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늦다」는 말은 흔히 성공과는 거리가 먼 부정적인 의미로 여겨져 왔다. 시험 삼아 이런저런 것을 시도하거나 지체한다면, 일찌감치 시작한 사람들을 결코 따라잡지 못할 것이라는 믿음이 우리 문화에 깊숙이 자리 잡고 있다. 그러나 엡스타인은 이 책에서 「늦음」의 의미를 뒤집는다. 늦는다는 건 단단해지고 있다는 뜻이고, 경험의 폭을 넓히는 중이라는 뜻이다.
엡스타인은 비능률을 함양하라고 요청한다. 실패하라. 시험에 떨어지는 것이야말로 무언가를 배우는 가장 좋은 방법이다. 이것저것 시도했다가 그만두는 행동이 때론 가장 성공한 경력으로 이어진다. 세상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친 발명가들은 외길 전문가가 아니라, 여러 분야를 고루 경험한 늦깎이들이다.
그런 의미에서 이 책은 인생의 전환기를 겪는 한국 독자들에게도 의미를 지닌다. 직업 군인으로 살다가 뒤늦게 공부를 시작하려는 이들, 조기 퇴직하고 새 직업을 고민하는 이들, 일찍 진로를 정해서 잘사는 듯 보이는 또래들을 보면서 「나는 이미 늦었구나」 생각하는 이들, 아직도 인생의 갈피를 못 잡는 모두에게 이 책은 희망을 준다. 그런 삶이야말로 올바른 것이라고 말이다. 엡스타인은 결론에서 이 책의 핵심을 강조한다. 「더 젊은 남들과 비교하지 말고, 오늘의 자신을 어제의 자신과 비교하라. 사람은 저마다 발전 속도가 다르다. 그러니 누군가를 보면서 자신이 뒤처져 있다는 느낌을 받지 말기를.」
Contents
서문 로저 페더러 vs. 타이거 우즈
1장 조기 교육이라는 종교
2장 사악한 세계는 어떻게 생겨났는가
3장 반복되는 일을 덜 할 때가 더 낫다
4장 빠른 학습과 느린 학습
5장 경험 바깥의 사고
6장 그릿이 너무 많아서 문제
7장 자신의 가능한 자아와 놀기
8장 외부인의 이점
9장 시든 기술을 활용하는 수평적 사고
10장 전문성에 속다
11장 친숙한 도구를 버리는 법 배우기
12장 의도적인 아마추어
결론 자신의 레인지를 확장하기
감사의 말
주
옮긴이의 말
찾아보기
Author
데이비드 엡스타인,이한음
인간의 학습과 성취에 관한 비범한 해석으로 미국 출판계에서 뜨거운 조명을 받고 있는 논픽션 작가이자 저널리스트. 컬럼비아 대학교에서 환경 과학과 천문학을 전공하고, 같은 대학원에서 언론학과 환경 과학 석사 학위를 받았다. 대학교 재학 시절에 육상 800미터 대표 선수로도 활약했다. 『스포츠 일러스트레이티드』의 선임 기고가로 활동하며 스포츠 과학, 의학, 올림픽에 관한 기사를 주로 썼다. 철저한 검증을 자랑하는 그의 글들은 독자들로부터 많은 호평을 받았다. 기고가로 활동하기 전에는 알래스카 부근 북극 한계선에서 환경 연구원으로 활동했고, 지진 연구 선박 위에서 생활하며 지중해 해저 지형의 지도를 제작하기도 했다. 『스포츠 일러스트레이티드』를 비롯해, 『뉴욕 타임스』, 『디스커버리』, 『워싱턴 포스트』, 『GQ』, 『내셔널 지오그래픽』, 『가디언』 등 수많은 매체를 통해 그의 글을 만날 수 있다. 전작 『스포츠 유전자The Sports Gene』는 큰 화제를 모으며 출간 즉시 『뉴욕 타임스』 베스트셀러에 올랐고, 『워싱턴 포스트』와 『퍼블리셔스 위클리』 등이 뽑은 2013년 최고의 논픽션에 선정되었다.
인간의 학습과 성취에 관한 비범한 해석으로 미국 출판계에서 뜨거운 조명을 받고 있는 논픽션 작가이자 저널리스트. 컬럼비아 대학교에서 환경 과학과 천문학을 전공하고, 같은 대학원에서 언론학과 환경 과학 석사 학위를 받았다. 대학교 재학 시절에 육상 800미터 대표 선수로도 활약했다. 『스포츠 일러스트레이티드』의 선임 기고가로 활동하며 스포츠 과학, 의학, 올림픽에 관한 기사를 주로 썼다. 철저한 검증을 자랑하는 그의 글들은 독자들로부터 많은 호평을 받았다. 기고가로 활동하기 전에는 알래스카 부근 북극 한계선에서 환경 연구원으로 활동했고, 지진 연구 선박 위에서 생활하며 지중해 해저 지형의 지도를 제작하기도 했다. 『스포츠 일러스트레이티드』를 비롯해, 『뉴욕 타임스』, 『디스커버리』, 『워싱턴 포스트』, 『GQ』, 『내셔널 지오그래픽』, 『가디언』 등 수많은 매체를 통해 그의 글을 만날 수 있다. 전작 『스포츠 유전자The Sports Gene』는 큰 화제를 모으며 출간 즉시 『뉴욕 타임스』 베스트셀러에 올랐고, 『워싱턴 포스트』와 『퍼블리셔스 위클리』 등이 뽑은 2013년 최고의 논픽션에 선정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