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이트를 경유해 정신분석적 서사학을 새롭게 구성하고
비평적 독서 방식을 제시한, 피터 브룩스의 충실한 서사학 입문서
당대 가장 중요한 내러티브 이론가로 손꼽히는 문학비평가 피터 브룩스의 신작 『정신분석과 이야기 행위』가 출간되었다. 제목에서 짐작할 수 있듯 이번 책 역시 『플롯 찾아 읽기』 『육체와 예술』 등의 전작에서 주요하게 다뤄온 주제인 문학과 정신분석의 관계를 심층적으로 탐구한다. 브룩스의 연구는 문학적 형식주의나 전통적인 정신분석 비평의 틀을 넘어서 플롯에 대한 논의의 지평을 확장했으며, 형식주의 서사학에서 탈구조주의 이론에 이를 만큼 그 연구 범위가 광범위하고 나아가 불문학과 영문학, 법학, 정신분석학을 넘나드는 것으로 유명하다.
이 책에서 브룩스는 서사학과 정신분석을 고찰해 얻은 이론적 통찰을 응용하여 텍스트를 명확하게, 그리고 생산적으로 읽어낸다. 프로이트의 「늑대인간」 「도라」 사례와 『쾌락 원칙을 넘어서』와 같은 유명한 저작들을 면밀히 분석하는 한편으로 발터 벤야민, 로만 야콥슨, 스탠리 피시 등의 비평 이론에 대한 응답을 제시한다. 동시에 대중에게 친숙한 탐정소설 『셜록 홈스』를 비롯해, 플로베르와 발자크, 바르베 도르비이 등의 19세기 소설 텍스트를 면밀히 읽어나감으로써 “정밀한 읽기” 모델을 독자에게 제공한다.
이 책 『정신분석과 이야기 행위』를 통해 정신분석과 문학이 어떻게 연결되는지, 정신분석 비평은 어떻게 작동하며 어떤 역할을 수행해야 하는지에 대한 브룩스의 사유를 한눈에 개괄할 수 있으며, 문학 텍스트를 어떻게, 왜 읽어야 하는지 숙고할 계기 또한 마련할 수 있다. 한마디로 이 책은 다소 난해하고 심층적인 서사학 이론에 접근하는 입문서로서 제 역할을 톡톡히 해낼 것이다.
Contents
감사의 말
편집자 서문 I
편집자 서문 II
1장 정신분석 비평의 이념
2장 여백에서 발생하는 변화: 구성, 전이, 그리고 내러티브
3장 이야기꾼
4장 내러티브의 구성: 피터 브룩스와의 대담