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의 한 왕조 시대에는 가뭄과 전염병, 메뚜기 떼의 공격 등 일반적인 자연재해뿐만 아니라 두 차례나 황하의 물길이 바뀌어 오랫동안 심각한 물난리를 겪었고, 청대를 제외하면 중국 역사상 가장 격심했던 지진의 피해도 당하였다. 또한 당시는 기후의 급속한 한랭화가 진행된 시기였다. 이러한 자연의 변화는 당시 사람들에게 어떠한 영향을 미쳤으며, 한대 사람들은 어떤 방식으로 그 위기를 극복하기 위해 노력했을까. 이 문제를 저자는 한 제국의 유교화라는 큰 틀에서 해명하고 있다.
Contents
제1장_황정 연구의 대상
1. ‘주례‘의 황정 12조
2. ‘서한회요‘,‘동한회요‘의 ‘황정’조
3. ‘구황전법‘,‘강제록‘의 황정 범위
4. 맺음말
제2장_ 재해관과 자연재해
1. 한대인의 재해관―‘설문‘과 ‘춘추‘의 ‘재災’ 개념을 중심으로
2. ‘한서‘,‘후한서‘ 재해 기사의 검토
3. 한대 재해 상황의 특징
4. 맺음말
제3장_ 황정론의 전개―‘염철론‘을 중심으로
1. 한 무제기까지의 황정론
2. ‘염철론‘에서 보이는 유가와 법가의 상이한 황정관
3. ‘명경’의 황정론과 민본적 정치사상의 확대
4. 맺음말
제4장_ 재이론과 유교정치―전한 원제대를 중심으로
1. ‘죄기조’를 통해 본 재이 정치
2. 원제대 정치 상황의 전개와 재이론의 역할
3. 맺음말
제5장_ 황정 체계의 형성과 군현제
1. 현 단위의 황정기 : 고조~경제기
2. 특사 중심의 황정기 : 무제~소제기
3. 군국 중심의 황정기 : 선제~원제기
4. 특사와 군국의 통합적 황정기 : 성제기 이후
5. 맺음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