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세기 대표 신학자 한스 우르스 폰 발타사르가 전하는
신비가 아드리엔 폰 슈파이어의 생애와 영성
『아드리엔 폰 슈파이어와의 첫 만남』은 20세기 대표 신학자 한스 우르스 폰 발타사르가 27년 동안 긴밀히 협력한 신비가 아드리엔 폰 슈파이어의 생애와 영성을 소개하는 책이다. 슈파이어는 스위스의 의사로, 개신교에서 가톨릭으로 개종한 후 발타사르와 영적 관계를 맺으며 그의 신학적인 관점을 형성하는 데 큰 영향을 미쳤다. 발타사르는 이 책에서 슈파이어의 생애, 신학, 주요 작품을 다루고 그의 진술과 기도문을 통해 전반적인 이해를 제공한다. 독자들은 이 책을 통해 슈파이어의 신학과 영성의 핵심적인 가르침을 깨닫고, 이를 오늘날의 삶에 어떻게 적용할 수 있을지를 알게 될 것이다.
Contents
머리말 · 5
역자의 말 · 11
제1부 아드리엔 폰 슈파이어의 생애, 과제, 작품
제1장 생애 · 25
1. 원천 · 28
2. 유년기 · 30
3. 라쇼드퐁의 김나지움 · 36
4. 3년간의 병고 · 38
5. 바젤의 김나지움 · 42
6. 의학 공부 · 43
7. 결혼 · 46
8. 개종 · 49
9. 새로운 은총 · 53
10. 마지막 시기 · 58
11. 임종 · 69
12. 성격 · 74
제2장 신학적 과제 · 79
1. 근본적인 태도 · 83
2. 신학적 위치 · 92
3. 은사의 확장 · 108
제3장 작품 147
1. 작품의 형성 · 150
2. 현존하는 자필 원고 · 157
3. 구술한 작품 · 159
4. 기사 또는 논문 · 167
5. 선집 · 168
제2부 아드리엔 폰 슈파이어의 진술
1. 하느님의 어머니에 대한 현시 · 176
2. 이냐시오 성인과의 만남 · 179
3. 회심의 저녁에 · 182
4. 자신에 관한 진술 · 185
5. 아드리엔이 죽음과 맺은 관계 · 187
6. 어린 시절 아드리엔의 기도 · 195
7. 어린 시절 이웃 사랑의 변화에 대하여 · 196
8. 어린 시절 하느님 사랑과 이웃 사랑의 발전에 대하여 · 205
9. 아드리엔과 성경 · 218
10. 예비된 것 · 226
11. 열다섯 살 소녀와의 대화 · 229
12. 확신 · 232
13. 아드리엔이 받은 세 가지 커다란 은총 · 236
14. 개종하기 이전에 기도에 대해 아드리엔이 지녔던 태도 · 240
15. 사람들의 부족함에 대해 아드리엔이 지녔던 태도 · 251
16. 아드리엔과 고해성사 · 256
17. 고해성사에 대해 아드리엔이 지녔던 태도 · 260
18. 아드리엔과 성인 · 270
19. 아드리엔, 성인 그리고 사명 · 281
20. 아드리엔의 내적 태도 · 284
제3부 아드리엔 폰 슈파이어의 기도문
제1장 지상의 기도 · 294
1. 아침에 드리는 기도 · 296
2. 미사를 시작할 때 드리는 기도 · 297
3. 강론을 듣기 전에 드리는 기도 · 299
4. 영성체 후에 드리는 기도 · 301
5. 밤에 드리는 기도 · 303
6. 감실 앞에서 드리는 기도 · 305
7. 부활하신 주님께 드리는 기도 · 307
8. 성령 쇄신을 위한 기도 · 308
9. 초연함을 위한 기도 · 310
10. 한 해의 마지막에 고해성사를 드린 후 바치는 감사 기도 · 312
11. 현세에서 드리는 기도 · 314
12. 성모님을 통해서 그리스도께로 · 315
