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우구스티누스에게 삶의 길을 묻다

교회 역사상 가장 위대한 철학자이자 신학자
$23.76
SKU
9788932117850
+ Wish
[Free shipping over $100]

Standard Shipping estimated by Fri 05/31 - Thu 06/6 (주문일로부 10-14 영업일)

Express Shipping estimated by Tue 05/28 - Thu 05/30 (주문일로부 7-9 영업일)

* 안내되는 배송 완료 예상일은 유통사/배송사의 상황에 따라 예고 없이 변동될 수 있습니다.
Publication Date 2021/06/06
Pages/Weight/Size 148*217*30mm
ISBN 9788932117850
Categories 종교 > 천주교
Description
악, 절망, 죽음, 행복, 정의, 평화……
현대인들이 안고 있는 다양한 고민들,
아우구스티누스와 함께 풀어 본다

시대가 흐르고 기술이 발전했지만, 우리 삶은 그다지 행복하지 않다. 원하는 것은 쉽게 얻을 수 있는 세상임에도 불구하고, 삶에 대한 많은 고민들이 끊임없이 밀려든다. 내가 누구인지부터 시작하여 왜 죄를 짓고 왜 악한 일들이 벌어지는지, 끝도 보이지 않는 절망과 불행이 왜 계속되는지, 어떻게 해야 행복해질지, 이 세상에 정의와 평화가 실현되는 날이 과연 올 것인지 등……. 이러한 문제에 대해 의문을 품고 답을 구해 보려고 하지만, 그 답을 찾기란 결코 쉽지 않다. 그런데 1,600년 전에 우리와 똑같이 이러한 고민들을 하면서 그 답을 찾고자 절실히 노력했던 인물이 있다. 바로 아우구스티누스 성인(이하 아우구스티누스로 표기)이다.

그렇다면 살면서 자연스럽게 마음에 품게 되는 이러한 의문들에 대해 아우구스티누스는 어떻게 답했을까? 그것을 알려 주는 책이 바로 『아우구스티누스에게 삶의 길을 묻다』이다. 이 책은 인간 존재의 규명부터 교육, 악, 죽음, 절망과 불행, 행복, 정의와 평화의 문제에 대해 아우구스티누스가 자신의 경험과 끊임없는 탐구를 통해 얻은 깨달음을 알기 쉽게 전한다. 가톨릭출판사에서는 2017년 초판 출간 이후 오랫동안 스테디셀러로서 독자들의 사랑을 받아 온 이 책을 사진과 그림, 보충 설명들을 독자들이 더 쉽게 알아보고 읽을 수 있도록 개정하였다. 서재에 꽂아 놓고 발목을 잡는 고민들을 만날 때마다 꺼내 보기 좋도록 표지도 가벼우면서도 튼튼한 양장으로 바꾸었다.
Contents
들어가는 말 1,600년 만에 새롭게 만나는 이 시대 최고의 멘토ㆍ5

제1강 왜 지금 ‘아우구스티누스’인가?
우리는 지금 행복한가?ㆍ22 | 기술의 발전에도 계속되는 불행ㆍ22 ∥ 그리스도교 최고의 스승, 아우구스티누스ㆍ26 | 그리스도교의 위대한 사상가이자 감정 전문가ㆍ26 | 가슴이 따뜻한 보통 사람ㆍ29 ∥ 호불호가 극명하게 갈리는 인물ㆍ30 | 아우구스티누스를 사랑하고 존경한 사람들ㆍ31 | 아우구스티누스를 싫어한 사람들ㆍ34∥ 최초의 현대인, 아우구스티누스ㆍ36

