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은 지식을 전달하는 참고서인가?
공부하는 사람은 많아도 지혜로운 사람은 없는 시대
온몸으로 읽는 수도사들의 읽기를 소개하다!
20세기 최고의 사상가 이반 일리치
독서법에 관한 최초의 책을 통한 오늘날 읽기 성찰!
“가장 급진적인 사상가”(타임스), “어떤 위치에서든 총을 겨눌 수 있는 지식의 저격수”(뉴욕 타임스), “전 세계에서 가장 위대한 사상가 중 한 명”(가디언) …… 이반 일리치(Ivan Illich, 1926~2002)는 수많은 수식어를 동반하는 논쟁적인 사상가이다. 12개 국어에 능통했던 그는 사회학, 철학, 신학, 역사학, 과학기술 등 많은 분야에 영향을 끼쳤고, 살아 있는 인간의 복원을 위해 주류적 흐름에 반하는 대항 연구와 지식 운동을 전개하였다. 1970년대와 1980년대 현대의 모순과 비인간화된 사회를 폭로하는 글을 쓰기 시작했는데 『학교 없는 사회』, 『병원이 병을 만든다』, 『전문가들의 사회』 등을 통해 ‘학교가 교육을 망치고’, ‘병원이 병을 만들고’, ‘전문가들이 우리를 불구로 만든다’라는 급진적인 메시지를 던져왔다. ‘일리치 열풍’이라고 할 수 있을 정도로 그의 책과 사상은 전 세계적으로 널리 퍼졌지만, 생애 후반 20년은 잊혀진 듯했다. [“1970~1980년대 한동안 일리치 열풍이 있었다. 이제 사람들은 더 이상 일리치를 읽지 않는 듯하다”(평화운동가, 더글러스 러미스)] 2002년 사회적 모순에 대한 그의 첨예한 비판이 다시 주목을 받게 되어 언론들은 새로이 일리치를 언급하기 시작했고, 국내에서도 ‘이반 일리치 전집’이 출간, 그의 사상을 탐구하는 철학 강좌가 열리는 등 그의 목소리가 다시금 살아나고 있다. 전혀 나아지지 않는 현대 사회의 각박함이 일리치를 21세기로 ‘강제 소환’해 고전으로 부활시킨 것이다.
그런 흐름 속에서 국내 처음 소개되는 일리치의 대표작 『텍스트의 포도밭(In the Vineyard of the Text)』(1993)은 흥미롭게도 독서에 관한 책이다. 일리치는 12세기 수도사 후고가 쓴 『디다스칼리콘(Didascalicon)』을 해설하며 포도 맛을 음미하듯 읽는 지혜로운 책 읽기의 전범을 보여주고, 그 이후 12세기 전반에 걸친 책의 탄생과 책 읽기의 변화 문제를 깊이 있게 천착한다. 일리치는 읽는 방식이 곧 세상을 바라보는 방식을 결정한다고 날카롭게 지적한다. 무미건조하게 지식을 습득하는 용도로 전락한 현대의 독서법, 많은 지식과 가벼운 읽을거리로 가득한 인터넷 공간을 비판하며 오늘날 ‘읽기’에 관해 대담하고 근원적인 통찰을 보여준다.
