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T 경제학 교수 레스터 서로는 1996년 『뉴욕 타임스 매거진』 칼럼에서 ‘어떤 혁명적 계급의 탄생’을 알렸다. “가까운 미래에 계급 전쟁은 빈자와 부자의 대결이 아니라 젊은이와 노인의 싸움으로 다시금 정의될 것이다.”
최근 한국의 사정도 이와 별반 다르지 않아 보인다. 한국보건사회연구원에서 2016년 19~75세의 국민 3,669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사회통합 실태 및 국민인식조사’에 따르면 “10년 후 고령자와 젊은이 간 갈등이 더 심해질 것이라고 응답한 사람은 62.2퍼센트에 달했다.” 최근 기사들의 면면을 봐도 학교, 직장, 가정, 온라인 커뮤니티에 이르기까지 사회 전반에서 ‘말이 안 통하는 꼰대’ ‘젊은 애들은 이래서 문제’라는 비난이 난무하며, 한국 사회가 직면한 세대 갈등이 “위험 수준”에 이르렀다고 진단한다.
이제 해묵은 지역 갈등이나 전통적인 계급 대립보다 세대 갈등이 더 대세다! 과연 우리 사회에서도 청년 대 기성세대의 대결, 즉 세대들의 싸움이 이미 시작된 것인가. 결론부터 말하자면, 오랫동안 세대론을 연구해온 사회학자 전상진의 대답은 이렇다. “미안하지만, 아닙니다.” 그는 최근 문학과지성사에서 출간된 『세대 게임―‘세대 프레임’을 넘어서』를 통해 현대 사회에서 ‘세대’가 무엇보다 ‘핫’한 현상이 된 데 대해 독창적이고도 흥미진진한 이론을 펼쳐 보인다. 이를테면 그는 우리 사회 도처에 널려 있는 세대에 대한 이야기를 ‘세대 게임’이라는 틀로 분석하고 진단한다. 저자가 말하는 세대 게임에는 게임에 참여하는 ‘세대 당사자’와 게임을 고안하고 설계하여 그에 참여하도록 독려하는 ‘세대 플레이어’가 있다. 이 중에서 저자는 ‘세대 플레이어,’ 특히 그들이 게임을 통해 얻는 ‘정치적 수익’에 주목한다. 그에 따르면, 세대 게임의 플레이어들은 사회 현안을 세대의 문제로 해석하는 ‘세대 프레임’을 통해 온갖 사회문제를 ‘세대’의 부호로 변환한다. 즉 중요한 사회문제가 세대 대립에서 비롯한다고 주장하면서, 다른 가능한 원인들에 주목하지 못하도록 만드는 것이다. 마치 촛불과 맞불이 대립했던 지난 광장의 소란을 법치와 민주주의의 틀이 아닌, 세대 대립의 문제로 보는 것처럼.
이와 같은 문제의식에 의거해 저자는 질문한다. “혹시 우리도 세대 프레임의 강렬한 불빛에 현혹되어 엉뚱한 곳만 주시하는 것이 아닐까.” 이 책은 무엇보다 독자들에게 최근 한국 사회에 만연한 세대 프레임에 현혹되기보다 먼저 “의심하고 주저하기”를 권한다. 그를 위해서 세대가 커뮤니케이션 되는 방식과 그것의 전략적 측면, 곧 세대 게임의 논리를 이해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역설한다.
Contents
들어가며
1장 의심하고 주저하기
2장 나이와 경험―세대를 정의하는 두 가지 기준
3장 청년은 비참하고 노년은 화려하다―청년과 노년의 이미지 변화
1. 청년은 우리의 미래다?
2. 노인, 새로운 주체
3. 청년, 몰락한 주체
4장 세대 전쟁―청년 대 기성세대의 대결
1. 세대 전쟁론의 네 가지 요소
2. 세대 전쟁의 레토릭
3. 한국으로 수입된 세대 전쟁론
5장 시간의 고향―세대 정체성의 중요한 닻
1. 세대 정체성의 경쟁자들
2. 세대 모델은 어떻게 만들어지는가
3. 경험의 차별성
4. 시간 고향
6장 세대 투쟁―시간의 실향민이라는 정치 세대의 등장
1. 인지부조화는 사람을 가리지 않는다
2. 1970년대라는 시간 고향과 신성한 삼위일체
3. 시간의 실향민과 지지자 세대 게임
7장 세대 프레임을 넘어서
1. 두 세대 게임의 차이
2. 세대 프레임 들여다보기
3. 개혁의 역설과 미래의 세대 갈등
미주
Author
전상진
서강대학교 사회학과 및 같은 과 대학원을 졸업하고, 독일 빌레펠트 대학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우리 시대의 다양한 현상들을 사회학이라는 ‘도구’로 해석하고 진단하는 일을 하고 있다. 특히 세대 문제, 음모론, 자기계발 붐 등에 관심이 많다. 현재 서강대학교 사회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지은 책으로 『음모론의 시대』가 있다.
서강대학교 사회학과 및 같은 과 대학원을 졸업하고, 독일 빌레펠트 대학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우리 시대의 다양한 현상들을 사회학이라는 ‘도구’로 해석하고 진단하는 일을 하고 있다. 특히 세대 문제, 음모론, 자기계발 붐 등에 관심이 많다. 현재 서강대학교 사회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지은 책으로 『음모론의 시대』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