제2강 아우구스티누스는 어떤 시대를 살았는가?
그리스-로마 문화와 그리스도교와의 만남ㆍ45 | 그리스-로마 문화와 그리스도교의 차이ㆍ45 | 그리스도인들은 식인종? 박해 시기에 붙었던 ‘딱지’ㆍ47 | 아프리카 학파 vs. 알렉산드리아 학파ㆍ48 ∥ 그리스-로마 문화의 아버지와 그리스도교의 어머니 사이에서ㆍ50 | 똑똑한 아들의 출세를 원한 아버지 파트리치우스ㆍ50 | 아들을 훌륭하게 가르친 타가스테의 신사임당, 모니카ㆍ51∥ 대제국 로마의 발전과 몰락ㆍ52 | 강인하고 정의로운 로마가 용병으로 채워지기까지ㆍ52 | 로마식 욕탕, 귀족 사치 문화의 끝판왕ㆍ55 | 사치의 정점은 곧 빈부 격차로ㆍ56 | 새로운 시대에 대한 희망으로 떠오른 그리스도교ㆍ57 ∥ 아우구스티누스가 나고 자란 북아프리카는 어떤 곳인가?ㆍ58 | 로마 제국 시기의 북아프리카의 지역적 특징ㆍ58 | 그리스도교와 함께 다양한 이단이 공존한 곳ㆍ61

제3강 나는 누구인가?
자신의 방향성을 묻는 질문, ‘나는 누구인가?’ㆍ69 ∥ 주체 의식이 강한 소년ㆍ71 | 학교에 들어간 아우구스티누스ㆍ71 | 강압적인 교육에 대한 실망ㆍ73 | 방황하던 소년이 지혜를 사랑하게 되기까지ㆍ74 | 성경과 마니교 모두 비판하던 자의식 강한 아우구스티누스ㆍ77 ∥ 나를 찾아 떠나는 여행으로의 초대ㆍ78 | 하느님과 영혼, 기억을 통해 나를 발견하는 길ㆍ78 | 인간을 새롭게 규정하다ㆍ80 ∥ 계속해서 나를 찾아나가는 질문, ‘나는 누구인가?’ㆍ83

제4강 공부는 왜 해야 하는가?
경험에서 시작된 아우구스티누스의 교육에 대한 고민ㆍ94 | 스승이 된 아우구스티누스ㆍ94 ∥ 삶의 변화를 위한 가치 교육ㆍ96 | 교육자로 있으면서 얻은 깨달음ㆍ96 | 교육의 중심에 있는 사랑ㆍ98 | 암브로시우스와의 만남을 통해 얻은 스승과 제자의 관계ㆍ99 ∥ 학생들의 관심과 수준을 고려한 교육 방법ㆍ102 | 학생들의 관심에서 출발하는 동기ㆍ102 | 개개인에 맞는 차별화된 교육 방법ㆍ103 | 공동체적인 기쁨의 중요성ㆍ105 ∥ 참다운 교육을 이루어 주는 ‘내적 교사’ㆍ106

제5강 하느님은 왜 ‘악’을 방치하는가?
악이란 무엇인가?ㆍ116 | 아우구스티누스의 마음을 사로잡은 것 첫 번째, 《호르텐시우스》ㆍ116 | 아우구스티누스의 마음을 사로잡은 것 두 번째, 마니교ㆍ117 | 마니교를 벗어난 아우구스티누스에게 주어진 숙제ㆍ120 ∥ 신플라톤주의를 통한 악의 해명ㆍ121 | 플라톤과 신플라톤주의ㆍ121 | 악은 선의 결핍ㆍ126 ∥ 악에 대해 남은 의문들ㆍ128

제6강 ‘태초’, 피조물 프로그래밍 시작
이 세계는 어떻게 시작되었을까?ㆍ136 | 세상의 근원에 대한 궁금증ㆍ136 | 그리스에서 시작된 세상의 근원에 대한 탐구ㆍ136 ∥ 무로부터의 창조ㆍ139 | 그리스 철학의 창조 vs. 그리스도교의 창조ㆍ139 | 신플라톤주의의 유출설과 그리스도교의 창조ㆍ140 | 그리스도교에 대한 오해 첫 번째, 점진적 창조 vs. 동시 창조ㆍ142 | 그리스도교에 대한 오해 두 번째, 기계적 신 vs. 인격적 신ㆍ145 ∥ 하느님의 선함이 깃든 모든 피조물ㆍ146

제7강 ‘자유 의지’는 하느님의 ‘면벌부’인가?
자유 의지의 문제를 다룬 책, 《자유 의지론》ㆍ158 | 제자 에보디우스와 나눈 대화ㆍ158 | 악의 근원은 자유 의지의 잘못된 사용ㆍ158 | 질서의 역전은 의지 자체의 문제ㆍ162 ∥ 왜 자유 의지를 허용했는가?ㆍ163 ∥ 인간에게 자유를 선물하신 하느님의 사랑ㆍ163

