사용하느냐라는 점이다. 이 점을 이해해야만 인류학을 공부하면서 길을 잃지 않고, 인류학이라는 학문의 성격을 제대로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 책은 민족지적 연구와 현장연구, 질적 연구와 양적 연구 등의 기본 개념을 설명하고, 민족지적 연구를 왜 수행해야 하는가를 알려 주는 데에서 시작한다.
Contents
머리말
제1장 서론: 인류학, 민족지적 연구, 현장연구
Ⅰ. 인류학, 민족지적 연구, 현장연구의 관계
Ⅱ. 민족지적 연구의 등장 배경과 필요성
제2장 현장연구의 설계
Ⅰ. 연구주제 선정 시 고려사항
Ⅱ. 연구현장 선정 시 고려사항
Ⅲ. 연구계획서 쓰기
Ⅳ. 연구계획서의 양식
더 읽어보기 연구계획서 작성의 사례
제3장 현장 들어가기, 자리 잡기, 떠나기
Ⅰ. 현장 들어가기
Ⅱ. 자리 잡기
Ⅲ. 떠나기
제4장 참여관찰
Ⅰ. 참여관찰이란 무엇인가?
Ⅱ. 참여수준의 다양성
Ⅲ. 참여관찰은 왜 하는가?
Ⅳ. 참여관찰은 어떻게 하는가?
제5장 면담
Ⅰ. 민족지적 현장연구의 기본적 자료수집 방법으로서의 면담
Ⅱ. 민족지적 연구에 사용되는 면담 방법의 특성
Ⅲ. 면담 방법은 왜 필요한가?
Ⅳ. 어떻게 면담하는 것이 좋은가?
더 읽어보기 초점집단 면담
제6장 기록과 자료 관리
Ⅰ. 현장연구에서는 왜 기록을 하는가?
Ⅱ. 현장연구 기록의 종류는 무엇이며 어떻게 기록하는가?
Ⅲ. 현장연구 기록 자료의 관리
제7장 자료의 분석에서 글쓰기까지
Ⅰ. 자료의 분석과 해석 시 고려사항
Ⅱ. 민족지적 글쓰기
Ⅲ. 민족지적 글쓰기의 종류와 스타일
더 읽어보기 현장연구와 윤리성의 문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