Contents
머리말
1. 지혜를 향한 읽기
인시피트
아욱토리타스
스투디움
디스키플리나
사피엔티아
루멘
거울로서의 페이지
새로운 자아
아미치티아
2. 질서, 기억, 역사
어떤 것도 낮추어 보지 마라
오르도
아르테스
읽는 사람의 마음속에 있는 보물 상자
기억의 역사
기도 예배에서 사용하는 법률가의 기술
지혜의 서곡으로서의 기억 훈련
기초로서의 이스토리아
모든 피조물은 잉태 중이다
3. 수사의 읽기
묵상
중얼거리는 자들의 공동체
포도밭과 정원으로서의 페이지
생활 방식으로서의 렉티오
오티아 모나스티카
렉티오 디비나의 죽음
4. 라틴어 ‘렉티오’
라틴 수도원 생활
그레고리오 성가
라틴어의 문자 독점
5. 학자의 읽기
후고, 서문을 덧붙이다
읽을 의무
빈약한 수입에도 불구하고
수사 신부는 렉티오를 통해 교화한다
페이지 넘기기
새로운 성직자, 문자를 독점하다
소리 내지 않고 읽기
학자의 딕타티오
6. 말의 기록에서 생각의 기록으로
테크놀로지로서의 알파벳
발화의 흔적에서부터 개념의 거울까지
이야기에 대한 주석에서 주제에 관한 이야기로
오르디나티오: 눈에 보이는 패턴
스타침 인벤니리: 즉각적 접근
알파벳 색인
저자 vs. 편찬자, 주석가, 서기
레이아웃
일루미나티오 vs. 일루스트라티오
휴대용 책
7. 책에서 텍스트로
대상으로서의 텍스트의 역사를 향하여
텍스트의 추상
링과와 텍스투스
“만물은 잉태 중이다”
옮긴이의 말
주
참고문헌
Author
이반 일리치,정영목
1926년 오스트리아 빈에서 태어났다. 로마 그레고리안 대학에서 신학과 철학을 공부하고 잘츠부르크 대학에서 역사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1951년 사제 서품을 받은 후 교황청 국제부 직이 예정되어 있었으나 미국으로 건너가 뉴욕 빈민가의 아일랜드-푸에르토리코인 교구에서 보좌신부로 일했다. 1956년에 푸에르토리코 가톨릭 대학 부총장이 되었고, 1961~1976년에는 멕시코 쿠에르나바카에 일종의 대안 대학인 ‘문화교류문헌자료센터’(CIDOC)를 설립하여 연구와 사상적 교류를 이어갔다. 교회에 대한 비판으로 교황청과 마찰을 빚다가 1969년 스스로 사제직을 버렸다. 80년대 이후에는 독일 카셀 대학과 괴팅겐 대학 등에서 서양 중세사를 가르치며 저술과 강의활동에 전념했다. 『깨달음의 혁명』 『학교 없는 사회』 『공생공락을 위한 도구』 『에너지와 공정성』 『의료의 한계』 『그림자 노동』 『누가 나를 쓸모없게 만드는가』 『과거의 거울에 비추어』 등 성장주의에 빠진 현대 문명과 자본주의 사회에 급진적 비판을 가하는 책들로 세계적인 주목을 받았고, 사회, 경제, 역사, 철학, 언어, 여성 문제에도 깊은 통찰들을 남겼다. 2002년 12월 2일 독일 브레멘에서 타계했다.
1926년 오스트리아 빈에서 태어났다. 로마 그레고리안 대학에서 신학과 철학을 공부하고 잘츠부르크 대학에서 역사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1951년 사제 서품을 받은 후 교황청 국제부 직이 예정되어 있었으나 미국으로 건너가 뉴욕 빈민가의 아일랜드-푸에르토리코인 교구에서 보좌신부로 일했다. 1956년에 푸에르토리코 가톨릭 대학 부총장이 되었고, 1961~1976년에는 멕시코 쿠에르나바카에 일종의 대안 대학인 ‘문화교류문헌자료센터’(CIDOC)를 설립하여 연구와 사상적 교류를 이어갔다. 교회에 대한 비판으로 교황청과 마찰을 빚다가 1969년 스스로 사제직을 버렸다. 80년대 이후에는 독일 카셀 대학과 괴팅겐 대학 등에서 서양 중세사를 가르치며 저술과 강의활동에 전념했다. 『깨달음의 혁명』 『학교 없는 사회』 『공생공락을 위한 도구』 『에너지와 공정성』 『의료의 한계』 『그림자 노동』 『누가 나를 쓸모없게 만드는가』 『과거의 거울에 비추어』 등 성장주의에 빠진 현대 문명과 자본주의 사회에 급진적 비판을 가하는 책들로 세계적인 주목을 받았고, 사회, 경제, 역사, 철학, 언어, 여성 문제에도 깊은 통찰들을 남겼다. 2002년 12월 2일 독일 브레멘에서 타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