제8강 욕망에 좌우되는 나는 ‘악인’인가?
사랑의 윤리와 죄의 본성ㆍ175 | 주지주의와 주의주의ㆍ176 ∥ 사랑의 윤리학ㆍ177 | 사랑에서 찾은 윤리학의 원리ㆍ177 | 어떻게 행동하는 것이 윤리적인 행위인가ㆍ178 ∥ 향유와 사용ㆍ180 | 향유와 사용의 의미ㆍ180 | 어떻게 향유하고 어떻게 사용해야 할까ㆍ181 | 향유해야 하는 하느님을 사용하는 인간ㆍ184 | 아우구스티누스의 악의 구분ㆍ185 ∥ 원죄론에 관한 이론 정립ㆍ187 ∥ 향유와 사용을 올바르게 활용하여 자유로운 인간으로ㆍ188

제9강 우리는 지금 행복한가?
행복이란 무엇인가?ㆍ197 | 행복에 대한 철학자들의 다양한 생각ㆍ197 | 어떻게 해야 진정으로 행복할까ㆍ198 ∥ 하느님을 소유하는 참행복이란?ㆍ202 | 하느님을 소유한다는 것의 의미ㆍ202 | 내면으로 들어갔을 때 만날 수 있는 행복ㆍ203∥ 영원불변한 진리를 알려 주는 ‘내적 교사’ㆍ205 | 아우구스티누스가 발견한 진리, “의심하는 나는 존재한다.”ㆍ205 | ‘내적 교사’이신 성자 예수 그리스도ㆍ206 ∥ 하느님과 우리의 만남을 지속하는 길ㆍ207

제10강 절망, 불행, 고통은 하느님을 바라보게 하는 통과 의례인가?
아우구스티누스에게 다가온 절망과 불행ㆍ218 | 실망과 절망을 거듭 체험한 아우구스티누스ㆍ218 | 아우구스티누스의 회심, “집어서 읽어라.”ㆍ220 ∥ 절망과 불행의 의미는 무엇인가?ㆍ222 | 아우구스티누스가 바라본 고통의 의미ㆍ222 | 절망의 다양한 원인들ㆍ223 ∥ 어떻게 절망을 극복할 수 있는가?ㆍ227 | 육체적인 것으로부터 벗어나는 작업ㆍ227 | 절망을 극복하게 하는 은총의 힘ㆍ229 ∥ 은총에 대한 펠라지우스와의 논쟁ㆍ230 ∥ 절망과 불행을 함께 나누고 은총을 믿으며ㆍ232

제11강 죽음, 그 이후의 세상
죽음이란 무엇인가?ㆍ242 | 죽음이 지닌 의미ㆍ242 ∥ 죽음으로부터의 도피ㆍ244 | 죽음에 초연한 동서양의 사상가들ㆍ244 ∥ 아우구스티누스의 죽음에 대한 탐구ㆍ247 | 죽음에 대한 진지한 반성ㆍ247 | 죽음을 대하는 성숙한 자세ㆍ249 | 플라톤 철학의 영혼관과 아우구스티누스의 영혼관ㆍ251 ∥ 죽음에 대한 아우구스티누스의 성찰과 교훈ㆍ252

제12강 개인과 공동체, 끝내 해답은 사랑?
개인과 공동체의 관계는 무엇인가?ㆍ263 | 《신국론》의 저술 배경ㆍ263 ∥ 낡은 사람과 새 사람, 땅의 나라와 하느님의 나라ㆍ266 | 땅의 나라와 하느님의 나라의 구분ㆍ266 | 땅의 나라와 하느님의 나라 구분의 유래ㆍ270 ∥ 땅의 나라와 하느님의 나라, 그리고 교회와 국가의 관계ㆍ271 | 땅의 나라와 하느님의 나라를 구분하는 중요한 기준ㆍ273 ∥ 하느님의 나라가 승리할 것이라는 희망ㆍ275