13. 질병으로 고통받을 때 드리는 기도 · 318
14. 피로할 때 드리는 기도 · 320
15. 어느 노수녀의 기도 · 320
16. 임종이 가까운 때에 드리는 기도 · 322
17. 이냐시오 성인의 ‘받으소서’ · 323
18. 이냐시오 성인이 아드리엔에게 가르친 기도 · 327
19. 공평의 선물을 청하는 기도 · 329
20. 주님을 멀리하는 사람들을 위한 기도 · 330
21. 자신에게서 해방되기 위한 기도 · 331
22. 유용한 사람이 되기 위한 기도 · 332
23. 주님의 수난을 묵상하며 드리는 기도 · 333
24. 소유하지 않은 것에 집착하지 않기를 청하는 기도 · 334
제2장 천상의 기도 · 336
1. “하느님의 영광이 도성을 비추고 그분의 빛은 어린양입니다.” · 338
2. “도성의 성벽에는 열두 개의 초석이 있습니다. 그리고 그 위에는 어린양의 열두 사도의 이름이 하나씩 적혀 있습니다.” · 340
3. 어린양의 생명의 책 · 350
4. 요한 묵시록으로 인한 은총 · 351
5. 하느님과 어린양의 옥좌 앞에서 시종들이 드리는 흠숭 기도 · 353
6. “주님이신 하느님은 그 빛입니다.” · 355
7. 주님의 기도 · 357
8. “나는 처음이자 마지막이다.” · 363
9. “들을 수 있는 사람은 ‘오소서!’ 하고 말하여라.” · 364
부록 마지막으로 고려해야 할 사항
1. 교회의 현시점에서 바라본 아드리엔 폰 슈파이어 · 370
2. 아드리엔 폰 슈파이어의 작품을 어떻게 읽을 것인가? · 374
Author
한스 우르스 폰 발타사르,윤주현
1905년 스위스 루체른에서 태어나 1928년에 취리히 대학교에서 독문학으로 박사 학위를 받았다. 1929년에 예수회에 입회해서 1936년 사제품을 받았다. 1939년부터 바젤에서 아드리엔 폰 슈파이어를 만나 영적 지도를 했다. 발타사르는 그와 함께 세상 안으로 파견된 교회에 대한 사명을 깨닫고 1945년 ‘요한 재속 수도회’를 설립했다. 제2차 바티칸 공의회와 그 후속 작업에 큰 영향을 미쳤으며, 1972년에는 국제 학술지 〈친교Communio〉를 창간했다. 1988년 요한 바오로 2세 교황에 의해 추기경에 임명되었지만 수여식 이틀 전인 1988년 6월 26일에 선종했다. 발타사르는 주저인 《영광》, 《하느님의 드라마》, 《하느님의 논리》와 《세계의 심장》을 포함하여 단행본 119권, 논문 532편, 공동 집필서 114편, 번역서 110권을 남겼다.
1905년 스위스 루체른에서 태어나 1928년에 취리히 대학교에서 독문학으로 박사 학위를 받았다. 1929년에 예수회에 입회해서 1936년 사제품을 받았다. 1939년부터 바젤에서 아드리엔 폰 슈파이어를 만나 영적 지도를 했다. 발타사르는 그와 함께 세상 안으로 파견된 교회에 대한 사명을 깨닫고 1945년 ‘요한 재속 수도회’를 설립했다. 제2차 바티칸 공의회와 그 후속 작업에 큰 영향을 미쳤으며, 1972년에는 국제 학술지 〈친교Communio〉를 창간했다. 1988년 요한 바오로 2세 교황에 의해 추기경에 임명되었지만 수여식 이틀 전인 1988년 6월 26일에 선종했다. 발타사르는 주저인 《영광》, 《하느님의 드라마》, 《하느님의 논리》와 《세계의 심장》을 포함하여 단행본 119권, 논문 532편, 공동 집필서 114편, 번역서 110권을 남겼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