제13강 정의와 평화, 지상에서 가능한가?
정의와 평화는 어떻게 이룰 수 있는가?ㆍ286 | 로마 제국을 비판한 아우구스티누스ㆍ286 | 정의가 없는 나라는 강도떼와 같다ㆍ288 ∥ 정의란 무엇인가?ㆍ290 | 정의에 대한 아우구스티누스의 생각ㆍ290 ∥ 참다운 정의와 하느님의 나라ㆍ292 | 진정한 정의와 평화가 이루어지는 곳ㆍ292 | 시민의 덕과 정의의 상관관계ㆍ294 | 정의로운 전쟁, 그리고 평화ㆍ296 ∥ 《신국론》이 오늘날 갖는 의미ㆍ298

강의를 마치며ㆍ308

연대표ㆍ310
색인ㆍ313
Author
박승찬
서울대학교 식품공학과를 졸업한 뒤, 가톨릭대학교 신학부에서 신학을 공부하던 중 중세철학에 관심을 가지게 되었다. 독일 프라이부르크 대학에서 석사와 박사학위(중세철학 전공)를 받았다. 현재 가톨릭대학교 철학과 교수이며 김수환추기경연구소장을 맡고 있다. 성심대학원장, 한국중세철학회장, 한국가톨릭철학회장을 역임했다. 그는 생각하는 힘을 키워 주는 강의로 유명하다. 그의 ‘중세철학사’ 강의는 2012년 11월에 SBS와 대학교육협의회에서 공동으로 주관하는 “대학 100대 명강의”로 선정되었다. 또한 JTBC 차이나는 클라스 <중세 천년의 빛과 그림자>, EBS 특별기획 통찰, EBS 클래스 <중세의 위대한 유사> 등의 방송 출연, 한겨레신문 연재 등 다양한 강연 활동을 통해 사람들이 중세에 대해 갖는 편견을 깨고 중세철학이 지닌 매력과 그 깊이를 알리는 데 주력하고 있다. 저서로는 《서양 중세의 아리스토텔레스 수용사》, 《생각하고 토론하는 서양 철학 이야기②: 중세-신학과의 만남》, 《철학의 멘토, 멘토의 철학》, 《아우구스티누스에게 삶의 길을 묻다》, 《중세의 재발견》 등이 있으며, 역서로는 라틴어 원문에서 번역한 《모놀로기온 & 프로슬로기온》(캔터베리의 안셀무스), 《신학요강》·《대이교도대전 II》·《존재자와 본질》(토마스 아퀴나스), 그리고 《토마스 아퀴나스의 형이상학》 등이 있다.
서울대학교 식품공학과를 졸업한 뒤, 가톨릭대학교 신학부에서 신학을 공부하던 중 중세철학에 관심을 가지게 되었다. 독일 프라이부르크 대학에서 석사와 박사학위(중세철학 전공)를 받았다. 현재 가톨릭대학교 철학과 교수이며 김수환추기경연구소장을 맡고 있다. 성심대학원장, 한국중세철학회장, 한국가톨릭철학회장을 역임했다. 그는 생각하는 힘을 키워 주는 강의로 유명하다. 그의 ‘중세철학사’ 강의는 2012년 11월에 SBS와 대학교육협의회에서 공동으로 주관하는 “대학 100대 명강의”로 선정되었다. 또한 JTBC 차이나는 클라스 <중세 천년의 빛과 그림자>, EBS 특별기획 통찰, EBS 클래스 <중세의 위대한 유사> 등의 방송 출연, 한겨레신문 연재 등 다양한 강연 활동을 통해 사람들이 중세에 대해 갖는 편견을 깨고 중세철학이 지닌 매력과 그 깊이를 알리는 데 주력하고 있다. 저서로는 《서양 중세의 아리스토텔레스 수용사》, 《생각하고 토론하는 서양 철학 이야기②: 중세-신학과의 만남》, 《철학의 멘토, 멘토의 철학》, 《아우구스티누스에게 삶의 길을 묻다》, 《중세의 재발견》 등이 있으며, 역서로는 라틴어 원문에서 번역한 《모놀로기온 & 프로슬로기온》(캔터베리의 안셀무스), 《신학요강》·《대이교도대전 II》·《존재자와 본질》(토마스 아퀴나스), 그리고 《토마스 아퀴나스의 형이상학》 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